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 초당에 벗이 없어 97, 초당에 벗이 없어 초당에 벗이 없어 혼자 누워 잠을 드니청풍명월이 임자 없이 들어온다.잠 깨어 이 좋은 경을 눌더러 무르랴. * 작자= 미상 * 출전= 고금(古今) *주 제= 맑은 바람 밝은 달을 찬양함 고시조 감상 02:40:56
96,전원에 봄이 드니 96,전원에 봄이 드니 전원에 봄이 드니 이 몸의 일이 하다.나는 그물 깁고 아이는 밭을 가니뒷 뫼에 싹 트는 약을 언제 캐려 하느니. * 작자= 미상 * 출전= 육청(六靑) * 주제=봄이 되니 할 일이 많다. 고시조 감상 2025.04.06
95, 청초 우거진 곳에 95, 청초 우거진 곳에 청초 우거진 곳에 장기 벗겨 소를 매고길 아래 정자나무 밑에 도롱이 베고 잠을 드니청풍이 세우를 몰아다가 잠든 나를 깨우도다. * 작자= 미상 * 출전= 남훈(南薰) * 주제=자연과 어우러져 사는 즐거움, 고시조 감상 2025.04.05
93, 집 지어 구름 덮고 93, 집 지어 구름 덮고 집지어 구름 덮고 우물 파 달 띄우고춘풍을 비 매어 자는 꽃 쓸으리라.어디서 술 가진 벗님은 날 못 찾아 하느니. * 작자= 미상 * 출전= 근락(槿樂) * 주제=자연과 더불어 삶. 고시조 감상 2025.04.02
92, 진서리 술이 되어 92, 진서리 술이 되어 진서리 술이 되어 만산을 다 권하니먹어 붉은 빛이 벽계에 잠겨세라.우리도 취토록 먹은 후에 붉어 볼까 하노라. * 작자= 미상 * 출전= 화락(花樂) * 주제=단풍을 노래함 고시조 감상 2025.04.02
91, 주렴에 비친 달과 91, 주렴에 비친 달과 주렴(珠簾)에 비친 달과 멀리 오는 옥적소리천추만한(千秋萬恨)을 네 어이 돋우느냐.천리에 임 이별하고 잠 못 들어 하노라. * 작자= 미상 * 출전= 육청(六靑) * 주제= 임을 그리워함 고시조 감상 2025.04.01
90 저 건너 저 뫼를 보니 90 저 건너 저 뫼를 보니 저 건너 저 뫼를 보니 눈 왔으니 다 희것다.저 눈 곧 녹으면 푸른빛이 되련마는희온 후 못 검는 것은 백발인가 하노라. * 작자= 미상 * 출전= 진청(珍靑) * 주제= 백발을 서러워함 고시조 감상 2025.03.31
89, 저 가는 저 사람아 89, 저 가는 저 사람아 저 가는 저 사람아 네 집이 어디메오나는 정처 없어 간 데마다 집이로다옷 벗어 술 받은 집은 다 내 집인가 하노라. * 작자= 미상 * 출전= 근락(槿樂) * 주제=정처없이 사는 생활. 고시조 감상 2025.03.30
88, 정성으로 노를 꼬아 88, 정성으로 노를 꼬아 정성으로 노를 꼬아 벽공에 치부비어요지일월(瑤池日月)을 굽이굽이 매어두고부모님 천만세 전이야 놓을 줄이 있으랴. *요지일월(瑤池日月)-하늘에 떠있는 해와 달 * 작자= 미상 * 출전= 근락(槿樂) * 주제=부모님의 장수를 빈다. 고시조 감상 2025.03.29
87, 장송이 푸른 곁에 87, 장송이 푸른 곁에 장송이 푸른 곁에 도화는 붉어 있다.도화야 자랑마라 너는 일시 춘색이라.아마도 사절춘색은 솔뿐인가 하노라. * 작자= 미상 * 출전= 동가(東歌) * 주제=소나무의 굳은 절개를 찬양함 고시조 감상 2025.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