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기> 4. 단궁하(檀弓下) 편의 명언 명구
28,
仁親을 以爲寶하니라.(禮記 檀弓下)
인친을 이위보하니라.(예기 단궁하)
인을 몸소 실천함으로써 보배를 삼는다.
몸소 효도를 다함으로써 보배를 삼는다.
ㅇ친(親)-몸소. ㅇ보(寶)-보배.
29,
有直情而徑行者는 戎狄之道也라.(禮記 檀弓下)
유직정이경행자는 융적지도야라.(예기 단궁하)
감정이 있는 대로 곧 바로 행하는 것은 오랑캐의 도리이다.
생각나는 대로 곧 바로 실천하는 것은 오랑캐의 무리가 하는 도리라서 교양 있는 사람이 할 도리는 아니다. 생각하는 대로 행동하여 예의를 돌아보지 않는 행동을 뜻하는 직정경행(直情徑行)이란 말은 여기서 나온 말이다.
ㅇ직(直)-곧다. ㅇ정(情)-뜻. ㅇ경(徑)-빠르다. ㅇ행(行)-행하다. ㅇ융(戎)-오랑캐. ㅇ적(狄)-오랑캐.
30,
親者엔 毋失其爲親也하며 故者엔 毋失其爲故也니라.(禮記 檀弓下)
친자엔 무실기위친야하며 고자엔 무실기위고야니라.(예기 단궁하)
친족이라는 것은 비례가 있다고 하더라도 친족의 정을 잃어버릴 수 없고,
오랜 친구 사이는 비례가 있다고 하더라도 친구의 의를 잃어버릴 수 없다.
친족은 비록 잘못이 있다고 하더라도 친족 관계를 끊어버릴 수 없고, 친구 사이는 비록 잘못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 우의를 버릴 수는 없는 것이다.
ㅇ친(親)-친족. ㅇ고(故)-오래다. 친구.
'유가의 고전 > 예기의 명언 명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기> 2. 곡례하(曲禮下) 편의 명언 명구 (0) | 2009.05.02 |
---|---|
<예기> 3. 단궁상(檀弓上) 편의 명언 명구 (0) | 2009.05.02 |
<예기> 5. 왕제(王制) 편의 명언 명구 (0) | 2009.05.02 |
<예기> 6. 문왕세자(文王世子) 편의 명언 명구 (0) | 2009.05.02 |
<예기> 7. 예운(禮運) 편의 명언 명구 (0) | 2009.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