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기> 2. 곡례하(曲禮下) 편의 명언 명구
23,
君子는 雖貧이나 不粥祭器라.(禮記 曲禮下)
군자는 수빈이나 불육제기라.(예기 곡레하)
군자는 비록 가난하더라도 제기를 팔지 아니한다.
군자는 아무리 가난하여 끼니를 이어 나아갈 형편이 못되더라도 조상의 제사를 모시기 위한 제기를 팔아서는 안 된다.
ㅇ수(雖)-비록. ㅇ빈(貧)-가난하다. ㅇ육(粥)-팔다. ㅇ제(祭)-제사. ㅇ기(器)-그릇.
24,
淫祀無福이라.(禮記 曲禮下)
음사무복이라.(예기 곡례하)
음사에는 복이 없다.
제사를 모셔야 할 바가 아닌데 제사를 모시는 것을 음사라 하는데, 이러한 제사에는 복을 받을 수 없다.
ㅇ음(淫)-과하다. ㅇ사(祀)-제사. ㅇ복(福)-복.
'유가의 고전 > 예기의 명언 명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기(禮記)에 대하여 (0) | 2009.05.02 |
---|---|
<예기> 1. 곡례상(曲禮上) 편의 명언 명구 (0) | 2009.05.02 |
<예기> 3. 단궁상(檀弓上) 편의 명언 명구 (0) | 2009.05.02 |
<예기> 4. 단궁하(檀弓下) 편의 명언 명구 (0) | 2009.05.02 |
<예기> 5. 왕제(王制) 편의 명언 명구 (0) | 2009.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