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기> 5. 왕제(王制) 편의 명언 명구
31,
量入以爲出이니라.(禮記 王制)
양입이위출이니라.(예기 왕제)
수입을 헤아려서 지출한다.
수입에 맞추어 지출을 해야 재정을 건실하게 운영할 수 있다.
ㅇ양(量)-헤아리다. ㅇ입(入)-수입. ㅇ위(爲)-삼다.
32,
國이 無九年之蓄曰不足이요 無六年之蓄曰急이요 無三年之蓄曰國非其國也니라.
(禮記 王制)
국이 무구년지축왈부족이요 무육년지축왈급이요 무삼년지축왈국비기국야니라.
(예기 왕제)
나라에 구년의 저축이 없으면 부족이라 말하고,
육년의 저축이 없으면 급하다고 말하고,
삼년의 저축이 없으면 나라가 아니라고 한다.
국가는 비상 재난에 대비해서 최소한도 삼년을 지탱할 만한 저축은 있어야 한다. 만일 삼년을 지탱할 만한 저축도 없는 국가는 국가로서의 구실을 하지 못하는 국가이다.
ㅇ축(蓄)-저축. ㅇ급(急)-급하다.
33,
執左道하여 以亂政이어든 殺이라.(禮記 王制)
집좌도하여 이란정이어든 살이라.(예기 왕제)
좌도에 집착해서 정치를 어지럽히는 자는 죽인다.
좌도란 국법에 위배되는 도리이다. 국법에 위배되는 도리에 집착해서 국정을 문란하게 하는 자는 사형에 처한다.
ㅇ집(執)-잡다. ㅇ좌(左)-왼쪽. ㅇ란(亂)-어지럽다. ㅇ살(殺)-죽인다.
34,
戎器를 不粥於市하니라.(禮記 王制)
융기를 불육어시하니라.(예기 왕제)
병기를 시장에 내놓아 팔아서는 안된다.
무기는 국가를 보위하기 위한 중요 기구이므로 민간인이 시장에 내놓아 팔게 해서는 안 된다.
ㅇ융(戎)-병기. ㅇ기(器)-그릇.기구. ㅇ육(粥)-팔다. ㅇ시(市)-시장.
'유가의 고전 > 예기의 명언 명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기> 3. 단궁상(檀弓上) 편의 명언 명구 (0) | 2009.05.02 |
---|---|
<예기> 4. 단궁하(檀弓下) 편의 명언 명구 (0) | 2009.05.02 |
<예기> 6. 문왕세자(文王世子) 편의 명언 명구 (0) | 2009.05.02 |
<예기> 7. 예운(禮運) 편의 명언 명구 (0) | 2009.05.02 |
<예기> 8. 예기(禮器) 편의 명언 명구 (0) | 2009.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