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기> 3. 단궁상(檀弓上) 편의 명언 명구
25,
狐死正丘首는 仁也라.(禮記 檀弓上)
호사정구수는 인야라.(예기 단궁상)
여우가 죽을 때 머리를 바르게 언덕을 향하는 것은 인이다.
여우가 죽을 때 머리를 자기가 살던 언덕을 바르게 향하여 죽는다. 이것은 짐승이지마는 인을 분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ㅇ호(狐)-여우. ㅇ구(丘)-언덕. ㅇ수(首)-머리.
26,
細人之愛는 人也以姑息이라.(禮記 檀弓上)
세인지애는 인야이고식이라.(예기 당궁상)
소인의 사랑은 고식적이다.
소인의 사랑은 일시적인 것이라서 진실한 사랑이 아니다.
ㅇ세(細)-작다. ㅇ애(愛)-사랑. ㅇ고(姑)-아직. ㅇ식(息)-편하다.
27,
泰山其頹乎아 梁木其壞乎아.(禮記 檀弓上)
태산기퇴호아 양목기괴호아.(예기 단궁상)
태산이 무너지는가. 대들보가 무너지는가.
태산이 무너지고 대들보가 넘어지듯이 위대한 인물이 죽음을 의미한다.
ㅇ태(泰)-크다. ㅇ퇴(頹)-무너지다. ㅇ량(梁)-대들보. ㅇ괴(壞)-무너지다.
'유가의 고전 > 예기의 명언 명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기> 1. 곡례상(曲禮上) 편의 명언 명구 (0) | 2009.05.02 |
---|---|
<예기> 2. 곡례하(曲禮下) 편의 명언 명구 (0) | 2009.05.02 |
<예기> 4. 단궁하(檀弓下) 편의 명언 명구 (0) | 2009.05.02 |
<예기> 5. 왕제(王制) 편의 명언 명구 (0) | 2009.05.02 |
<예기> 6. 문왕세자(文王世子) 편의 명언 명구 (0) | 2009.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