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역사에 남을 위대한 여성 127

고백시의 개척자 <실비아 플래스>(4/5)

고백시의 개척자 (4/5) 4, 플래스의 죽음 1963년 1월에 플래스는 늘 치료를 받는 의사 존 호다(Dr John Horder) 에게 상담했다. 호다는 그녀에 대해서 잘 알고 있는 사이좋은 친구이기도 하였다. 플래스는 그에게 우울상태가 6, 7개월간 계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호다의 증언에 따르면 그녀가 일을 계속할 수 있는 기간에도 거의 시간을 안정시키지 못한 채로 끊이지 않는 초조감, 죽고 싶은 생각, 일상생활을 할 수 없을 특징을 수반한 심각한 상태에 빠졌다. 또 플래스는 불면의 고민, 밤에 수면 유도제를 썼으나 새벽에 깨는 날이 종종 있었다. 또 체중도 약 7.4Kg 감소하였으나 그녀는 외견을 도로 감추어서 우울증 특유의 죄악감이나 무력감을 말하지 않았다. 호다는 플래스가 자살하는 수일 전에 항..

고백시의 개척자 <실비아 플래스>(3/5)

고백시의 개척자 (3/5) 3. 테드 휴즈와의 결혼과 작품 활동 1956년 영국 시인 테드 휴즈(Ted Hughes)를 만나게 되는데, 만난 지 얼마 되지 않아 그해 6월에 결혼했다. 플래스가 유학 과정을 마친 뒤 두 사람은 미국으로 갔으며, 모교인 스미스 여대에서 1957년 9월부터 이듬해 5월 말까지 강의를 하였다. 남편 휴즈는 인근 매사추세츠 대학교에서 강의를 맡게 되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두 사람은 교수 직업이 창작 생활에 부담이 된다고 느끼고 보스턴으로 옮겨 창작에만 전념하였다. 이것을 계기로 플래스는 보스턴에서 생활을 이어나가게 되었고, 이 시기에 보스턴 대학교에서 시인 로버트 로월(Robert Lowell)의 강의를 듣게 되었다. 1960년부터 1962년까지의 기간은 플래스가 가장 ..

고백시의 개척자 <실비아 플래스>(2/5)

고백시의 개척자 (2/5) 2. 작가의 생애 초기 생애 실비아 플래스는 1932년 10월 27일 미국 보스턴 대학교의 생물학 교수이자 땅벌 연구가였던 독일 그나보프(Grabow) 출신의 아버지 오토 플래스(Otto Plath)와 오스트리아계 미국인인 어머니 아우렐리아 쇼보 플래스(Aurelia Schober Plath)의 딸로 태어났다. 1934년 그녀의 동생 워렌 플래스(Warren Plath)가 태어난 뒤 메사추세츠 윈스럽(Winthrop)에서 자랐다. 실비아 플래스는 8살 때 처음 Boston Herald에 시를 발표하였고, The Scholastic Art & Writing Awards에서 상을 받으면서 뛰어난 문학·예술적 재능으로 주목 받았다. 1940년에 아버지가 당뇨와 합병증으로 사망했으며,..

고백시의 개척자 <실비아 플래스>(1/5)

고백시의 개척자 (1/5) 1. 개요 실비아 플래스(Sylvia Plath; [plæθ]、1932년 10월 27일 – 1963년 2월 11일) 미국의 시인, 소설가. 단편작가로서 보스턴에서 테어났다. 시작이나 소설로 평판을 얻기 전에는 스미스대학과 겜브리치대학 뉴남교에서 배웠다. 1956년에 시인 친구인 데트 휴스(Ted Hughes)와 결혼했다. 두 사람의 혼인 관계는 1962년 9월 까지 이어졌다. 두 사람은 당초에는 미국에 후에는 영국에서 살았는데 자녀가 둘이 있다. 후리다와 니코라스와 함께 살았다. 플래스는 성인이 되어서 인생의 태반을 우울병과 함께 살았는데 1963년에 자살했다. 플래스는 생전에 미영어권에서 공간된 2권의 시집 과 로 가장 알려졌다. 또 죽기 직전에 공간된 는 반자전적 소설이다...

19세기 인상파 대표 여성화가 <베르트 모리조>(4/4)

19세기 인상파 대표 여성화가 (4/4) 주요작품 해설 인상주의를 대표하는 화가이다. 또 인상주의 유일한 여류화가로서도 중요시되는 한 사람이기도 하다. 속필이고 대담하고 분망한 필치와 명료한 색채에 따른 회화양식으로 언니 에도마 등 근친자나 가까운 지인의 인물화나 풍경화, 정물화를 제작한다. 특히 여성특유의 감수성으로 그려진 어머니와 아들, 화가의 딸 등을 화제로 한 작품은 남성의 관점으로는 볼 수 없는 섬세함과 온건함을 드러내고 있다. 또 모리조가 사사한 동시대의 대가 에드와르 마네(불어 ; Édouard Manet, 1832년 - 1883년, 19세기 프랑스 화가)의 작품의 모델을 하면서 동씨의 사제관계 이상의 (연애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었던 것도 지적되고 있다. 1841년 브르쥬(Bourges)시..

