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세계의 과학자 241

32, 로버트 보일(Robert Boyle,1627-1691)이야기.(5)

32, 로버트 보일(Robert Boyle,1627-1691)이야기.(5)==영국 과학혁명에서 실험주의를 소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사회적 성취 1)  영국 산업혁명의 토대 이런 식으로 보일은 자연 과학 연구에서 성과를 거두었다. 그게 전부가 아니다. 연구 결과는 실제에 적용되었다. 이것은 또한 보일과 그의 동시대 영국인들에 대한 중요한 점이다.예를 들어, 실험 결과는 당시 흡입 펌프가 물을 약 10m 이상 올릴 수 없는 이유도 밝혀냈다. 이것은 더 깊은 운하를 파는 것과 같은 프로젝트에서 중요하다. 언뜻 보기에는 사소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당시의 큰 요구를 충족시켰다. 그러한 욕구는 무엇인가? 당시 유럽의 강국이었던 네덜란드에는 오늘날과 마찬가지로 많은 운하가 있었다. 이것은 네덜란드의 대부분..

세계의 과학자 2025.03.10

세계의 과학자 32, 로버트 보일(Robert Boyle,1627-1691)이야기.(4)

32, 로버트 보일(Robert Boyle,1627-1691)이야기.(4)=영국 과학혁명에서 실험주의를 소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험주의의 제도화에 대한 기여: 왕립학회 보일의 공헌은 실험주의의 방법을 제도화하는 것이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보일과 다른 사람들은 실험가 그룹을 형성했다. 또한 그는 과학 기관으로 왕립 학회를 설립했다. 이 조직은 실험주의 방법의 보급과 계승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제도화에 대한 그러한 시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실험주의는 뿌리를 내리지 못했을 것이고 Boyle et al의 죽음과 함께 세계에서 사라지지 않았을 것이다.그러나 과학 협회를 설립한 선례가 있었다. 17 세기 전반기 로마에 린치 아카데미 (Lynchei Academy)가 있다. 이것은 갈릴레오의 소유였다..

세계의 과학자 2025.03.07

세계의 과학자 32, 로버트 보일(Robert Boyle,1627-1691)이야기.(3)

32, 로버트 보일(Robert Boyle,1627-1691)이야기.(3)==영국 과학혁명에서 실험주의를 소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연구 성과 1, 과학 혁명에 대한 기여 이것은 보일의 가장 중요한 업적 중 하나이다. 현대 자연 과학에서는 실험실에서 자연에 대한 진실과 사실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실 장비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당연한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보일이 살았던 400년 전 유럽에서는 이런 실험주의 방법이 흔하지 않았다.오히려, 이 시기에 실험주의의 방법들이 유럽에서 대중화되고 제도화되었다. 이것은 과학혁명의 업적 중 하나였다. 핵심 선수 중 한 명이 보일이었다.보일은 실험주의를 강조했지만, 그는 실험주의의 선구자는 아니었다. 17세기 전반, 영국 경험주의의 아버지로 일컬어지는 프랜..

세계의 과학자 2025.03.06

32, 로버트 보일(Robert Boyle,1627-1691)이야기.(2)

32, 로버트 보일(Robert Boyle,1627-1691)이야기.(2)==영국 과학혁명에서 실험주의를 소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자연주의자가 되다 그 후, 보일은 박물학자와 철학자를 비롯한 다양한 사람들과 접촉하게 되었다. 그들 중에는 화학자들도 있었다. 그들은 보일을 실험 과학에 소개했다. 1649년, 보일은 과학 실험실을 차리고 실험 과학에 전념하기 시작했다. 1654년에 그는 옥스퍼드로 이사했다. 보일은 실험 과학에 관심이 있는 학자 그룹을 구성했다. 그는 또한 존 로크를 만났다. 덧붙이자면, 보일은 옥스퍼드대학의 공식 학생도 아니었고 연구원도 아니었다. 3-1 공기 펌프 실험: 획기적인 실험 1658년, 보일은 훅 등과 함께 공기 펌프를 실험했다. 보일은 커다란 유리 구체로 이루어진..

세계의 과학자 2025.03.05

32, 로버트 보일(Robert Boyle,1627-1691) 이야기.(1)

32, 로버트 보일(Robert Boyle,1627-1691) 이야기.(1)==영국 과학혁명에서 실험주의를 소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로버트 보일1, 개요 로버트 보일 (Robert Boyle, 1627-1691)은 영국계 아일랜드인이다. 자연 철학자, 화학자, 물리학자, 연금술사 그리고 발명자이다. 보일은 오늘날 최초의 현대 화학자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현대 화학의 창시자 중 한 명이자 현대 실험 과학 방법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간주된다. 그는 「보일의 법칙」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닫힌 시스템 내에서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 기체의 절대 압력과 부피 사이의 반비례 관계를 설명한다. 그의 작품 중 『회의적인 화학자(The Sceptical Chymist)』는 화학 분야의 초석으로 ..

