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기> 6. 문왕세자(文王世子) 편의 명언 명구
35,
成王이 有過어시든 則撻伯禽하시니라.(禮記 文王世子)
성왕이 유과어시든 즉달백금하시니라.(예기 문왕세자)
성왕에게 과실이 있으면 대신 백금을 채찍질하셨다.
주공(周公)은 성왕에게 과실이 있으면 자신의 아들 백금(伯禽)을 채찍질 했다. 주나라 무왕이 승하하고 성왕이 어려서 왕위에 오름에 그 교육을 맡은 주공은 그의 아들 백금을 모델로 삼아 부자(父子), 군신(君臣), 장유(長幼)의 도리를 가르쳤다.
ㅇ과(過)-과실. ㅇ달(撻)-채찍질하다. ㅇ백(伯)-맏. ㅇ금(禽)-새. ㅇ백금(伯禽)-주공의 아들 이름.
36,
始立學者는 必釋奠于先聖先師하니라.(禮記,文王世子)
시립학자는 필석전우선성선사하니라.(예기 문왕세자)
처음으로 학교를 세웠을 때에는 반드시 선성이나 선사에게 석전한다.
처음으로 학교를 세웠거나, 공부의 시업을 할 때에는 반드시 선성선사인 공자님께 천찬(薦饌)을 올리고 제사를 지내는 석전(釋奠)을 행해야 한다.
ㅇ시(始)-시작. 처음. ㅇ석(釋)-풀다. ㅇ전(奠)-제사지내다. ㅇ성(聖)-성인.
ㅇ사(師)-스승. ㅇ석전(釋奠)-공자의 문묘에 제사지내는 것.
37,
樂은 所以修內也요 禮는 所以修外也니라.(禮記 文王世子)
악은 소이수내야요 예는 소이수외야니라.(예기 문왕세자)
음악은 마음을 아름답게 하는 힘이 있고,
예의는 행실을 아름답게 하는 힘이 있다.
무릇 선대의 성왕들이 세자를 교육할 때 가장 중요시한 것은 예와 악이었다. 악 곧 음악은 인간의 내적인 정신을 조화시키는 것이고, 예 곧 예의는 인간의 외적인 행위를 정돈하는 것이다.
ㅇ악(樂)-가락. 음악. ㅇ수(修)-닦다. ㅇ예(禮)-예의.
38,
官正而國治하니라.(禮記 文王世子)
관정이국치하니라.(예기 문왕세자)
관이 바르면 나라가 다스려진다.
관리가 국가 경영의 모든 업무를 바르게 처리함으로써 나라가 다스려지는 것이다. 군왕은 국가의 기강을 바로 잡는 방법으로 먼저 관리들을 바로잡아야 한다.
ㅇ관(官)-관리. ㅇ정(正)-바르다. ㅇ치(治)-다스리다.
39,
雖有三命이나 不踰父兄이니라.(禮記 文王世子)
수유삼명이나 불유부형이니라.(예기 문왕세자)
비록 삼명의 존귀한 고관일지라도 그 위차는 부형을 넘어서 그 위에 두지 못한다.
삼명(三命)이란 1명, 2명, 3명의 차례로 공경(公卿)의 존귀한 벼슬이다. 비록 이 공경의 존귀한 벼슬자리에 있다 하더라도 가족끼리 모인다면, 비록 벼슬자리에 없는 부형(父兄)이라 하여도 그 윗자리에 앉을 수는 없다.
ㅇ수(雖)-비록. ㅇ명(命)-명령. ㅇ유(踰)-넘다.
40,
念終始典于學이라.(禮記 文王世子)
염종시전우학이라.(예기 문왕세자)
처음과 끝을 잘 생각하고 항상 배우고 항상 가르치지 않으면 안 된다.
학문을 함에 있어서는 끝과 처음을 어떻게 배워야 하며 또 어떻게 가르쳐야 할 것인가를 항상 생각하여 본말과 전후를 가림에 틀림없이 전념해야 한다.
ㅇ념(念)-생각하다. ㅇ종(終)-끝. ㅇ시(始)-시작. 처음 ㅇ전(典)-법.
'유가의 고전 > 예기의 명언 명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기> 4. 단궁하(檀弓下) 편의 명언 명구 (0) | 2009.05.02 |
---|---|
<예기> 5. 왕제(王制) 편의 명언 명구 (0) | 2009.05.02 |
<예기> 7. 예운(禮運) 편의 명언 명구 (0) | 2009.05.02 |
<예기> 8. 예기(禮器) 편의 명언 명구 (0) | 2009.05.02 |
<예기> 9. 교특성(郊特牲) 편의 명언 명구 (0) | 2009.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