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2025/02 113

언론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

언론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방송용어(연출관련) 연출 관련 방송용어 정리2015-09-03 16:28작성자 | 미디어잡 카메라의 사이즈  ♣ C.U(Close Up) : 사람의 눈만 잡는다든가, 촛불의 불꽃만 잡는다.  ♣ C.S(Close Shot) : 사람의 눈썹에서 턱까지 잡는다.  ♣ T.B.S.(Tight Bust Shot) : 머리끝에서 어깨의 선까지 잡는다.  ♣ B.S(Bust Shot) : 머리끝에서 젖가슴까지 잡는다.  ♣ W.S(Waist Shot) : 허리까지 잡는다.  ♣ K.S(Knee Shot) : 무릎까지 잡는다.  ♣ M.S(Medium shot) : 머리끝에서 발까지 잡는다.  ♣ F.S(Full Shot) : 집 전체가 보일 정도로 멀리 잡는다.  ♣ L.S(Long Sh..

상식/언어자료 2025.02.28

사람이 잠을 자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수면과학 5사람이 잠을 자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옛날에  대담한 도전에 나선 한 젊은이가 있었다. 랜디 가드너(Randy Gardner)라는 미국 고등학생이다. 1963년, 그는 과학 경연대회에 참가하려고 했다. 그리고 사람들의 주목을 많이 받을 수 있는 실험을 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었다. 사람들이 잠을 자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랜디는 수면 부족에 대한 실험을 생각해 냈고 직접 테스트해 보고 싶었다. 1963년 12월 28일, 랜디는 크리스마스 연휴 동안 도전>을 시작했다. 그는 실험에 협력자가 있었고, 그가 잠들지 않도록 끊임없이 그와 대화를 나눴다. 그가 잠을 자지 않고 깨어 있는 과정은 무엇이었는가? 밤을 새운 지 이틀째 되던 날, 그는 눈의 초점을 맞추기가 어려워져 TV 시청을 중단했다...

과학/수면과학 2025.02.28

31,요하네스 케플러 (Johannes Kepler, 1571-1630) 이야기(4)

31,요하네스 케플러 (Johannes Kepler, 1571-1630) 이야기(4)== 「케플러의 법칙」 발견으로 천문학에 대변혁을 가져왔다==  7, 케플러의 법칙 발견 케플러는 특히 화성을 연구했다. 티코는 또한 화성의 궤도가 원 안에 들어가기 어렵다는 것을 깨달았다. 수년간의 연구 끝에, 케플러는 어느 날 자신이 제대로 이해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궤도는 최대 8'(분, 은 1° 크기의 1/60)까지 차이가 났다. 케플러는 이 차이를 무시할 수 없었다. 그래서 나는 타원을 적용하고 완벽하다는 것을 알았다. 그것은 케플러의 첫 번째 법칙 (타원 궤도의 법칙)의 발견이었다. 이때가 1605년이었다. 동시에 케플러는 두 번째 법칙 (일정한 면적, 속도의 법칙)을 발견했다. 그러나 이 "새로운 천문학"은..

세계의 과학자 2025.02.28

31,요하네스 케플러 (Johannes Kepler, 1571-1630) 이야기(3)

31,요하네스 케플러 (Johannes Kepler, 1571-1630) 이야기(3)== 「케플러의 법칙」 발견으로 천문학에 대변혁을 가져왔다==   6, 티코와의 해후와 연구 이 시기에 케플러는 티코 브라헤(Tycho Brahe, 1546-1601, 덴마크의 천문학자로, 천문학 기구를 개발하고 별의 위치를 측정하고 고정하는 데 기여하여 미래의 발견을 위한 길을 닦았다. 망원경이 발명되기 전에 가능한 가장 정확한 그의 관측에는 태양계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와 777개 이상의 고정된 별의 정확한 위치가 포함되었다.)의 초대를 받았다.  티코는 정확하고 방대한 관측을 바탕으로 태양계에 대한 새로운 이론을 구축하려고 노력했고, 그는 좋은 조수를 원했다. 그러나 케플러는 내가 예상했던 것보다 더 똑똑한 것으로 밝..

카테고리 없음 2025.02.27

58, 강호에 봄이 드니

58, 강호에 봄이 드니  강호에 봄이 드니 미친 흥이 절로 난다.탁료계변에 금린어 안주 삼고이 몸이 한가 하옴도 역군은이샷다. * 탁료계변(濁醪溪邊)-막걸리 마시는 냇가. *금린어(錦麟魚)-쏘가리. 고운 물고기   * 작자= 맹사성(孟思誠, 1360-1438)세종 때의 대신, 효성이 뛰어나고 청렴한 관리임 * 출전=진청  *주제= 강호의 생활을 임금님의 은혜라 노래함.

고시조 감상 2025.02.27

독수리는 사자를 사냥한다.

독수리는 사자를 사냥한다.== 케냐의  에 대한 첫 번째 상세 보고서== 참깨독수리 참깨독수리 표범과 치타를 사냥한 기록은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독수리인 참깨 독수리이기도 하다새로운 보고서에 따르면 참깨 독수리는 새끼 사자를 사냥할 수 있다. 탄자니아의 세렝게티 국립공원에서 촬영했다. 케냐의 마사이마라 국립보호구역(Masai Mara National Reserve)의 한 관광 가이드는 참깨 독수리가 사바나의 최상위 포식자인 사자를 사냥하는 것을 목격했다. 독수리는 몇 주 동안 사자 떼를 쫓아다녔고, 기회를 엿보자마자 급습하여 새끼들을 공격하여 총 세 마리를 잡았다. 2012년 12월의 일이다. 이 독수리는 분명히 사자를 쫓고 있다.>고 네덜란드 와게닝겐 대학교의 박사 과정 학생인 리처드 스트래튼-햇필드는..

잠을 적게 자는 사람부터 많이 자는 사람까지,수면 시간'은 어떻게 결정되나?

수면과학 6잠을 적게 자는 사람부터 많이 자는 사람까지,수면 시간'은 어떻게 결정되나?    1, 수면과 유전자 하루에 필요한 수면의 양은 대략 정해져 있다. 나의 경우는 보통 7시간 정도 자고, 8시간 자면 잘 잤다고 느낀다. 하지만 6시간 자면 낮에 졸린 느낌이 들고, 4시간 미만으로 자면 집중하기 어렵다. 저의 경우 적정 수면 시간은 7~8시간 정도이다. 어떤 사람들은 매일 4~5시간 정도 자면 괜찮다고 말하고, 어떤 사람들은 상쾌한 기분을 느끼기 위해 9시간 정도의 수면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적절한 수면 시간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수면의 두 가지 과정 모델"이라는 이론이 있다. 수면은 생체 시계와 수면 압력이라는 두 가지 구성 요소에 의해 조절된다. "생체 시계"는 수면 시간을 결정하고, "수면..

과학/수면과학 2025.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