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기>17. 제의( 祭義) 편의 명언 명구
107,
孝子之有深愛者는 必有和氣하고 有和氣者는 必有愉色하고 有愉色者는 必有婉容하니라.(禮記 祭義)
효자지유심애자는 필유화기하고 유화기자는 필유유색하고 유유색자는 필유완용하니라.(예기 제의)
부모를 생각하여 깊이 사랑하는 자에게는 반드시 화기가 있고,
화기가 있는 자에게는 반드시 부드러운 표정이 있으며,
부드러운 표정이 있는 자에게는 반드시 부드러운 태도가 엿보인다.
부모를 깊이 사랑하는 자에게는 언제나 부드러운 태도를 엿볼 수 있다.
ㅇ유(愉)-유쾌하다. 부드럽다. ㅇ완(婉)-아름답다.
108,
孝有三이니 大孝는 尊親이며 其次는 不辱이며 其下는 能養이니라.(禮記 祭義)
효유삼이니 대효는 존친이며 기차는 불욕이며 기하는 능양이니라.(예기 제의)
효에 세 가지가 있으니, 대효는 어버이를 존경하는 것이고,
그 다음은 어버이를 욕되게 하지 않는 것이며,
그 다음은 잘 봉양하는 것이다.
효도의 세 가지 길은 첫째 어버이를 존경하는 것, 둘째 어버이를 욕되게 하지 않는 것, 셋째 어버이를 잘 봉양하는 것이다.
ㅇ존(尊)-높이다. ㅇ친(親)-어버이. ㅇ차(次)-다음. ㅇ욕(辱)-욕되다. ㅇ양(養)-봉양하다.
109,
父母有過면 諫而不逆하니라.(禮記 祭義)
부모유과면 간이불역하니라.(예기 제의)
부모에게 과실이 있으면 간하기는 하되 반항하지는 말라.
부모님이 과실을 범하였다면 간하여 다시 과실을 범하지 않게는 할망정 반항하여 거역해서는 안 된다.
ㅇ간(諫)-간하다. ㅇ역(逆)-거스르다.
110,
治人之道에 莫急於禮니라.(.禮記 祭義)
치인지도에 막급어례니라.(예기 제의)
사람을 다스리는 도리는 예보다 급한 것은 없다.
사업을 경영하거나 나라를 다스리는 데에 있어서 가장 중요시해야 할 것은 그에 종사하는 사람이다. 이 사람을 잘 다스리기 위한 방법으로서 가장 중요한 것은 예로서 누구나 예의를 중시하여 지키도록 하는 것이다.
ㅇ치(治)-다스리다. ㅇ도(道)-도리. ㅇ막(莫)-없다. ㅇ급(急)-급하다. ㅇ예(.禮)-예도.
111,
齋之日은 思其居處하고 思其笑語하니라.(禮記 祭義)
재지일은 사기거처하고 사기소어하니라.(예기 제의)
재계하는 날은 제사에 모시게 되는 망인의 거처를 생각하고,
웃음과 말씨를 생각한다.
제사를 모시기 전에 목욕재계하여 몸과 마음을 정화한다. 이 때 망인이 생존 시에 살았던 거처를 생각하여야 하고, 웃음과 말씨를 생각하며 제사에 임하는 마음을 가다듬는다.
ㅇ재(齋)-재계하다. ㅇ거(居)-살다. ㅇ처(處)-장소. ㅇ소(笑)-웃음. ㅇ어(語)-말.
112,
齋之日은…思其志意하고 思其所樂하고 思其所嗜하니라.(禮記 祭義)
재지일은…사기지의하고 사기소락하고 사기소기하니라.(예기 제의)
재계하는 날은 제사에 모시게 되는 망인의 뜻을 생각하고
즐기던 것을 생각하고 좋아하던 음식을 생각한다.
재계하는 날은 망인이 생존 시에 무엇을 생각했는지를 생각하고, 무엇을 즐겼는지를 생각하고, 무엇을 좋아하였는지를 생각해야 한다.
ㅇ지(志)-뜻. ㅇ의(意)-뜻. ㅇ소(所)-바. ㅇ락(樂)-즐기다. ㅇ기(嗜)-좋아하다.
113,
祭不欲數이니 數則煩이라.(禮記 祭義)
제불욕삭이니 삭즉번이라.(예기 제의)
제사는 자주 하기를 바라지 않는다. 잦으면 번거롭다.
제사는 자주하는 것이 아니다. 제사를 모시는 사람이 정성을 모아 지내야 한다. 만일 제사를 자주 하게 되면 번거로운 생각으로 정성을 드리는 데 소홀하여 예를 갖추어야 할 제사의 본뜻을 흐리게 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ㅇ제(祭)-제사. ㅇ욕(欲)-바라다. ㅇ삭(數)-자주. ㅇ번(煩)-번거롭다.
114,
身也者는 父母之遺體也라.(禮記 祭義)
신야자는 부모지유체야라.(예기 제의)
몸은 부모가 남긴 몸이다.
우리의 신체는 부모가 남긴 부모의 분신이다.
ㅇ신(身)-몸. ㅇ유(遺)-남기다. ㅇ체(體)-몸.
115,
父母全而生之하니 子全而歸之라야 可謂孝矣라.(禮記 祭義)
부모전이생지하니 자전이귀지라야 가위효의라.(예기 제의)
부모가 온전하게 낳아주었으니 아들도 몸을 온전하게 돌려야 효라 할 수 있다.
부모님이 자녀를 온전하게 낳아주었으니 자녀들도 그 몸을 건강하고 상처 없이 온전하게 지탱하여 살다 돌아가는 것이 효도의 길이라 할 수 있다.
ㅇ전(全)-온전하다. ㅇ귀(歸)-돌아가다. ㅇ위(謂)-말하다. ㅇ효(孝)-효도.
'유가의 고전 > 예기의 명언 명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기>15. 악기(樂記) 편의 명언 명구 (0) | 2009.05.02 |
---|---|
<예기> 16. 상대기(喪大記) 편의 명언 명구 (0) | 2009.05.02 |
<예기>18. 경해(經解) 편의 명언 명구 (0) | 2009.05.02 |
<예기> 19. 중니연거(仲尼燕居) 편의 명언 명구 (0) | 2009.05.02 |
<예기> 20. 공자한거(孔子閒居) 편의 명언 명구 (0) | 2009.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