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6, 꽃이야 곱다마는 106, 꽃이야 곱다마는 꽃이야 곱다마는 가지 높아 못 꺾겠다.꺾지는 못하나마 이름이나 짓고 가자.아마도 그 꽃 이름은 단장환가. * 단장환가=애를 끓는 꽃인가 * 작자= 미상 * 출전= 남훈(南薰) *주제= 무명의 꽃을 찬양함 고시조 감상 02:19:22
105, 간밤에 부던 바람에 105, 간밤에 부던 바람에 간밤에 부던 바람에 만정도화 다 지거다.아이는 비를 들고 쓸으려 하는괴야낙환들 꽃이 아니랴 쓰지 만들 어떠리. * 작자= 미상 * 출전= 진청(珍靑) * 주제=낙환들 꽃이 아니랴 쓸지 마라. 고시조 감상 2025.04.15
104, 갈 길이 머다 하나 104, 갈 길이 머다 하나 갈 길이 머다 하나 저 재 너머 내 집이라.세로송림(細路松林)에 달이 조차 돋아온다.가뜩이 굴먹는 나귀를 모다 무삼하리오. * 작자= 미상 * 출전= 고금(古今) *주제= 서두르지 마라. 고시조 감상 2025.04.14
103, 가득이 저는 나귀 103, 가득이 저는 나귀 가득이 저는 나귀 채 주어 모지마라.서산에 해 지다 달 아니 돋아오랴.가다가 주사(酒肆)에 들면 갈똥말똥 하여라. * 주사 (酒肆)=술집. * 작자= 미상 * 출전= 고금(古今) *주제=서두르지 마라. 고시조 감상 2025.04.13
102, 어버이 날 낳으시고 102, 어버이 날 낳으시고 어버이 날 낳으시고 어질게 길러내니이 두 분 아니시면 내 몸 나서 어질소냐.아마도 지극한 은덕을 못내 갚아 하노라. * 작자= 낭원군(朗原君,?-1699) 선조의 손자 * 출전= 진청(珍靑) *주제= 부모의 은덕을 기림. 고시조 감상 2025.04.12
101 , 어버이 살아신제 101 , 어버이 살아신제 어버이 살아신제 섬길 일란 다하여라.지나간 후면 애닯다 어이하리.평생에 고쳐 못할 일이 이뿐인가 하노라. * 작자= 정철(鄭澈, 1536-1593) 조선 중종-선조 때의 시인 재상 * 출전= 송강가사 *주제= 살아 계실 때 어버이를 섬겨라. 고시조 감상 2025.04.11
100, 간밤의 꿈도 좋고 100, 간밤의 꿈도 좋고 간밤의 꿈도 좋고 아침에 까치 일 우더니반가운 우리임을 보려 하고 그랬구나.반갑다 반갑다 반겨하올 말 없어라. * 작자- 미상 * 출전 =고금(古今) *주제= 간절히 그리운 임 고시조 감상 2025.04.10
99, 이별이 불이 되니 99, 이별이 불이 되니 이별이 불이 되니 간장이 타노매라.눈물이 비 되니 끌 듯도 하건마는한숨이 바람이 되니 끌똥말똥하여라. * 작자= 미상 * 출전= 아녀(雅女) *주제= 애태우는 이별의 서러움 고시조 감상 2025.04.09
98, 자다가 깨달으니 98, 자다가 깨달으니 자다가 깨달으니 원촌의 닭이 운다.안고 다시 안아 새 사랑 내였거든무슨 일 동녘에는 점점 밝아 가누나. * 작자= 미상 * 출전 =고금 * 주제=임을 품은 밤이 밝아 옴을 한스러워 한다. 고시조 감상 2025.04.08
97, 초당에 벗이 없어 97, 초당에 벗이 없어 초당에 벗이 없어 혼자 누워 잠을 드니청풍명월이 임자 없이 들어온다.잠 깨어 이 좋은 경을 눌더러 무르랴. * 작자= 미상 * 출전= 고금(古今) *주 제= 맑은 바람 밝은 달을 찬양함 고시조 감상 2025.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