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기> 20. 공자한거(孔子閒居) 편의 명언 명구 <예기> 20. 공자한거(孔子閒居) 편의 명언 명구 119, 天無私覆하며 地無私載하니라.(禮記 孔子閒居) 천무사복하며 지무사재하니라.(예기 공자한거) 하늘은 사사로이 덮는 것이 없고, 땅은 사사로이 싣는 것이 없다. 하늘 과 땅은 공평무사해서 사정에 쏠리어 덮어주거나 실어주는 데 차별을 두지 않.. 유가의 고전/예기의 명언 명구 2009.05.02
<예기> 21. 방기(坊記) 편의 명언 명구 <예기> 21. 방기(坊記) 편의 명언 명구 121, 睦於父母之黨하면 可謂孝矣니라.(禮記 坊記) 목어부모지당하면 가위효의니라.(예기 방기) 부모의 당에 화목하면 효라 할 수 있다. 부모 형제 친척과 화목한 것이 효자이다. ㅇ목(睦)-화목하다. ㅇ당(黨)-무리. ㅇ효(孝)-효도. 122, 善則稱君하고 過則稱己하라... 유가의 고전/예기의 명언 명구 2009.05.02
<예기> 22. 표기(表記) 편의 명언 명구 <예기> 22. 표기(表記) 편의 명언 명구 126, 以德報德이면 則民有所勤하고 以怨報怨이면 則民有所懲이라.(禮記 表記) 이덕보덕이면 즉민유소근하고 이원보원이면 즉민유소징이라.(예기 표기) 덕으로써 덕을 갚으면 백성에게 권하는 바가 있고, 원망으로써 원망을 갚으면 백성에게 징계하는 바가 있.. 유가의 고전/예기의 명언 명구 2009.05.02
<예기> 23. 치의(緇衣) 편의 명언 명구 <예기> 23. 치의(緇衣) 편의 명언 명구 128, 王言如絲하고 其出如綸이라.(禮記 緇衣) 왕언여사하고 기출여륜이라.(예기 치의) 왕의 말은 가는 실과 같으나 나오면 굵은 실과 같이 된다. 왕의 말은 나올 때는 명주 올 같이 매우 가늘지만 일단 나오면 윤(綸) 곧 굵은 실처럼 되어서 나온 구멍으로는 다시.. 유가의 고전/예기의 명언 명구 2009.05.02
<예기> 23. 치의(緇衣) 편의 명언 명구 <예기> 23. 치의(緇衣) 편의 명언 명구 128, 王言如絲하고 其出如綸이라.(禮記 緇衣) 왕언여사하고 기출여륜이라.(예기 치의) 왕의 말은 가는 실과 같으나 나오면 굵은 실과 같이 된다. 왕의 말은 나올 때는 명주 올 같이 매우 가늘지만 일단 나오면 윤(綸) 곧 굵은 실처럼 되어서 나온 구멍으로는 다시.. 유가의 고전/예기의 명언 명구 2009.05.02
<예기> 24. 유행(儒行) 편의 명언 명구 <예기> 24. 유행(儒行) 편의 명언 명구 130, 服也鄕이라.(禮記 儒行) 복야향이라.(예기 유행) 의복은 고향에 따른다. 사람이 입는 옷은 그 사람의 고향의 풍습에 따른다. ㅇ복(服)-입다. 옷. ㅇ향(鄕)-고을. 고향. 유가의 고전/예기의 명언 명구 2009.05.02
<예기> 25. 관의(冠義) 편의 명언 명구 <예기> 25. 관의(冠義) 편의 명언 명구 131, 禮義之始는 在於正容體하며 齊顔色하며 順辭令하니라.(禮記 冠義) 예의지시는 재어정용체하며 제안색하며 순사령하니라.(예기 관의) 예의의 출발은 몸가짐을 바르게 하고, 안색을 평정하게 가지며, 응대하는 말을 순하게 하는 데 있다. 예의의 시작은 먼.. 유가의 고전/예기의 명언 명구 2009.05.02
<예기> 26. 혼의(昏義) 편의 명언 명구 <예기> 26. 혼의(昏義) 편의 명언 명구 132, 昏禮者는 將合二姓之好하여 上以事宗廟하며 而下以繼後世也니라.(禮記 昏義) 혼례자는 장합이성지호하여 상이사종묘하며 이하이계후세야니라.(예기 혼의) 결혼이란 것은 장차 두 성이 좋게 합하여, 위로는 종묘를 섬기고 아래로는 후세를 잇는 것이다. .. 유가의 고전/예기의 명언 명구 2009.05.02
<예기> 27. 사의(射義) 편의 명언 명구 <예기> 27. 사의(射義) 편의 명언 명구 133, 射者는 仁之道也라.(禮記 射義) 사자는 인지도야라.(예기 사의) 활 쏘는 것은 인의 도이다. 활을 쏘는 것은 인의 도와 같다. 나 스스로 마음을 바르게 하여 과녁을 맞히는 것이 목표이다. 만일에 과녁을 맞히지 못하면 이는 자신의 마음에 잘못이 있음으로 .. 유가의 고전/예기의 명언 명구 2009.05.02
<예기> 27. 사의(射義) 편의 명언 명구 <예기> 27. 사의(射義) 편의 명언 명구 133, 射者는 仁之道也라.(禮記 射義) 사자는 인지도야라.(예기 사의) 활 쏘는 것은 인의 도이다. 활을 쏘는 것은 인의 도와 같다. 나 스스로 마음을 바르게 하여 과녁을 맞히는 것이 목표이다. 만일에 과녁을 맞히지 못하면 이는 자신의 마음에 잘못이 있음으로 .. 유가의 고전/예기의 명언 명구 2009.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