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교육자료 16

호기심지수(CQ)는 일이나 학습에 중요하다(6/6)

호기심지수(CQ)는 일이나 학습에 중요하다(6/6)  첵크 결과는 어떠했습니까? CQ 평균을 100으로 하면 측정결과는 예>의 수에 따라 이런 지수가 된다.25개 전부가 예>이다....CQ지수는 180 --폭넓은 흥미를 가지고 깊이는 의욕에도 차고 넘친다.20개 이상이 예>인 사람..... CQ지수는 150—좋아하는 것에 참여하면 곧 능력을 발휘한다.15개 이상이 예>인 사람...CQ지수는 120— 여러 가지에 흥미를 가지고 눈을 돌린다.10개 이상이 예>인 사람.....CQ지수는 100 전후-보통의 흥미 수준이다.CQ지수는 어른이 되면 다시 달라진다. CQ(호기심지수) 정리 호기심지수 CQ란 호기심을 가지는 힘을 말한다.호기심지수가 높은 사람은 스스로 공부하고 탐구를 계속하는 자세를 가지고 있으므로 공..

교육자료 2024.12.13

호기심지수(CQ)는 일이나 학습에 중요하다(5/6)

호기심지수(CQ)는 일이나 학습에 중요하다(5/6)  호기심지수(CQ) 첵크리스트로 측정하자 호기심지수 첵크리스트 다음 질문에 예>. 나 아니오>로 답하시오. 1, 서점에서 신간을 첵크하거나 여러 코너를 둘러본다.2, 프라모텔이나 수예, 일요목공 등 공작을 좋아한다.3, 스마트폰이나 PC는 아직 쌩쌩하지만 새것으로 교체하고 싶다.4, 그림이나 일러스트를 그리기 좋아한다.5, 새로 안 것은 실험해보고 싶어진다.6, 프로그래밍을 좋아하고 해보고 싶다.7, 무엇이나 하나를 배우면 그에 대하여 더 일고 싶어진다.8, 어릴 때 오리지널 놀이를 만든 일이 있다.9, 하고 싶은 것이 너무 많아서 시간이 없다.10, 사물을 분석하여 법칙일 발견한다.11, 자신만의 도구를 공부하여 만든다.12, 여러 가지 것의 공통점을..

교육자료 2024.12.12

호기심지수(CQ)는 일이나 학습에 중요하다(4/6)

호기심지수(CQ)는 일이나 학습에 중요하다(4/6)  호기심지수 측정방법  차례1, CQ가 높은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 특징을 체크한다.2, 호기심지수 체크테스트로 측정한다.3, CQ(호기심지수) 정리 CQ가 높은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 특징을 체크한다. 호기심지수란 지식욕이 높고 새로운 것에 곧 달려드는 능력을 말한다.CQ가 높은 사람은 매뉴얼이 없으면 움직일 수 없는 메뉴얼 인간>과는 정반대로 확실히 이렇게 해주세요라는 말이 없는 상황에서도 자발적으로 생각하여 행동할 수가 있다. 또 가르쳐 주지 않아도 자발적으로 자기투자를 행하여 열심히 공부한다. 특히 IT등 기술의 진화가 두드러져서 항상 성장하지 않으면 안 되는 현대에서는 지적호기심과 성장의욕이 왕성한 인재가 요구되게 되어 있다.지시를 기다리는>일..

교육자료 2024.12.11

호기심지수(CQ)는 일이나 학습에 중요하다(3/6)

호기심지수(CQ)는 일이나 학습에 중요하다(3/6) 호기심을 신장시키는 방법 근년 비지네스교육 분야에서는 지능지수나 감정지수와 같은 정도의 호기심 지수가 중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여기서는 CQ를 신장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생각하고자 한다. 그 전에 CQ의 C에는 여러 가지의 의미가 부가되고 있다는 것을 말하고자 한다. CQ의 다양한 의미=그것은 모두 창조력에 이어진다.호기심 지수(CQ)에 관해서는 호기심이라는 것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나는 개념으로서 다음과 같은 말이 여러 사람에게서 제창되고 있다.1, Communication Quotient(커뮤니케이션 지수) 2, Cultural Quotient(문화지수) 3, Children Quotient(어린이 힘 지수)이들 는 호기심(Curiosity)이 창조성..

교육자료 2024.12.10

호기심지수(CQ)는 일이나 학습에 중요하다(2/6)

호기심지수(CQ)는 일이나 학습에 중요하다(2/6)  2, CQ가 높은 사람은 이런 사람이다. CQ가 높은 사람이란 이런 사람이라고 한다.1, 헝그리 정신이 있다.2, 강한 탐구욕을 가진다.3, 새로운 경험에 적극적이다.4, 새로운 것에 흥분하기 쉽다.5,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많이 낸다.한편 그런 반면에는 정해진 일과 작업에 싫증내기 쉽다.>조직 중에서는 반체제적이다.> 라는 경향도 지적된다. 그러나 이런 단점을 생각하는 것마저 혁신을 일으킬 때에는 플러스가 될 가능성이 있다.정해진 메뉴얼에만 한하지 않고 CQ가 높은 사람은 자발적으로 생각하여 행동을 하려고 한다. 그리고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일에는 자기를 투자한다. 기업을 둘러싼 환경은 복잡하여 이런 지적호기심 모험심이 왕성한 인재가 필요하다.  특히 ..

