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역사에 남을 위대한 여성 127

폴란드 출신 여성 마르크스주의자 <로자 룩셈브르크>(2/2)

폴란드 출신 여성 마르크스주의자 (2/2) 더 보기 로자 룩셈브르크는 폴란드 태생으로 독일인 여성 사회주의자이다. 독일과 폴란드 사회주의를 지도하였다. 마르크스주의의 정통적인 계급투쟁이론을 축으로 하여 국가지배의 사멸을 목표로 하는 논진을 펴고 민족독립파에게는 비판적이었다. 독일 사회민주당의 좌파투사로서 활동하여 당의 전쟁 협력을 비판하여 스파르타크스단을 결성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1918년 11월 3일 킬(Kiel/지명)군항의 수병반란을 일으켜 전국적으로 노병평의회(勞兵評議會/레테)(독어 ; Räte=독일 혁명전후에 독일에서 발생한 병사와 노동자에 의한 평의회조직. 러시아에서의 소비에트와 같은 뜻)가 결성되고 한꺼번에 독일황제의 퇴위가 실현되어 독일혁명이 시작되었다. 12월에 독일..

폴란드 출신 여성 마르크스주의자 <로자 룩셈브르크>(1/2)

폴란드 출신 여성 마르크스주의자 (1/2) 로자 룩셈브루크(독 ; Rosa Luxemburg,폴란드어; Róża Luksemburg, 1871년-1919년)는 폴란드에서 태어나 독일에서 활동한 마르크스주의의 정치이론가, 철학자, 혁명가이다. 미하일 두칸=파라노프스키(Mikhail Ivanovich Tugan-Baranovsky, 1871년-1919년, 우크라이나 출신 경제학자)와 루돌프 히르파딩그(Rudolf Hilferding、1877년-1941년. 오스트리아 출신인 독일 정치가, 마르크스경제학자)의 불비례설에 대하여 칼 카우스키(독;Karl Johann Kautsky, 1854년-1938년=오스트리아인으로 독일 중심으로 활동한 마르크스주의정치이론가)와 함께 소비제한설에 대치하여 미하우 카레스키(폴란드..

고대 그리스의 여성 시인 <사포>(2/2)

고대 그리스의 여성 시인 (2/2) 2, 텍스트의 전승과 평가 사포의 시는 그 재세 중부터 인기가 있었지만 고전기의 아티카(Attica)에는 이미 얼마의 작품집이 존재하고 있었던 것이 알려지고 있다. 헬레니즘시대 기원전 3세기의 알렉산드리아에서 사포의 작품은 정전화(正典化) 되어서 비잔티온(라틴어; Byzántion)의 아리스토파네스(Aristophnes)와 그 제자인 아리스타르코스(라틴어 ; Aristarchus, BC310-230, 천문학자)의 두 사람에 의해서 각각 사포 작품이 만들어졌다. 어느 것이거나 9권으로 아리스토파네스 것은 제재에 따라서 분류되고, 아리스타르코스의 것은 시형에 따라 분류되고 있어서 알렉산드리아의 시집은 조금씩 산일되었으나 2-3세기 무렵에는 대부분 남아있었던 것 같다. 고대..

고대 그리스의 여성 시인 <사포>(1/2)

고대 그리스의 여성 시인 (1/2) 1, 생애 사포( Sapphō、 BC7세기-BC6세기초)는 고대 그리스 여성시인이다. 출신지 레스포스도에서 쓰던 언어로는 프사파(Psappha) 또는 프사포(Psappho)라 불린다. (1877년) 새루루 멘긴(Charles Auguste Mengin、1853년 7월 5일 - 1933년 4월 3일=프랑스 화가)이나 어느 전통적인 설에서는 사포는 레우칸디안(Leucadian) 의 절벽에서 떨어져 자실했다고 한다. 는 생전부터 시인으로 저명하고 시게리아도의 슈라그사이에 망명할 시기에 조상(彫像)이 세워졌었다고 한자, 또 풀라톤의 작으로 전해지는 시 속에 그녀를 라고 부르고 있다. 역사상 확실한 것은 는 레스포스도에서 태어났는데, 가족이 집권자 피타코스(Pittakos, B..

근대영국 장편소설의 정점을 낳은 <제인 오스틴>(6/6)

근대영국 장편소설의 정점을 낳은 (6/6) 6, 대표 작품 - 이성과 감성 (Sense and Sensibility) 제인 오스틴이 1811년에 발행한 소설로, 그녀의 첫 번째 소설이다. 이 작품은 현실적인 이성과 감성적인 감동을 비교하고 대조시키는 것을 중심으로 하며, 두 자매의 사랑과 결혼을 중심으로 한 이야기를 다룬다. 출처=에서 발췌 편집함. 오만과 편견 (Pride and Prejudice) "오만과 편견"(Pride and Prejudice)은 제인 오스틴이 1813년에 발행한 소설로, 그녀의 가장 유명하고 사랑받는 작품 중 하나이다. 이 작품은 사회적인 편견과 오만함, 그리고 사랑과 감성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 출처=에서 발췌 편집함. 일본어원문=ジェーン・オースティンの生涯 출처=https:..

