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환경. 우주/우주 63

토성의 달은 생명탄생 무렵의 지구와 같은 환경이다

토성의 달은 생명탄생 무렵의 지구와 같은 환경이다. 토성의 달인 의 지하에는 생물을 키우기에 적합한 온도의 열수가 있다는 것을 미항공우주국(NASA) 등에서의 토성탐사기 의 탐사에서 확인했다고 연구팀이 발표하였다. 논문이 12일(2015년1월)부 영국 과학지 에 게재되었다. 생물에게 필요한 유기물도 확인되어서 일본에서 도쿄대학 등 3개 기관이 참가하는 연구팀은 이라고 지적하였다. 전문가는 고 기대하고 있다. 지구 이외의 천체에서 생명 탄생에 필요한 물, 영양, 고온(에너지) 등 3조건을 갖춘 것을 확인한 것은 처음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는 두꺼운 얼음으로 덮인 직경 약 500킬로미터의 천체로서 얼음 밑에는 거대한 바다가 있고, 얼음의 표면으로부터는 생명의 원재료가 되는 유기물을 함유한 해수가 분출되고 있..

2. 명왕성의 혹성에서 퇴출

명왕성(Pluto) 이야기 2 2. 명왕성의 혹성에서 퇴출 명왕성은 1930년에 크라이드 톰보에 의하여 발견된 이래 태양계의 9번째의 혹성으로 여겨졌으나 1992년에 명왕성 이외의 외연천체가 발견된 이래 명왕성과 비슷한 크기의 천체가 차례차례로 발견되기 시작하였다. 그 중에서도 2003년에 촬영된 사진 중에서 2005년에 캘리포니아 공대 마이크 브라운(Michael E. Brown, 1965년 6월 5일 -)교수가 라는 별을 발견하면서 논란이 커졌다. 는 지름이 2,400km 정도로 명왕성의 직경2,320km 보다 크기 때문이다. 이처럼 태양계연구의 진전에 따라 태양계 연구자들 간에는 명왕성을 혹성으로 인정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의문의 소리가 퍼졌다. 2006년 8월에 열린 국제천문학연합 (IAU)총회에..

1. 태양계 끝에 있는 별 명왕성

명왕성(Pluto) 이야기 1 1. 태양계 끝에 있는 별 명왕성 현재 태양계의 끝을 돌고 있는 혹성은 명왕성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이 혹성에 대해서는 매우 멀리 있기 때문에 모르는 것이 너무 많다. 그러나 그 발견의 단서는 이론적인 계산에 기초하고 있는 것이다. 7번째의 천왕성의 궤도가 이상하다 해서 해왕성이 발견되었다. 그래서 해왕성의 일을 생각해서 계산을 고쳐 해보았는데 그래도 천왕성의 실제의 움직임은 계산 같이 되지 않았다. 이처럼 천왕성의 궤도가 혼란한 것은 우리들이 아직 모르는 천체가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임에 틀림없다. 그래서 해왕성보다도 더 멀리 있는 혹성을 탐색하게 되었다. 미국의 로웰(Percival Lowell, 1855년-1916년)이나 픽카링(Edward Charles Pickeri..

해왕성(Neptune) 이야기

해왕성(Neptune) 이야기 1. 해왕성(Neptune) 발견 이야기 천왕성이 발견되어 60년이 지날 무렵 천문학계에는 하나의 문제가 생겼다. 그것은 천왕성의 움직임이 계산대로가 아니라는 것이었다. 다른 혹성은 모두 천문학자가 계산 한 대로의 궤도를 바르게 돌고 있다. 그런데 천왕성만은 계산한 대로 움직여주지 않았다. 아마도 그 이유는 천왕성 밖에 다른 혹성이 있어서 천왕성의 움직임을 혼란시키고 있음이 분명하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프랑스의 르베리에(Urbain Jean Joseph Le Verrier、1811-1877, 프랑스 천문학자)가 자세히 계산하여 마침내 새로운 혹성을 찾아내었다. 그는 베를린 천문대의 갈레(Johann Gottfried Galle, 1812년-1910년 독일 천문학자)에게 고 ..

1. 가로 누운 천왕성

천왕성(Uranus) 이야기 1 1. 가로 누운 천왕성 허셀의 발견 태양의 둘레에 있는 혹성은 오랜 동안 토성까지의 6개밖에 알려지지 않았었다. 1781년 3월 13일 영국의 윌리암 허셸(Sir Frederick William Herschel, 1738-1822)은 처음으로 토성보다도 더 먼 천왕성을 발견한 것이다. 허셸은 독일 태생이나 자라서 영국에 건너가서 음악가로서 활동하였었다. 1772년부터 천문학에 흥미를 가지고 스스로 반사망원경을 만들어 밤하늘을 관측하게 되었다. 그러는 사이에 새로운 신성이나 성단이나 이중성 등을 차례차례로 발견하였다. 1772년 3월 13일 밤에도 그는 오후 10시가 지나서 자신이 만든 구경 17센티의 망원경을 밤하늘에 돌리고 있었다. 그러자 쌍둥이좌에 묘한 별을 발견한 것..

