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2025/02/10 4

수면은 <뇌의 탄생> 이전부터 존재해 왔다... (1)

수면과학1수면은 이전부터 존재해 왔다... (1)==생물은 왜 잠을 자는가? 의외로 알지 못한 이유== 일러두기(※이 기사는 카나야 히로유키 씨의 「수면의 기원」에서 발췌 및 재편집한 것입니다.)카나야 히로유키(金谷 啓之)1998년생, 2020년 큐슈대학이학부생물학과 졸업, 도쿄대학대학원의학계연구과기능생물학 전공시스템약리학교실 대학원박사,  1, 우리는 왜 자고 깨어나는가? 옛날부터 살아있는 유기체는 "뇌를 쉬게 하기 위해 잠을 잔다."고 생각되어 왔지만 이것이 사실일까? "뇌가 없어도 잠을 잔다."는 인간의 상식을 뒤집는 충격적인 사실...! 출간 직후 재출간되어 화제가 된 과학 미스터리 『잠의 기원』에서 그는 자신의 경험과 수면 생물학의 역사를 결합하여 "뇌가 없는 생물인 히드라도 잠을 잔다."는 ..

세계의 과학자 29, 에드먼드 핼리(Edmond Halley, 1656-1742) 이야기(1)

29, 에드먼드 핼리(Edmond Halley, 1656-1742) 이야기(1) 에드먼드 핼리 1, 개요 에드먼드 핼리 (Edmond Halley, 1656-1742)는 친구인 뉴턴의 이론에 바탕하여 혜성의 궤도를 계산하고 약 76년의 주기로 회귀하는 할레혜성을 계산한 것으로 알려지는 영국의 천문학자, 지구물리학자, 기상학자, 물리학자이다,그는 유복한 비누제조업자의 가정에서 태어나 옥스포드대학을 졸업하였다. 어려서부터 천문학, 수학에 흥미를 가졌었다. 많은 혜성의 궤도계산이나 항성의 고유운동, 달의 영년기속도 등을 발견하고 해양학, 기상학, 지구물리학 등에도 큰 공적을 남겼다. 옥스포드대학 교수, 그리니치천문대대장, 왕립협회 회원이기도 했다.(출처=https://www.jinmei.info ›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