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유가의 고전/예기의 명언 명구 33

<예기> 1. 곡례상(曲禮上) 편의 명언 명구

&lt;예기&gt; 1. 곡례상(曲禮上) 편의 명언 명구 1, 毋不敬하라.(禮記 曲禮上) 무불경하라.(예기 곡예상) 공경하지 않는 일이 없게 하라. 남을 속이지 않으며 자기 자신도 속이지 않고 무슨 일에나 주의 깊고 조심스럽게 대해야 한다. ㅇ무(毋)-없다. ㅇ경(敬)-공경하다. 2, 安定辭하라.(禮記 曲禮上) 안정사하..

<예기> 2. 곡례하(曲禮下) 편의 명언 명구

&lt;예기&gt; 2. 곡례하(曲禮下) 편의 명언 명구 23, 君子는 雖貧이나 不粥祭器라.(禮記 曲禮下) 군자는 수빈이나 불육제기라.(예기 곡레하) 군자는 비록 가난하더라도 제기를 팔지 아니한다. 군자는 아무리 가난하여 끼니를 이어 나아갈 형편이 못되더라도 조상의 제사를 모시기 위한 제기를 팔아서는 안 ..

<예기> 3. 단궁상(檀弓上) 편의 명언 명구

&lt;예기&gt; 3. 단궁상(檀弓上) 편의 명언 명구 25, 狐死正丘首는 仁也라.(禮記 檀弓上) 호사정구수는 인야라.(예기 단궁상) 여우가 죽을 때 머리를 바르게 언덕을 향하는 것은 인이다. 여우가 죽을 때 머리를 자기가 살던 언덕을 바르게 향하여 죽는다. 이것은 짐승이지마는 인을 분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기> 4. 단궁하(檀弓下) 편의 명언 명구

&lt;예기&gt; 4. 단궁하(檀弓下) 편의 명언 명구 28, 仁親을 以爲寶하니라.(禮記 檀弓下) 인친을 이위보하니라.(예기 단궁하) 인을 몸소 실천함으로써 보배를 삼는다. 몸소 효도를 다함으로써 보배를 삼는다. ㅇ친(親)-몸소. ㅇ보(寶)-보배. 29, 有直情而徑行者는 戎狄之道也라.(禮記 檀弓下) 유직정이경행자..

<예기> 6. 문왕세자(文王世子) 편의 명언 명구

&lt;예기&gt; 6. 문왕세자(文王世子) 편의 명언 명구 35, 成王이 有過어시든 則撻伯禽하시니라.(禮記 文王世子) 성왕이 유과어시든 즉달백금하시니라.(예기 문왕세자) 성왕에게 과실이 있으면 대신 백금을 채찍질하셨다. 주공(周公)은 성왕에게 과실이 있으면 자신의 아들 백금(伯禽)을 채찍질 했다. 주나..

<예기> 7. 예운(禮運) 편의 명언 명구

&lt;예기&gt; 7. 예운(禮運) 편의 명언 명구 41, 是謂大同이니라.(禮記 禮運) 시위대동이니라.(예기 예운) 이것을 대동의 세상이라고 말한다. 천하를 한 집으로 보는 사상으로 소위 대동주의를 말한다. 내 아들은 내 아들만이 아니고 남의 아들이 될 수 있고, 남의 아들은 남의 아들만이 아니라 내 아들도 될..

<예기> 8. 예기(禮器) 편의 명언 명구

&lt;예기&gt; 8. 예기(禮器) 편의 명언 명구 50, 至敬은 無文이라.(禮記 禮器) 지경은 무문이라.(예기 예기) 지극한 공경심은 꾸밈이 없다. 공경심이 극에 이르면 거기에는 가식이나 꾸밈이 있을 수 없다. ㅇ지(至)-지극하다. ㅇ경(敬)-공경하다. ㅇ문(文)-꾸미다. 51, 天道는 至敎라.(禮記 禮器) 천도는 지교라...

<예기> 9. 교특성(郊特牲) 편의 명언 명구

&lt;예기&gt; 9. 교특성(郊特牲) 편의 명언 명구 52, 報本反始하니라.(禮記 郊特牲) 보본반시하니라.(예기 교특성) 근본에 보답하기 위하여 처음으로 돌아간다. 근본 곧 만물의 근본은 천도에 있고, 인간의 근본은 조상에 있다고 본다. 나를 낳아준 근본인 조상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하여 처음으로 돌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