세계의 과학자 2025.03.04

31,요하네스 케플러 (Johannes Kepler, 1571-1630) 이야기(5)

31,요하네스 케플러 (Johannes Kepler, 1571-1630) 이야기(5)== 「케플러의 법칙」 발견으로 천문학에 대변혁을 가져왔다==  9, 에피소드1 : 마녀 재판을 받은 케플러의 어머니 케플러의 어머니는 작고, 야위고, 피부색이 검고, 말투가 나쁘고 다투기를 좋아하고, 마음이 뒤틀리고, 거칠고, 수다스러운 늙은 여인>으로 묘사되었지만, 1615년에 70세의 나이로 마녀사냥의 관리에게 고발당하여 관리들의 손에 의해 재판에 회부되었다. 케플러는 어머니를 감옥에서 풀어 주려고 애썼으나 소용이 없었다. 4년간의 옥중생활 끝에 재판이 시작되었는데 그녀는 자백하지 않았다. 재판소는 그녀에게 고문 도구를 보여주며 자백을 압박했지만, 그녀는 모든 것을 부인한 채 기절했다. 결국 그녀는 석방되었다. 당시..

세계의 과학자 2025.03.03

31,요하네스 케플러 (Johannes Kepler, 1571-1630) 이야기(4)

31,요하네스 케플러 (Johannes Kepler, 1571-1630) 이야기(4)== 「케플러의 법칙」 발견으로 천문학에 대변혁을 가져왔다==  7, 케플러의 법칙 발견 케플러는 특히 화성을 연구했다. 티코는 또한 화성의 궤도가 원 안에 들어가기 어렵다는 것을 깨달았다. 수년간의 연구 끝에, 케플러는 어느 날 자신이 제대로 이해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궤도는 최대 8'(분, 은 1° 크기의 1/60)까지 차이가 났다. 케플러는 이 차이를 무시할 수 없었다. 그래서 나는 타원을 적용하고 완벽하다는 것을 알았다. 그것은 케플러의 첫 번째 법칙 (타원 궤도의 법칙)의 발견이었다. 이때가 1605년이었다. 동시에 케플러는 두 번째 법칙 (일정한 면적, 속도의 법칙)을 발견했다. 그러나 이 "새로운 천문학"은..

세계의 과학자 2025.02.28

31,요하네스 케플러 (Johannes Kepler, 1571-1630) 이야기(2)

31,요하네스 케플러 (Johannes Kepler, 1571-1630) 이야기(2)== 「케플러의 법칙」 발견으로 천문학에 대변혁을 가져왔다==  4, 교육 학교 교육으로서는 라틴어학교(유럽의 일반적인 중등교육) 다음에 프로테스탄트계의 신학교 (Evangelische Seminare Maulbronn und Blaubeuren)에 진학했다. 장학금을 받아서 학교에 다녔다. 1587년에 성직자가 되기 위하여 튀빙겐(Tübingen)대학 장학생으로 입학하였다. 그는 비투스 뮐러(Vitus Müller)와 함께 철학을, 야콥 히어브란트(Jacob Heerbrand)와 함께 신학을 공부했다.케플러는 또한 이 전문과정에서 접한 신플라톤주의에 기울어졌다(신플라톤주의에 대한 이러한 경향은 케플러의 후기 저작에 대한..

세계의 과학자 2025.02.26

31,요하네스 케플러 (Johannes Kepler, 1571-1630) 이야기(1)

31,요하네스 케플러 (Johannes Kepler, 1571-1630) 이야기(1)== 「케플러의 법칙」 발견으로 천문학에 대변혁을 가져왔다== 요하네스 케플러  1, 개요 요하네스 케플러 (Johannes Kepler, 1571-1630) 는 독일의 천문학자이다. 그는 천체의 운동 법칙과 관련된 케플러의 법칙을 옹호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천체의 운동에 대한 이론적 해명 측면에서 그는 천체 물리학자의 선구자라고 할 수 있다. 그는 또한 수학자, 자연 철학자 및 점성가이다. 2, 출생과 가정 요하네스 케플러는 1571년 12월 27일, 신성로마제국의 자유도시 바일데어 슈타트(현재의 슈투트가르트, 바덴=뷔르템베르크, 독일)에서 하인리히 케플러(Heinrich Kepler)와 카타리나 케플러(Kath..

세계의 과학자 2025.02.25

30, 요하네스 구텐베르그(1398— 1468) 이야기(6)

30, 요하네스 구텐베르그(1398— 1468) 이야기(6) ==활판인쇄술을 발명하여 현대인쇄법의 기초를 구축했다.==  10, 구텐베르크의 성서 구텐베르그가 1455년에 금속활자로 인쇄한 불가타 성서[(불가타/vulgata)라는 말은 대중(라텐어)판>이라는 의미로 라텐어 에디토 불가타(editio vulgata)에서 유래한다.)]이다. 한편 42행씩 인쇄되어서 행성서>라고도 불린다. 서양사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온 상징적인 책이므로 가격은 매우 고가이다. 기존 구텐베르크의 성서는 49로 독일(13), 미국(11), 영국(8) 프랑스(4)러시아(2)스페인(2) 바티칸(2) 오스트리아(1) 벨기에(1) 덴마크(1) 일본(1) 폴란드(1) 포르트가르(1) 스위스(1)의 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다. 11, 고려..

세계의 과학자 2025.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