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세계의 과학자 237

세계의 과학자 35.벤자민 프랭클린 이야기 (2)

세계의 과학자 35.벤자민 프랭클린 이야기 (2)=미국의 독립에 공헌한 정치가이며 수많은 발견 발명을 하였다.==  3, 생애의 주요 행적  1) 인쇄업 운영 1718년에 형 제임스의 인쇄소에서 견습을 시작. 기자와 편집자로 성장하고 .주지사의 추천으로 런던으로 가서 인쇄업에 종사한 후, 1726년에 귀국하여 인쇄업을 재개. 2) 공공의 활동참여1729년: 당시 가장 인기 있던 신문 중 하나인 펜실베이니아 가제트를 인수하고 미국 최초의 공공도서관을 설립하며 리차드의 연감을 발행하여 유명해졌다.1737년에는 미국 학술협회를 설립하였고.1737년: 필라델피아 우체국장으로 임명되었으며 공직에 전념. 펜실베이니아 식민지 의회 의원과 우체국 총장 등을 역임하였으며.1751년에는 펜실베니아대학을 설림했다.1775년..

세계의 과학자 2025.04.05

세계의 과학자 36,벤쟈민 프랭클린 이야기 (1)

세계의 과학자 36, 벤쟈민 프랭클린 이야기 (1)=미국의 독립에 공헌한 정치가이며 수많은 발견 발명을 하였다.== 1, 개요 벤자민 프랭클린(Benjamin Franklin, 1706-1790)은 미국의 정치가, 외교관, 저술가, 물리학자, 기상학자였다. 인쇄업에서 성공을 거둔 후 정치계에 진출하여 미국 독립에 큰 기여를 했다. 또한 연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번개가 전기의 한 형태임을 밝혀낸 것으로도 유명하다. 현재 미국 100달러 지폐에 그의 초상이 그려져 있으며, 1963년까지 미국 50센트 동전에도 그의 초상이 사용되었다.그는 근면함, 강한 탐구심, 합리주의, 사회 활동 참여 등의 특성을 지닌 18세기의 근대적 인간상을 상징하는 인물이었다. 그는 자신을 포함하여 권력이 한곳에 집중되는 것을 싫어했..

세계의 과학자 2025.04.02

세계의 과학자 35,고대 발명왕 알렉산드리아의 헤론 이야기(끝)

세계의 과학자 35,고대 발명왕 알렉산드리아의 헤론 이야기(끝)  4, 저서『기체 장치 (Pneumatika, 공기역학)』 이 책에는 기원전 215년경 고대 이집트 신전에 설치된 성수 자동판매기에 대한 설명과 도해가 포함되어 있다. 이 장치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해, 투입된 5드라크마 동전의 무게로 내부 받침대가 기울어지며, 기울어진 동안 밸브가 열려 물이 배출되는 구조였다. 이 발명의 창작자에 대해서는 헤론설, 크테시비오스설, 혹은 동명이인 헤론설 등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한다. *출처=Wikipedia.  https://ja.wikipedia.org › wiki › 5, 헤론의 공식 헤론의 수학 분야에서의 업적으로 삼각형의 면적을 구하는 을 소개하고자 한다.「특수」보다 「일반」이 존중받는다삼각형에 관한 ..

세계의 과학자 2025.04.02

세계의 과학자 35,고대 발명왕 알렉산드리아의 헤론 이야기(2)

세계의 과학자 35,고대 발명왕 알렉산드리아의 헤론 이야기(2) 3, 발명 1) 증기기관헤론은 아이올로스의 구(球), 즉 헤론의 증기기관을 설명한 것으로 유명하다. 이 장치는 로켓 엔진의 원형으로 간주되며, 기록상 가장 오래된 증기기관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고대 로마의 비트루비우스(Vitruvius)가 헤론보다 약 100년 앞서 그의 저서 『건축에 관하여』에서 아이올로스의 구를 언급했기 때문에, 증기기관이 산업혁명보다 2000년 전에 이미 발명되었다는 점은 분명하다.그는 또한 밀폐된 용기를 제단의 불로 가열하여 그곳에서 분출되는 공기를 이용해 다른 용기의 물을 이동시키고, 그 물의 무게로 밧줄을 당겨 신전의 문을 여는 장치도 고안했다. 2) 자동 판매기와 기타 발명품세계 최초의 자동판매기를 발명한 인..

세계의 과학자 2025.04.01

세계의 과학자 35, 고대 발명왕 알렉산드리아의 헤론 이야기(1)

세계의 과학자 35, 고대 발명왕 알렉산드리아의 헤론 이야기(1) 1, 개요알렉산드리아의 헤론(헤론 혹은 헤로, 영어: Hero of Alexandria, Heron of Alexandria, 기원후 10년경? - 70년경?)은 고대 로마의 속주였던 이집트(아이깁투스)의 알렉산드리아에서 활동한 그리스계 공학자이자 수학자였다. 보다 고대 그리스어에 가까운 표기로는 "알렉산드리아의 헤로"라고도 한다.일각에서는 그가 크테시비오스의 제자였다고 하나, 직접적인 사제 관계가 아니라 크테시비오스의 저작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는 주장도 있다.헤론은 증기의 압력을 이용한 다양한 장치를 고안하였으나, 증기기관을 발명하는 데까지는 이르지 못했다. 그의 주요 발명품으로는 증기터빈과 증기의 힘으로 자동으로 열리는 문이 있다.수학..

