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기> 1. 곡례상(曲禮上) 편의 명언 명구
1,
毋不敬하라.(禮記 曲禮上)
무불경하라.(예기 곡예상)
공경하지 않는 일이 없게 하라.
남을 속이지 않으며 자기 자신도 속이지 않고 무슨 일에나 주의 깊고 조심스럽게 대해야 한다.
ㅇ무(毋)-없다. ㅇ경(敬)-공경하다.
2,
安定辭하라.(禮記 曲禮上)
안정사하라.(예기 곡예상)
말은 안정되게 하라.
말씨는 침착하고 안정되게 하여야 한다. 말을 안정되게 하려면 먼저 마음을 고요히 하여 동요함이 없이 안정시켜야 한다.
ㅇ안(安)-편안하다. ㅇ정(定)-안정되다. ㅇ사(辭)-말.
3,
傲不可長이며 欲不可從이라.(禮記 曲禮上)
오불가장이며 욕불가종이라.(예기 곡예상)
거만한 마음을 자라게 해서는 안 되며, 욕심을 방종하게 해서는 안 된다.
거만한 마음이 싹터 자라게 하지 말며, 욕심을 마음대로 부리게 해서는 안 된다. 거만함과 지나친 욕심은 사람을 망치게 한다.
ㅇ오(敖)-거만하다. ㅇ장(長)-자라다. ㅇ욕(欲)-욕심. ㅇ종(從)-방종하다.
4,
志不可滿하라.(禮記 曲禮上)
지불가만하라,(예기 곡예상)
뜻을 가득 채우지 말라.
무슨 일에나 뜻한 바를 다 만족시키려고 하지 말라. 사람의 욕심은 한이 없으므로 적당한 선에서 억제하려 노력해야 한다.
ㅇ지(志)-뜻. ㅇ만(滿)-차다.
5,
樂不可極하라.(禮記 曲禮上)
낙불가극하라.(예기 곡예상)
즐거움을 극도로 누리지 말라.
즐거움을 극에 이르도록 즐기려 하지 말라. 사람의 쾌락을 바라는 마음은 한이 없고 즐거움이 극에 이르면 권태와 절망만이 있을 뿐이다.
ㅇ낙(樂)-즐거움. ㅇ극(極)-다하다.
6,
愛而知其惡하고 憎而知其善하라.(禮記 曲禮上)
애이지기악하고 증이지기선하라.(예기 곡예상)
남을 사랑하되 그의 악한 점을 알아야 하며,
남을 미워하되 그의 선한 점을 알아야 한다.
남을 사랑하더라도 그에게서 악한 점을 알면 그 악한 점을 알아 넘기고, 남을 미워하더라도 그의 선한 점을 알면 그것을 인정해 주어서 선한 점이 더 자라게 도와주어야 한다. 어디까지나 사람을 사랑스럽다거나 밉다는 감정만으로 판단해서는 안 된다.
ㅇ애(愛)-사랑하다. ㅇ지(知)-알다. ㅇ증(憎)-미워하다. ㅇ선(善)-착하다.
7,
臨財엔 毋苟得하라.(禮記 曲禮上)
임재엔 무구득하라.(예기 곡예상)
재물에 대하여서는 구차하게 탐내지 말라.
재물을 보면 가지고 싶은 것이 인간의 정이다. 그러나 재물을 보았을 때 그 재물을 구차하게 취하려 하지 말아야 한다.
ㅇ임(臨)-임하다. ㅇ재(財)-재물. ㅇ구(苟)-구차하다. ㅇ득(得)-탐내다.
8,
臨難엔 毋苟免하라.(禮記 曲禮上)
임난엔 무구면하라.(예기 곡예상)
어려움을 당하면 구차하게 벗어나려 하지 말라.
곤란을 당했을 때는 그 곤란을 피하려고 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그 곤란에 대처해야 한다.
ㅇ란(難)-어려움. ㅇ면(免)-벗다.
9,
禮不踰節이라.(禮記 曲禮上)
예불유절이라.(예기 곡예상)
예는 절도를 넘치면 안 된다.
예란 것은 정도를 넘쳐서는 안 된다. 과공(過恭)이면 비례(非禮)라 하듯이 공경함도 지나치면 예가 못되고 조롱이 될 수 있다.
ㅇ유(踰)-넘다. ㅇ절(節)-절도. 마디.
