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유가의 고전/예기의 명언 명구

<예기> 3. 단궁상(檀弓上) 편의 명언 명구

간천(澗泉) naganchun 2009. 5. 2. 05:22

 

<예기> 3. 단궁상(檀弓上) 편의 명언 명구

 

25,

狐死正丘首는 仁也라.(禮記 檀弓上)

호사정구수는 인야라.(예기 단궁상)

여우가 죽을 때 머리를 바르게 언덕을 향하는 것은 인이다.

 

여우가 죽을 때 머리를 자기가 살던 언덕을 바르게 향하여 죽는다. 이것은 짐승이지마는 인을 분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ㅇ호(狐)-여우. ㅇ구(丘)-언덕. ㅇ수(首)-머리.

 

26,

細人之愛는 人也以姑息이라.(禮記 檀弓上)

세인지애는 인야이고식이라.(예기 당궁상)

소인의 사랑은 고식적이다.

 

소인의 사랑은 일시적인 것이라서 진실한 사랑이 아니다.

ㅇ세(細)-작다. ㅇ애(愛)-사랑. ㅇ고(姑)-아직. ㅇ식(息)-편하다.

 

27,

泰山其頹乎아 梁木其壞乎아.(禮記 檀弓上)

태산기퇴호아 양목기괴호아.(예기 단궁상)

태산이 무너지는가. 대들보가 무너지는가.

 

태산이 무너지고 대들보가 넘어지듯이 위대한 인물이 죽음을 의미한다.

ㅇ태(泰)-크다. ㅇ퇴(頹)-무너지다. ㅇ량(梁)-대들보. ㅇ괴(壞)-무너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