교육자료 2024.12.09

호기심지수(CQ)는 일이나 학습에 중요하다(1/6)

호기심지수(CQ)는 일이나 학습에 중요하다(1/6)  1, IQ、EQ에 이어지는 제3의 지성=CQ란 무엇인가 옛날에는 CQ라 하면 아마튜어무선의 콜사인이었다. 그러나 근년에 이르러 IQ(지능지수)처럼 새로운 지적인 정신활동 지수로서 호기심지수(Curiosity Quotient=CQ)를 말하게 되었다.호기심이 학습이나 일을 하는 데에서의 정신활동에 중요하다는 것은 경험을 통하여 잘 알 수 있다. 그것을 비지네스 심리학자의 입장에서 이론화하여 CQ(호기심지수)라는 것을 제창한 사람은 유니버샬 카레지 런던의 토마스 차모로-푸레뮤직(Thomas Chamorro-Premusic) 박사이다. 박사는 비지네스를 성공시키려면 IQ(지능지수)나 EQ(감정지수)와 같은 수준으로 CQ(호기심지수)가 중요하다고 한다고 하고 ..

교육자료 2024.12.08

가치가 높은 대학의 전공 분야 순위 10(2024년도판)

가치가 높은 대학의 전공 분야 순위 10(2024년도판)(미국) 가장 가치가 높은 전공 분야아래 표는 뱅크 레이트((Bank Rait)의 분석을 바탕으로 가장 가치가 높은 전공 분야> 톱10이다. 전공명, 연봉중앙치, 실업률, 상위학위 취득자 비율을 나타낸다.  톱 10위 중에서 연봉 중앙치가 10만 달러를 넘었다. 10위의 보험수리학도 연봉 중앙치가 9만 5천 달러로 그다지 차는 크지 않다. 석유공학은 실업률이 상위 중에서 중으로 가장 낮아서 전체로서 최저 수준이었다. 5위인 재료과학은 상급학위를 가진자의 비율이 순위 상위로 가장 많았다.랭킹에서 가장 낮은 순위를 기록한 전공은 스튜디오 아트였다. 연봉 중앙치가 4만 달러이며 실업률은 4.6%였다. 스튜디오 아트와 기타 예술 관련 전공이 순위의 하위에 ..

교육자료 2024.11.10

기억하는 방법 5가지 단계

기억하는 방법 5가지 단계-미국 기억력선수권 패자와 심리학자가 가르치는-  기억력이 없다고 바보라고 말하는 사람은 많다. 물건 구입 목록이나 친구의 생일, 시험을 위하여 기억해 두고 싶은 숫자 같은 기억은 아무래도 머리에서 빠져나가버리는 것이다. 기억 매카니즘>을 상세히 밝힌다 하더라도 기억력이 좋고 나쁨은 변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은 정답이 아니다. 적절한 테크닉을 쓰면 거의 어떤 일이라도 기억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네루손 데리스는 미국 전국 기억력 선수권에서 4번이나 우승하고 다시 기억력 그랜드마스터>의 칭호(편주=세계 메모리 스포츠협회가 정식으로 승인하고 있는 대회에서 일정한 조건을 채운 자에게 수여되는 칭호)를 가지고 있다. 데리스는 지금까지 원주율π(파이)10,000단위를 암창하거나 랜덤..

교육자료 2024.09.21

기억을 정착시키는 효과적인 방법

기억을 정착시키는 효과적인 방법  1, 사람은 1주간에 77%를 잊어버린다. 아쉽지만 인간의 뇌는 기억한 직후부터 점점 잊어버려간다. 이것을 막기 위해서는 꾸준히 복습을 반복함으로써 뇌에 정착시켜 장기기억으로 하는 수밖에 없다. 인간이 얼마나 잊어버리기 쉬운지를 수치적으로 밝힌 유명한 실험 결과가 있다. 19-20세기의 독일 심리학자 헤르만 에빙하우스(Hermann Ebbinghaus、1850 - 1909년=기억에 관한 실험적 연구의 선구자로 망각곡선을 발견한 것으로 알려진 독일 심리학자)는 피험자에게 규칙성이 없는 3개의 알파벳의 나열을 20패턴 기억시켜 시간의 경과와 함께 그 문자를 얼마나 생각해내는지를 조사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20분 후에 42%, 1시간 후에 56%, 1일 후에 74%, 1주간 ..

교육자료 2024.09.15

행복한 사람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한 10가지 습관

행복한 사람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한 10가지 습관  인류가 공통으로 바라는 것은 행복>이다. 그런데 행복을 추구한 결과는 사람에 따라 크게 다르다. 어떤 사람은 최악의 경우에도 밝고 명랑하지만 어떤 사람은 좋은 환경에 놓여 있지만 불행해 한다. 이런 다름은 유전적인 체질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적어도 40%의 행복은 스스로가 통제할 수 있는 행동이나 사고방식에 따라 좌우될 수가 있다고 한다. 그러면 행복하다는 사람의 습관은 어떤 것인가. 1, 여유가 있다.행복한 사람은 머물러서 그 순간을 즐기는 방법을 알고 있다. 그들은 진행을 늦추고 다른 것에 주의를 돌려서 자신이 보이는 범위 안에만 머물지 않는다. 모든 순간에 의미가 있음을 이해하고 있어서 괴로운 때도 그에서 도망치지 않고 아름다운 것과 부정적인 것을..

교육자료 2024.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