세계의 과학자 2025.03.31

세계의 과학자34, 웬델 메러디스 스탠리 이야기.(끝)

세계의 과학자34, 웬델 메러디스 스탠리 이야기.(끝)=바이러스를 단백질의 결정화에 성공=  3-3, 전자현미경을 통한 가시화 성공 1938년, 헬무트 루스카(Helmut Ruska, 1908,- 1973, 독일의 과학자) 등 연구진은 전자현미경을 이용해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데 성공하였다. 인류가 최초로 바이러스>의 형태를 직접 관찰한 순간이었다. 참고로 헬무트 루스카는 전자현미경을 발명한 에른스트 루스카의 동생이다. 4, 사생활 스텐리(Stanley)는 1929년 마리나 스타플레스(Marian Staples,1905–1984)와 결혼하여 세 딸(Marjorie, Dorothy, Janet)과 아들(Wendell Meredith Junior)을 두었다. UC Berkeley의 Sta..

세계의 과학자 2025.03.28

세계의 과학자34, 웬델 메러디스 스탠리 이야기.(3)

세계의 과학자34, 웬델 메러디스 스탠리 이야기.(3)=바이러스를 단백질의 결정화에 성공=  3-2, 세균보다 작은 미지의 병원체 발견 19세기 유럽에서 담뱃잎에 모자이크병이 발생하였으며, 아돌프 에두아르트 마이어(Adolf Eduard Mayer、1843 – 1942, 독일의 농예화학자. 담배모자이크병 연구. 바이러스 발견)는 이 병이 담배의 즙액을 통해 전염된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이후 1892년, 드미트리 이바노프스키ー(Dmitri Ivanovsky, 1864-1920, 러시아의 생물학자) 는 이 병원체가 당시 멸균에 사용되던 테라코타 필터를 통과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로 인해 담배모자이크병이 세균이 생성한 독소 때문이거나, 매우 작은 미지의 세균에 의해 발생한다고 여겨졌다.1898년..

세계의 과학자 2025.03.27

세계의 과학자34, 웬델 메러디스 스탠리 이야기.(2)

세계의 과학자34, 웬델 메러디스 스탠리 이야기.(2)=바이러스를 단백질의 결정화에 성공=  3, 업적3-1, 바이러스의 결정화 성공 바이러스 발견의 계기가 된 담배모자이크병의 원인은 라고 불리게 되었다. 1935년, 웬델 스탠리(Wendell Meredith Stanley, 1904-1971, 미국의 생화학자) 는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를 결정화하는 데 성공하였다. 당시 결정화된 물질이 생물의 특성인 와 능력을 지닌다는 사실이 밝혀져, 이는 큰 충격을 주었고 바이러스가 생물인가, 비생물인가에 대한 논쟁의 시발점이 되었다. 웬델 스탠리는 이러한 업적으로 1946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하였다.(https://www.wikidata.org › wiki) 그의 연구 업적에는 비페닐(biphenyl, 백색 혹은 미..

세계의 과학자 2025.03.26

세계의 과학자34, 웬델 메러디스 스탠리 이야기.(1)

세계의 과학자34, 웬델 메러디스 스탠리 이야기.(1)=바이러스를 단백질의 결정화에 성공=  웬델 메러디스 스탠리  1, 개요 웬델 메러디스 스탠리(Wendell Meredith Stanley, 1904-1971)는 미국의 생화학자이자 바이러스학자로 최초로 바이러스를 분리 및 결정화한 업적으로 유명하며, 1946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2, 경력 인디애나주 리지빌에서 태어났다. 얼럼 칼리지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한 후, 1927년 일리노이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1929년에는 화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같은 해에 결혼한 그는 1931년까지 미국 학술연구회의 일원으로 독일 뮌헨에서 연구를 진행했다.귀국 후, 록펠러 연구소에서 조교로 근무하며 1948년까지 그 직위를 유지했다. 이후 캘리포니아대..

세계의 과학자 2025.03.25

세계의 과학자 33, 에우클레이데스(유크리드) 이야기(5)

33, 에우클레이데스(유크리드) 이야기(5) 4-2, 기타 저작물 《원론》 외에도 유클리드의 저작으로 전해지는 다섯 개의 작품이 현존한다. 이들 모두 《원론》과 논리적 구조가 유사하며, 정의와 명제의 증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데도메나/다타 (Data)기하학 문제에서 주어진 정보의 성질과 의미를 다루며, 《원론》의 첫 네 권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도형 분할론 (On Divisions of Figures)부분적으로 아랍어 번역본이 현존한다. 기하학적 도형을 특정한 비율로 두 개 이상으로 분할하는 문제를 다루며, 기원후 3세기경 알렉산드리아의 헤론의 저작과 유사하다.카토프트리카 (Catoptrics)거울에 대한 수학적 이론을 다룬 작품으로, 특히 평면 거울과 구면 오목 거울에 형성되는 상에 대해 설명한다. 유..

세계의 과학자 2025.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