10,
禮聞來學이요 不聞往敎니라.(禮記 曲禮上)
예문래학이요 불문왕교니라.(예기 곡예상)
예는 와서 배우는 것이지 가서 가르치는 것이 아니다.
배우고자 하는 사람이 자진하여 스스로 스승에게 찾아와서 배우는 것이 예이지, 스승이 제자를 찾아 가서 가르치는 것이 아니다.
ㅇ예(禮)-예도. ㅇ문(聞)-듣다. ㅇ래(來)-오다. ㅇ왕(往)-가다. ㅇ교(敎)-가르치다.
11,
鸚鵡能言이나 不離飛鳥니라.(禮記 曲禮上)
앵무능언이나 불리비조니라.(예기 곡례상)
앵무새는 말을 잘하지마는 나는 새에 지나지 않다.
앵무새는 사람의 말을 잘 흉내 내지마는 나는 새임에는 틀림이 없다. 사람도 앵무새처럼 속없이 말을 잘하더라도 사람으로서의 예를 갖추어 행하지 않으면 짐승이나 다를 바 없다.
ㅇ앵(鸚)-앵무새. ㅇ무(鵡)-앵무새. ㅇ능(能)-능하다. ㅇ리(離)-떨어지다. ㅇ비(飛)-날다. ㅇ조(鳥)-새.
12,
猩猩能言이나 不離禽獸니라.(禮記 曲禮上)
성성능언이나 불리금수니라.(예기 곡례상)
성성이는 말을 잘하지만 금수에 지나지 않는다.
성성이가 말을 잘해도 짐승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못한다. 사람도 말을 잘하여 남의 흉내를 잘 내더라도 예를 갖추어 사람다운 행동을 하지 못하면 금수에 지나지 못한다.
ㅇ성(猩)-성성이. ㅇ금(禽)-날짐승. ㅇ수(獸)-길짐승.
13,
冬溫而夏淸하고 昏定而晨省하니라.(禮記 曲禮上)
동온이하청하고 혼정이신성하니라.(예기 곡례상)
겨울에는 따뜻하게 하고, 여름에는 서늘하게 하며,
저녁에 잠들고 새벽에 돌아본다.
겨울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선선하게 지낼 수 있게 하며, 저녁에는 잠자리를 보아드려서 편히 잠들게 하고, 아침에는 심기를 살펴보아야 하는 것이 자식이 부모를 섬기는 도리이다. 혼정신성(昏定晨省)이란 말은 여기서 나왔다.
ㅇ정(定)-잠자리를 보아드림. ㅇ성(省)-심기를 살핌. ㅇ온(溫)-따뜻하다. ㅇ청(淸)-서늘하다. ㅇ혼(昏)-저녁. ㅇ신(晨)-새벽. ㅇ성(省)-살피다.
14,
行不中道하고 立不中門하라.(禮記 曲禮上)
행불중도하고 입불중문하라.(예기 곡례상)
길 한복판으로 다니지 아니하며, 문 복판에 서지 아니한다.
연장자와 같이 걸을 때는 길 한복판을 걷지 아니하고, 문 중앙에 서지 아니한다.
ㅇ행(行)-다니다. ㅇ중(中)-가운데. ㅇ도(道)-길. ㅇ립(立)-서다. ㅇ문(門)-문.
15,
戶外에 有二履어든 言聞則入하니라.(禮記 曲禮上)
호외에 유이리어든 언문즉입하니라.(예기 곡례상)
문 밖에 두 사람의 신발이 놓여 있을 때는 말소리가 들려야 들어간다.
문 밖에 두 사람의 신발이 놓여 있을 경우에는 안에서 말소리가 들리면 들어가도 좋으나, 말소리가 들리지 아니하면 들어가지 말아야 한다. 혹시 둘이서 밀담을 하고 있을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ㅇ호(戶)-문. ㅇ외(外)-밖. ㅇ리(履)-신발. 밟다. ㅇ언(言)-말하다. ㅇ문(聞)-듣다.
16,
尊客之前에 不叱狗라.(禮記 曲禮上)
존객지전에 부질구라.(예기 곡례상)
존귀한 손님 앞에서는 개도 꾸짖지 않는다.
존귀한 손님 앞에서는 개도 꾸짖지 않는다. 더욱 아랫사람을 꾸짖거나 하면 그 손님이 불쾌히 여기게 되어 큰 실례를 범하게 되기 때문이다.