근대영국 장편소설의 정점을 낳은 <제인 오스틴>(5/6)

근대영국 장편소설의 정점을 낳은 (5/6) 5, 아디손병에 걸려 조용히 숨을 거두었다. 작가로서 순조로이 활략하던 그녀였는데 이 때부터 병으로 좀 먹혀 들어가듯이 몸이 아팠다. 림프종과 같은 아디손(Addison)병이었다고 한다. 『설득』을 막 출판할 무렵에는 걷기조차 힘들어서 1817년에는 요양을 위해 언니 카산드라와 오빠 헨리의 부축을 받아 윈체스터(Winchester)로 옮겼지만, 2개월 후 1817년 7월 18일에 4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녀의 유해는 에 묻혔다. 큰 공적을 남긴 오스틴이었지만 독신이었기 때문에 당시의 관습에 따라 언니인 카산드라만이 참가한 조용한 장례가 행해졌다. 작가로서의 오스틴의 이름이 독자에게 알려지게 된 것은 사후 한참 지난 후였다. 처녀작인 『노상가 아비』를 그로스비..

근대영국 장편소설의 정점을 낳은 <제인 오스틴>(4/6)

근대영국 장편소설의 정점을 낳은 (4/6) 4, 아버지의 사후 튜톤으로 이사하고 『분별과 다감』으로 데뷔한다. 1805년 아버지가 사망하자 어머니와 언니와 오스틴은 항구도시인 사우샘프톤(Southampton)에 있는 다섯째 오빠 프랑크의 집에서 함께 살기 시작하였다. 그런데 그다지 마음이 놓이는 환경은 아니었던 듯하다. 1809년에는 상류계급 가정에서 양자로 자란 지주인 셋째오빠 제임스의 후의로 그의 저택을 제공 받게 되었다. 그런 결과 오스틴은 조용한 시골 튜톤에서 집필활동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 그래서 완성한 것이 『수산(Susan)』(출판할 때 『노상가 아비( Northanger Abbey)』라고 수정되었다.)이라는 작품으로 넷째오빠 헨리의 조력으로 런던에 있는 출판사 그로스비사와 계약하기에 이..

근대영국 장편소설의 정점을 낳은 <제인 오스틴>(3/6)

근대영국 장편소설의 정점을 낳은 (3/6) 3, 이루지 못한 첫사랑이나 연인과의 이별을 경험한 20대 1796년 오스틴은 20세가 되는 겨울에 첫사랑을 경험하게 된다. 그녀는 이었다고 하는 종자매에게서의 증언도 남아있고 당시 20세라고 하면 여성의 결혼적령기였다. 그 상대는 지인의 조카였던 라는 인물이다. 톰을 만난 오스틴은 바로 친해졌다. 실제로 약혼자를 만나러 나간 언니 카산드라에게 쓴 편지 안에는 그에게서 책을 빌린 이야기나 고 하는 내용이 적혀있을 정도였다. 그러나 톰이 대학 졸업 후에도 공부를 계속하는 몸이었고 12형제의 장님이라는 입장에서 가족을 위하여 책임 있는 결혼을 요구하고 있었다. 이러한 사정도 있어서 톰은 묽은 연애로 맺어지지 못하고 실연했다. 이 해 가을에 밑그림을 그린 것이 을 그..

근대영국 장편소설의 정점을 낳은 <제인 오스틴>(2/6)

근대영국 장편소설의 정점을 낳은 (2/6) 2, 소설가로서의 재능이 보인 소녀시대 소위 의 생활을 강요당하고 있던 오스틴이지만 그런 가운데에서도 독서는 그녀의 생활의 중심이었다. 실제로 언니와 오스틴은 아버지의 서재의 책들을 깔끔히 읽고 있었다. 당시 책은 고가였으므로 책을 빌려주는 대본점에도 자주 가서 괴테나 섹스피어 등의 고본에서부터 당시 유행하던 가십소설까지 넓게 읽고 있었다. 오빠가 다니는 대학의 도서관에 데리고 갔었던 일도 많았다 한다. 이러한 독서 습관은 그녀의 생애에 큰 영향을 끼쳤다. 당시에는 여성이 소설을 쓴다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 풍조가 있었지만 가족들은 그녀가 소설을 쓰는 것을 호의적으로 받아들였다. 노트나 종이쪽지 등에 단편의 이야기를 적고 종종 가족이나 친구에게 읽어주는 것을 즐거..

근대영국 장편소설의 정점을 낳은 <제인 오스틴>(1/6)

근대영국 장편소설의 정점을 낳은 (1/6) 1, 출생과 교육 제인 오스틴(jane-austin)은 1775년에 잉글랜드 남부 함프샤(Hampshire)의 스티분톤 (Steventon) 에서 목사의 딸로 태어났다. 그녀는 8명의 형제자매 중 일곱 번째였는데 언니가 한사람이 있어서 자매는 둘이었다. 그런 오스틴가는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 아버지는 목사직을 수행하면서 남학생을 교육하는 학교를 경영하고 있었다. 1783년 오스틴은 아버지의 권에 따라 언니와 함께 아버지의 지인에게 맡겨졌다. 그런데 티프스가 유행하여 두 사람은 감염된 때문에 바로 자택으로 되돌아왔다. 1년 간 요양 후 1785년부터 이듬해까지 바크샤(Berkshire)에 있는 레딩수도원여자기숙학교(Reading LadiesBoarding Sch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