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2025/05/27 7

세계 최대의 댐, 가득 차면 지구 자전을 늦춘다

세계 최대의 댐, 가득 차면 지구 자전을 늦춘다 인간은 무력한 존재가 아니다라는 확신중국의 거대 댐이 지구의 자전을 인간이 눈치채지 못할 정도로 아주 미세하게 늦추고 있다고 한다. 거대 댐이 지구 자전에 영향을?미국항공우주국(NASA)의 2005년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후베이성에 위치한 삼협댐(싼샤댐) 은 세계 최대 규모의 수력 발전용 댐으로 알려져 있으며, 만수 시 약 40입방킬로미터의 물을 저장할 수 있다. 이는 올림픽 규격 수영장의 약 1,600만 배, 또는 일본 비와호의 약 1,450배에 해당하는 엄청난 양이다. 정말 크다.이 엄청난 양의 물 이동으로 인해 지구의 형태가 변화하는데, 적도가 약간 부풀고 극지방은 평평해지며, 하루 길이가 약 0.06마이크로초(100만분의 0.06초) 길어질 가능..

꿀벌에게는 고도의 지성과 감성이 있다.

꿀벌에게는 고도의 지성과 감성이 있다== 30년간의 연구로 밝혀졌다== 1, 꿀벌은 지구 생태계에서 없어서는 안 될 존재다. 꿀벌은 다양한 식물의 수분을 매개하기 때문에, 만약 사라진다면 지구상의 모든 생물에 영향을 미칠 정도다.지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꿀벌들에게는 지금까지 생각했던 것 이상으로 높은 지능이 있다는 것이 점점 밝혀지고 있다.그뿐만이 아니다. 꿀벌 연구의 일인자인 런던대학교 퀸메리 칼리지의 라스 치타 교수의 30년 연구 성과에 따르면, 꿀벌에게는 어느 정도의 의식이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증거가 모이고 있다고 한다.감성을 가지고 있으며, 감정이 있는 듯한 행동을 보인다고 한다. 2, 꿀벌은 사람의 얼굴을 식별할 수 있다치타 교수에 따르면 꿀벌은 감정을 가지고 있으며, 사물을 계획하..

인공지능(AI) 도입으로 생기는 7가지 이로운 점

인공지능(AI) 도입으로 생기는 7가지 이로운 점 인공지능기술의 진보에 따라 폭넓은 업계, 분야에서의 활용이 진행되고 있다.이 기사에서는 AI, 인공지능을 도입하는 장점과 업계별 활용 사례를 소개한다. 또 인공지능 도입이 단점과 해결법에 대해서도 알기 쉽게 해설한다. 인공지능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분은 반드시 참고하기 바란다. AI(인공지능)란 먼저 “AI(인공지능)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보겠다.AI는 **Artificial Intelligence(인공 지능)**의 약어로, 인간이 수행하는 ‘지적 활동’을 컴퓨터가 구현하는 것을 말한다.지적 활동이란 예를 들어 ‘자동차를 운전한다’거나 ‘게임을 한다’는 것처럼, 인간의 뇌로 사고하고 실행하는 활동을 통칭하는 개념이다.또한 AI는 단순히 지시..

생명은 지구에서 단 한 번만 탄생했을까?(2)

생명은 지구에서 단 한 번만 탄생했을까?(2)==모든 생물의 조상, 「최종 공통 조상(LUCA)」은 「지구 최초의 생물」이 아니었을지도 모른다! == 오늘만큼은, 그런 생물들을 조금이라도 떠올려 보자. 「최종 공통 조상(LUCA)」이란 무엇인가먼저 다음 네 가지 용어를 확인해두자. 「최종 공통 조상」「단일계통군」「크라운 그룹」「스템 그룹」 처음에는 마스토돈(영어 ;Mastodon、Mammut=코끼리목 매머드과 매머드속에 속하는 대형포유류의 총칭) 아프리카코끼리, 매머드, 아시아코끼리 모두 공통된 조상종을 가졌다. 즉, 공통조상 C가 존재했던 것이다. 이후 마스토돈 계통이 분기하고, 이어서 아프리카코끼리 계통이 분기하여 공통조상 B가 되고, 마지막으로 매머드와 아시아코끼리 계통이 나뉘었다. 매머드와 아시..

세계의 과학자 42,르네 데카르트(1596~1650) 이야기.(2)

세계의 과학자 42, 르네 데카르트(1596~1650) 이야기.(2)==고명한 철학자는 해석기하학을 낳은 수학자이기도 했다.== 3, 학문을 버리고 ‘세계’라는 책으로 데카르트는 1596년 프랑스 중부 투렌 지방에서 법복귀족(고등법원의 판사를 지낸 세습되지 않는 귀족) 가문에서 태어나, 10세부터 라플레쉬의 예수회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그곳에서 신학, 스콜라 철학 등 다양한 학문을 배웠지만, 책을 통한 교육에서 배운 것들에 의문을 품기 시작했다. “나는 교사들에 대한 종속에서 해방되자마자, 문자로 이루어진 학문(인문학)을 완전히 버렸다. 그리고 앞으로는 나 자신의 내면에, 혹은 ‘세계’라는 큰 책 속에서 찾을 수 있을지도 모를 학문만을 탐구하기로 결심했다. 그래서 젊은 시절의 남은 시간 동안 다음과..

세계의 과학자 2025.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