ㅇ존(尊)-높다. ㅇ객(客)-손님. ㅇ전(前)-앞. ㅇ질(叱)-꾸짖다. ㅇ구(狗)-개.
17,
貧者는 不以貨財爲禮하니라.(禮記 曲禮上)
빈자는 불이화재위례하니라.(예기 곡례상)
가난한 사람은 재물로써 예를 행하지 아니한다.
경조사가 발생하였을 때 부조를 하거나, 축하할 일이 생겨서 선물을 할 경우 가난한 사람은 재물을 가지고 예를 갖추지 않아도 된다. 부조를 하거나 선물을 드리는 것은 정성이 깃든 마음이 중요하지 재물의 힘이 중요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불가의 말에 재물이 많고 적음보다 정성이 더 소중하다는 뜻의 빈자일등(貧者一燈)이라는 말과 통하는 바가 있다.
ㅇ빈(貧)-가난하다. ㅇ화(貨)-재화. ㅇ재(財)-재물. ㅇ위(爲)-하다.
18,
父母有疾이면 琴瑟不御하니라.(禮記 曲禮上)
부모유질이면 금슬불어하니라.(예기 곡례상)
부모가 병중이면 거문고나 비파를 다루지 아니한다.
부모가 병중이라면 즐기기 위하여 악기를 다루어서는 안 된다.
ㅇ질(疾)-병. ㅇ금(琴)-거문고. ㅇ슬(瑟)-비파. ㅇ어(御)-다루다.
19,
不盡人之歡하며 不竭人之忠하며 以全交也하니라.(禮記 曲禮上)
부진인지환하며 불갈인지충하며 이전교야하니라.(예기 곡례상)
남이 나에게 호의를 남김없이 다하기를 바라지 말며,
남이 나에게 충성을 남김없이 다하기를 바라지 말라.
그것은 교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남이 나에게 호의를 베풀거나, 충성을 하는 것을 남김없이 다하기를 바라서는 안 된다. 남이 남김 없는 호의와 충성을 다한다면, 나 또한 남김없이 받고 갚아야 하며 그러는 것은 큰 부담이 아닐 수 없고, 부담을 느끼게 하고서는 그 교제가 안전하게 유지되기 어렵게 된다.
ㅇ진(盡)-다하다. ㅇ환(歡)-환대하다. ㅇ갈(竭)-힘 다하다. ㅇ충(忠)-충실하다.
ㅇ전(全)-온전하다. ㅇ교(交)-사귀다.
20,
臨喪不笑라.(禮記 曲禮上)
임상불소라.(예기 곡례상)
상에 임해서는 웃지 않는다.
상을 당하거나, 문상을 할 때는 웃어서는 안 된다. 상을 당한 자는 슬픔에 마음 가누지 못할 것이고, 문상하는 자로서는 상을 당한 자의 마음을 충분히 헤아려야 할 것이다.
ㅇ임(臨)-임하다. ㅇ상(喪)-상당하다. 죽다. ㅇ소(笑)-웃다.
21,
哭日不歌라.(禮記 曲禮上)
곡일불가라.(예기 곡례상)
곡일에는 노래하지 아니한다.
남의 상을 문상하고 난 날에는 다른 곳에 가 있더라도 노래를 하지 않는다.
ㅇ곡(哭)-울다. ㅇ가(歌)-노래하다.
22,
公事는 不私議라.(禮記 曲禮上)
공사는 불사의라.(예기 곡례상)
공공의 일은 사사롭게 의논하지 않는다.
공공의 문제에 대해서는 공공의 장소에서 의논할 것이지 사사롭게 의논하지 않는다.
ㅇ공(公)-공변되다. ㅇ사(事)-일. ㅇ사(私)-나. ㅇ의(議)-의논하다.
'유가의 고전 > 예기의 명언 명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기(禮記)에 대하여 (0) | 2009.05.02 |
---|---|
<예기> 2. 곡례하(曲禮下) 편의 명언 명구 (0) | 2009.05.02 |
<예기> 3. 단궁상(檀弓上) 편의 명언 명구 (0) | 2009.05.02 |
<예기> 4. 단궁하(檀弓下) 편의 명언 명구 (0) | 2009.05.02 |
<예기> 5. 왕제(王制) 편의 명언 명구 (0) | 2009.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