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2025/05/09 5

「왜 생물은 진화하는가?」 진화가 일어나지 않기 위한 4가지 조건, (끝)

「왜 생물은 진화하는가?」 진화가 일어나지 않기 위한 4가지 조건, (끝)==‘하디–바인베르크 평형’을 생각해 보면 보이기 시작하는 그 해답이란?== 5, 진화의 메커니즘은 오직 네 가지뿐 그렇다면 하디-바인베르크 평형은 어떤 경우에 성립할까?앞서 혈액형 이야기를 할 때는 인원수가 100명인 집단을 상정했다. 그러나 사실 100명으로는 부족하다. 확률대로라면 다음 세대에서 100명 중 64명이 A형이 되겠지만, 실제로는 65명일 수도 있고, 62명일 수도 있다. 대부분 약간의 오차가 생긴다.이처럼 우연에 의해 유전자 빈도가 달라지는 것을 **유전적 부동 (genetic drift)**이라고 한다. 유전적 부동을 없애고 확률대로 되게 하려면 방법은 단 하나, 집단의 크기를 무한대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

남극에서 거대한 빙산 분리, 해저에는 놀라운 생물의 보고가 펼쳐져, (끝)

남극에서 거대한 빙산 분리, 해저에는 놀라운 생물의 보고가 펼쳐져, (끝)==“색채의 풍부함과 아름다움에 너무나도 놀랐다.– 조사하기 어려운 빙붕 아래에서 발견된 생태계== 앞으로 생태계는 어떻게 변할까? 연구진이 수집한 방대한 생물학, 지질학, 화학 샘플들은 아직 분석되지 않아 많은 의문이 남아 있다. 에스케테 씨는 "빙붕이라는 보호막이 사라진 지금, 이곳의 생태계는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졌다.시모리 씨는 "이 빙산이 빙붕에서 분리됨으로써 해수 상층부가 어떻게 휘저어지고, 이 지역의 해류 순환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가 궁금하다"고 말했다.한편, 생태학자들은 남극 깊은 바다에 대한 기존의 생각이 완전히 바뀌었다는 사실에 혼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A-84 덕분에, "남극 빙붕 아래에 ..

세계의 과학자 39,월리스 흄 캐러더스(1896-1937) 이야기.(끝)

세계의 과학자 39, 월리스 흄 캐러더스(1896-1937) 이야기.(끝)==나일론 등의 합성 섬유, 합성고무를 발명하여 고분자과학과 화학 섬유 나일론의 아버지== 6, 결혼과 자살 1934년부터 교제하던 헬렌 스위트먼과 1936년 2월 21일에 결혼했다. 스위트먼은 화학 석사 학위를 가지고 있었고, 듀폰에서 특허 신청 업무를 맡고 있었다.그 직후인 1936년 4월 30일, 그는 산업계 화학자로는 최초로 미국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이는 그의 과학적 공헌이 인정받은 영예였지만, 그 해 6월에도 캐러더스는 여전히 우울증에 시달렸다. 6월 초, 마지못해 주치의 케네스 아펠이 있는 필라델피아의 유명 정신병원에 입원했다. 한 달 후, 그는 친구들과 함께 티롤 알프스에 하이킹을 가는 것을 허락받았다..

세계의 과학자 2025.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