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상식 212

북유럽은 왜 행복도가 높은가

북유럽은 왜 행복도가 높은가 == 핀란드 출신 기업가 “일에서의 성공이 행복의 열쇠는 아니다”== 매년 발표되는 ‘세계 행복도 조사’. 이 조사에서 매년 북유럽 5개국이 상위 10위권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핀란드,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아이슬란드는 다른 국가에 비해 행복도가 높다.2022년 순위에서는 핀란드가 1위를 차지했으며, 덴마크와 아이슬란드가 그 뒤를 이었다. 스웨덴과 노르웨이도 각각 7위와 8위를 차지하며 톱 10에 포함되었다. 참고로 미국은 16위, 일본은 54위 한국은 59위였다. 세계 행복도 조사표(2022년도)(참고) 이 조사의 점수는 1인당 GDP, 건강한 기대수명, 사회적 지원, 삶의 자유도, 타인에 대한 관용, 국가에 대한 신뢰도 등 6개 항목에 대해 조사하여 순위를 매긴..

상식 2025.04.26

의외로 잘 모르는 ‘똑똑한 논문 쓰기’의 정체

의외로 잘 모르는 ‘똑똑한 논문 쓰기’의 정체==모든 것은 ‘형식을 아는 것’에서 시작된다== 리포트나 논문, 도대체 어떻게 써야 할까? 주제 선정부터 글을 시작하는 방법, 좋은 논문과 나쁜 논문의 결정적 차이, 절대 해서는 안 되는 것들까지—신간 『제로부터 시작하는 무적의 리포트・논문술』에서는 풍부한 지도 경험을 가진 대학 교수가 논문 작성의 ‘비법’을 모두 공개한다. 「논쟁형」과 「전기형」『제로부터 시작하는 무적의 리포트・논문술』에서는 문과 및 문화론 계열 논문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고 하며, ‘논쟁형’과 ‘전기형’에 대해 소개한다. 〈먼저 논쟁형 논문에 대해 설명한다.이것은 제가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얻은 실감 중 하나인데, 세상의 모든 일에는 대개 양면이 있고, 그 양면 각각에 그 나름의 정당성..

상식 2025.04.18

대학생의 레포트. 논문 작성에 대하여

대학생의 레포트. 논문 작성에 대하여==테마를 어떻게 전하나, 어떻게 쓰기 시작해야 하나 등 꼭 알아야 할 코스의 정체==  리포트·논문, 어떻게 써야 할까? 주제 선정부터 글을 쓰는 방법, 좋은 논문과 나쁜 논문의 결정적인 차이, 절대 해서는 안 되는 실수들까지. 신간 『제로부터 시작하는 무적의 리포트·논문술』에서는 풍부한 지도를 경험한 대학 교수가 그 ‘비법’을 아낌없이 공개하고 있다. “어떻게 써야 하지?”“선생님… 저기… 졸업논문은 어떻게 써야 하나요?”미국 문학·문화를 전문으로 대학에서 졸업논문 지도를 해온 지도 30년이 넘었지만, 제 세미나에 새로 들어온 학생들이 처음으로 꺼내는 말은 언제나 이 한마디이다.“졸업논문 = 4년간 학업의 총결산”이라는 부담감 때문일지도 모르고, 혹은 단순히 “긴 ..

상식 2025.04.14

언론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

언론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방송용어(연출관련) 연출 관련 방송용어 정리2015-09-03 16:28작성자 | 미디어잡 카메라의 사이즈  ♣ C.U(Close Up) : 사람의 눈만 잡는다든가, 촛불의 불꽃만 잡는다.  ♣ C.S(Close Shot) : 사람의 눈썹에서 턱까지 잡는다.  ♣ T.B.S.(Tight Bust Shot) : 머리끝에서 어깨의 선까지 잡는다.  ♣ B.S(Bust Shot) : 머리끝에서 젖가슴까지 잡는다.  ♣ W.S(Waist Shot) : 허리까지 잡는다.  ♣ K.S(Knee Shot) : 무릎까지 잡는다.  ♣ M.S(Medium shot) : 머리끝에서 발까지 잡는다.  ♣ F.S(Full Shot) : 집 전체가 보일 정도로 멀리 잡는다.  ♣ L.S(Long Sh..

상식/언어자료 2025.02.28

즐거운 하루를 만드는 10가지 방법

즐거운 하루를 만드는  10가지 방법  1.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사람과 교제하라. 가까이 지내는 사람의 기분과 행동은 자신의 기분과 행동에 전염성이 있다.  2. 지나친 죄의식을 갖지 말라. 다른사람의 기분파 감정이 모두 당신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오만이다.  3. 자신감을 가져라. 자신의 약점보다 장점을 바라보고 자기 비판보다는 자신의 성공과 행복을 스스로에게 확신시킬 수 있는 사람만이 성공한다.  4. 남과 비교하지 말라. 세상엔 당신보다 잘난 사람도 있고, 못난 사람도 있게 마련이다.  5. 행복해지겠다고 결심하라. 사람은 자신이 작정한 만큼 행복해 질 수 있다  6. 자신에 대한 불행감이나 삶에 대한 허무감을 버려라.  7. 완벽주의자가 되지 말라. 실수하는 것은 인간이고 용서하는 것은 신이다..

