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유가의 고전/예기의 명언 명구 33

<예기> 10. 내칙(內則) 편의 명언 명구

&lt;예기&gt; 10. 내칙(內則) 편의 명언 명구 53, 男不言內하고 女不言外하니라.(禮記 內則) 남불언내하고 여불언외하니라.(예기 내칙) 남자는 집안의 일을 말하지 않으며, 여자는 밖의 일을 말하지 않는다. 남자는 집안의 일에 대하여 말하지 않으며, 여자는 밖의 일 곧 국가나 사회에 관해서 말하지 않는 ..

<예기> 14. 학기(學記) 편의 명언 명구

&lt;예기&gt; 14. 학기(學記) 편의 명언 명구 64, 善歌者는 使人繼其聲하고 善敎者는 使人繼其志하니라.(禮記 學記) 선가자는 사인계기성하고 선교자는 사인계기지하니라.(예기 학기) 노래를 잘하는 사람은 남에게 그 소리를 잇게 하고, 잘 가르치는 사람은 남에게 그 뜻을 잇게 한다. 노래를 잘 부르는 사..

<예기> 16. 상대기(喪大記) 편의 명언 명구

&lt;예기&gt; 16. 상대기(喪大記) 편의 명언 명구 105, 男子는 不死於婦人之手하니라.(禮記 喪大記) 남자는 불사어부인지수하니라.(예기 상대기) 남자가 죽어갈 때는 여자의 손으로 숨이 있는지 끊어졌는지를 갈음해서는 안 된다. 사람이 죽음에 임해서 목숨이 넘어갈 때 숨이 있는지 없는지를 여자의 손을..

<예기> 19. 중니연거(仲尼燕居) 편의 명언 명구

&lt;예기&gt; 19. 중니연거(仲尼燕居) 편의 명언 명구 117, 敬而不中禮를 謂之野니라.(禮記 仲尼燕居) 경이부중예를 위지야니라.(예기 중니연거) 공경하면서 예에 맞지 않으면 이를 야라 한다. 아무리 공경하는 마음이 있고 조심성이 있어도 그 행동이 예에 맞지 않으면 이를 야하다고 한다. ㅇ경(敬)-공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