3. 다양한 63개의 위성들

토성 이야기 3 3. 다양한 63개의 위성들 토성은 금빛 고리 외에도 대소의 63개(2009년 현재)의 위성을 거느리고 있다. 이들 중 10개의 위성에는 이름이 붙어있어서 안쪽에서 미마스, 엔세라다스, 데치스, 다이온, 리, 다이단, 하이베리온, 야벳스, 훼베, 데미즈라 한다. 이들 중 토성에 가까운 5개의 위성은 눈이나 얼음으로 덮여있다고 생각된다. 특히 토성에 가장 가까운 미마스는 직경 900킬로미터로 비중은 겨우 0.27이라한다 물의 4분의 1보다 가볍다. 그러나 매우 빛난다. 이런 때문에 미마스는 대부분이 바삭바삭한 눈 덩이 닮은 것으로 되어있는 것이 아닌가 하고 생각되고 있다. 10개의 달 중 가장 큰 것은 다이단이다 직경 5,000킬로미터로 수성보다 큰 위성이다. 미국의 가이바는 1944년에 ..

2. 금빛의 고리를 가진 토성

토성 이야기 2 2. 금빛의 고리를 가진 토성 토성의 고리 토성은 그 본체의 둘레에 금빛의 커다란 고리를 가지고 있다. 직경27만 2,000킬로미터가 넘는 화려하고 커다란 고리이다. 마치 이런 고리를 가진 혹성은 태양계의 어디를 찾아보아도 없다. 이 토성의 고리의 폭은 약 6만 7,000킬로미터 곧 우리들 지구의 반구의 10배가 넘는 크기이다. 그런데 두께는 거의 없다는 것이다. 너무나 엷기 때문에 확실한 숫자를 계산해낼 수 없는 정도인데 먼저 15킬로미터 이하라고 보고 있다. 그러니까 혹시 토성의 고리의 직경을 15미터의 모형을 만든다고 하면 폭은 약 4미터가 되는데 두께는 단지 1미터 이하가 된다. 이 고리는 대자연이 창조한 가장 완전한 평면에 가까운 것이다. 얼마나 신비스러운 것인가. 실제로 지구에..

1. 토성은 물보다도 가볍다

토성 이야기1 1. 토성은 물보다도 가볍다 토성과 고리 태양 둘레의 9개의 혹성 중에 두 번째로 큰 것이 토성이다. 서양에서는 옛날부터 사탄의 이름으로 부리었다. 사탄은 농업의 신이다, 밝기는 1등성 정도로 둔한 금빛을 내고 있다. 토성의 반경은 6만 399킬로미터로 그 부피는 지구의 760배가 넘는다. 그런데 무게는 지구의 95배 정도밖에 안 된다. 곧 이 별의 비중은 0.69로 물보다도 작다. 환언하면 토성은 물에 비하여 3할이나 가벼운 것으로 되어있다. 혹시 토성을 담을 수 있는 엄청난 크기의 수조가 있다고 하면 어떨까. 토성은 조금 수면에서 3분의 1 정도 목을 내놓은 상태로 떠있게 되는 것이다. 태양계의 어디를 찾아보아도 이처럼 이상한별은 없다. 도대체 이는 어떤 때문일까. 목성에서 목성의 비중..

4. 이상한 위성의 나라 목성

목성 이야기 4 4. 이상한 위성의 나라 목성 목성은 대소 52~63개의 위성을 거느리고 있다. 몸뚱이가 큰 만큼 신하도 많은 셈이다. 이들 중 4개는 특히 밝고 1610년 1월에 가리레오가 손으로 만든 망원경으로 발견한 것이다. 그래서 이라 부른다. * 가리레오 위성 번호 이름 직경 질량 평균궤도반경 공전주기 I 이오 (Jupiter I Io) 3,632 km 8.92×1022 kg 421,600 km 1.76 일 II 에우로파 (Jupiter II Europa) 3,138 km 4.8×1022 kg 670,900 km 3.55 일 III 가니메데 (Jupiter III Ganymede) 5,262 km 1.49×1023 kg 1,070,000 km 7.16 일 IV 칼리스토 (Jupiter IV Ca..

3. 목성의 속 알맹이와 생물

목성 이야기 3 3. 목성의 속 알맹이와 생물 목성의 비중은 1.34이다. 지구의 5.52에 비하여 4분의 1이다. 목성 전체가 물과 같은 가벼운 것으로 되어 있는 셈이다. 목성형의 커다란 혹성은 어느 것이나 가벼운 대기를 많이 가지고 있다. 그러니까 중심부에 무거운 것이 있어도 평균하면 비중이 작아지는 것이다. 그러면 목성의 두꺼운 대기 밑에는 도대체 어떤 세계가 있는 것일까. 영국의 천문학자 람세이(Frank Plumpton Ramsey)가 최근에 발표한 생각으로는 대강 다음과 같은 것이다. --먼저 목성에는 지구에서 볼 수 있는 육자라는 것이 없다. 두꺼운 구름 아래에 있는 것은 광대한 이다. 라 하지만 물을 가진 바다는 아니다. 목성과 같은 추운 곳에서는 물은 얼기 때문이다. 목성의 는 암모니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