상식 2024.12.07

좋은 상사의 26가지 습관(5/5)

좋은 상사의 26가지 습관(5/5)  21, "좋은 사람"이 "좋은 상사"를 의미하지는 않는다갈등을 피하려고 좋은 사람으로 행동해서는 안 된다. 22, 일하는 방식에 대한 좋은 이미지를 가진다경청하는 자세를 가진다. 이것이야말로 내향적인 사람이 좋은 상사가 되는 이유다.대부분 말하기를 좋아하는 상사가 많지만, 부하 직원의 이야기를 진지하게 듣는 것은 그들의 의견과 요구를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증거다. 23, 부하 직원의 삶에 관심을 보인다좋은 상사는 지나치게 간섭하지 않는다. 하지만 여름휴가 계획, 자녀, 나이 든 부모와 같은 개인적인 이야기를 꺼내는 정도의 관심은 보인다. 이는 상사가 부하 직원을 진심으로 신경 쓰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더 나은 관계를 구축하는 데 도움을 준다. 24, 접근 방식을 유..

상식 2024.12.06

좋은 상사의 26가지 습관(4/5)

좋은 상사의 26가지 습관(4/5)  16. 부하의 도전을 중요시한다일이 없어 한가한 상태는 불행한 일이다. 좋은 상사는 부하가 무언가에 도전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17, 지나치게 세세하게 관리하지 않는다하지만 지나치게 맡기지도 않는다.부하 직원의 능력을 신중히 관찰하며 최적의 균형을 찾아보라. 더 많은 책임을 부여할 수는 없을까? 더 많이 맡길 수 있는 일은 없을까? 18, 부하 직원과 소통한다부하 직원의 목표나 걱정을 이해하려면, 부하 직원에게 일방적으로 말하는 것이 아니라, 대화로 소통해야 한다. 19, 유머 감각이 있는 리더가 된다직장에서 지나치게 장난스럽게 행동해서는 안 된다. 일은 진지하게 해야 하지만, 부하 직원과 함께 웃는 것은 좋은 일이다. 20, 부하 직원의 꿈과 목표를 소중히 여긴다좋..

상식 2024.12.05

좋은 상사의 26가지 습관(3/5)

좋은 상사의 26가지 습관(3/5)  11, 피드백을 제공한다훌륭한 부하 직원은 어떻게 하면 더 나아질 수 있을지, 어떻게 하면 성장할 수 있을지 피드백을 구한다. 좋은 상사는 이를 기꺼이 제공한다. 12, 개방적이고 투명한 직장 환경을 유지한다 13. 부하의 의견을 듣는다부하는 자신의 의견을 들어주길 원한다. 물론 최종적인 결정을 내리는 것은 상사인 당신이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 가끔은 부하의 생각이나 의견을 들어보자. 14. 자신의 생각을 부하에게 설명한다좋은 상사는 주변 사람들이 자신의 생각을 알아서 파악해 주길 기대하지 않는다. 그들은 명확한 비전을 가지고 있으며, 그 실현을 위해 필요한 지식과 도구를 팀에게 제시한다. 15. 해결책을 중시한다상황이 어려워졌을 때, 부족한 상사는 누구의 탓인지 비..

상식 2024.12.04

좋은 상사의 26가지 습관(2/5)

좋은 상사의 26가지 습관(2/5)  6, 정중히 일을 부탁한다정중히 일을 부탁한다. 무능한 상사일수록 큰 소리로 명령하거나 자신의 권력을 과시하기 위해 거들먹거리거나 제멋대로 행동한다. 7, 부하 직원을 지원한다어려움에 처한 부하 직원을 방치하는 것은 이상적인 태도라 할 수 없다. 8, 장애물을 제거한다무능한 상사는 부하 직원이 일하기 어렵게 장애물을 만든다. 반면 좋은 상사는 부하 직원이 더 일하기 쉬운 환경을 만들기 위해 적극적으로 눈앞의 장애물을 제거한다. 9, 부하 직원들에게 훌륭한 코치가 된다코치는 단순히 옆에서 지켜보기만 해서는 안 된다. 그렇다고 직접 필드에 뛰어들어 경기를 하기 시작해서도 안 된다.좋은 상사는 훌륭한 코치와 같다. 부하 직원들의 존경을 얻고, 칭찬과 함께 건설적인 비판을 ..

상식 2024.12.03

좋은 상사의 26가지 습관(1/5)

좋은 상사의 26가지 습관(1/5) 관리직도 쉽지 않다.부하 직원이 있다는 것은 큰 압박감을 동반한다. 또한, 관리자로서 자신의 업무 능력을 평가하는 일도 간단하지 않다.부하 직원들의 존경을 받고 싶지만, 혹시 다가가기 어려운 사람으로 보이지는 않을까? 당신의 리더십을 부하 직원들이 잘 따라오고 있을까? 당신의 행동이 직장에서 원망을 사고 있지는 않을까?당신이 좋은 상사인지의 여부는 당신이 속한 조직에 매우 중요한 문제다. Business Insider가 이전에 보도한 바에 따르면, 한 조사 결과 직장인의 3분의 1이 상사 때문에 회사를 그만두었다고 한다.그렇다고 해서 직장에서 돌아다니며 자신의 평가를 묻고 다닐 수는 없다. 대신, 직원 만족도 조사나 부하 직원들로부터 피드백을 확인하는 것이 더 나을 것..

상식 2024.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