19세기 인상파 대표 여성화가 <베르트 모리조>(3/4)

19세기 인상파 대표 여성화가 (3/4) 사망과 사후 모리조는 54세 때 딸 쥬리의 인프루엔자가 옮아서 병상이 급히 악화되어 폐렴을 일으켜 1895년 3월 2일 향년 54 세로 사망하였다. 딸 쥬리(1878년 11월 14일생, 화가)는 모리조의 우인인 르노와르(Pierre-Auguste Renoir /1841-1919), 에드가 도가(Edgar Degas/1834-1917), 시인인 스테파노 말라르메(Stéphane Mallarmé/1842-1898)가 후견인이 되었다. (위키페디아) 모리조는 파시의 묘지에 남편 우제느 곁에 매장되었다. 장례에는 우인인 르노와르, 도가, 말라르메, 비사로(Camille Pissarro, 1830-1903년, 프랑스 인상파화가)가 참가하였다. 그 이듬해 3월 일주기에는 듀..

19세기 인상파 대표 여성화가 <베르트 모리조>(2/4)

19세기 인상파 대표 여성화가 (2/4) 마네와 인상파 1864년, 23세 때에 2개의 풍경화로 사론에 입선한다. 베르트 모리조는 그 후 1874년 제1회 인상파전의 전년까지 사론에 계속 출전했다. 1868년 모리조는 에드와르 마네(불어; Édouard Manet, 1832년 1월 23일 - 1883년 4월 30일= 프랑스 화가)를 만나다. 마네에게 회화를 배우면서 그의 모델을 하였다. 그래서 연인 관계라는 소문이 돌기도 하였다. 기본적으로 마네가 스승이고 모리조는 제자라 하지만 두 사이에는 서로 영향을 끼치는 바가 있었다. 또 모리조는 삐에르 어거스트 르노(불어 ; Pierre-Auguste Renoir,1841년 2월 25일 - 1919년 12월 3일=프랑스 인상파 화가)나 스테파노 말라르메(불어 ;..

19세기 인상파 대표 여성화가 <베르트 모리조>(1/4)

19세기 인상파 대표 여성화가 (1/4) 베르트 모리조(Berthe Morisot、1841년 1월 14일 - 1895년 3월 2일)는 에드와르 마네(불어 ; Édouard Manet, 1832년 1월 23일 - 1883년 4월 30일=프랑스 화가)의 모델로 알려진다. 19세기 인상파의 화가이다. 남편은 에드와르의 동생 우제느 마네이다. 딸은 쥬리 마네이다. 모리조의 화풍은 자연의 초록을 기조로 한 것이 많고 온화한 모자의 미소 지은 정경 등이 특징적이다. 남성 중심의 19세기에서의 여성화가 라는 점에서 페미니즘 연구의 접근이 많다. 초기의 경력 베르트 모리조는 중산계급으로 현 관리의 딸로 태어났다. 베르트와 언니인 에도마 모리조는 두 사람 모두가 화가의 길에 뜻을 두었다. 모리조가는 로고고시대의 화가 잔..

세계최고의 오페라 가수 <마리아 칼라스>(더 보기 2)

세계최고의 오페라 가수 (더 보기 2) 독한 모친의 저주로 괴로워한 생애 재키와의 놀라운 결혼은 마리아로서는 아픈 배신이 아닐 수 없었다. 그러나 마리아는 인연을 되살리고자 하는 오나시스를 용서하고 받아들여서 그 후도 관계를 계속하였다. 이처럼 마리아가 찰나적으로 애정을 구하고 남자를 받아들이게 된 이유로서는 이 많다고 지적되고 있다. 모친 에방게리아는 마리아를 어릴 때부터 고 꾸중하고 언니만 사랑했다. 마리아는 가혹한 가정 안에서의 따돌림에 견디며 성장하였다. 마리아가 유명해지자 모친은 마리아에게 경제적 지원을 요구하였다. 조금이라도 돈이 부족하면 기자들에게 딸을 꾸짖는 말을 하고 세상에 나쁜 사람이라는 인식을 주었다. 마리아는 을 알지 못하고 어른이 되었다. 그것은 언제나 , , 이것이 마리아의 연애..

세계최고의 오페라 가수 <마리아 칼라스>(더 보기 1)

세계최고의 오페라 가수 (더 보기 1) 1949년에 찾아온 주목을 끌게 된 계기 제2차 세계대전 직후 미국에 귀국하여 그 후는 이탈리아에서 활동하던 마리아였지만 그녀가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게 된 계기는 1949년에 찾아왔다. 1949년 1월 마리아는 베네치아 페니체(Teatro La Fenice)좌에서 오페라 의 을 출연하게 되었었다. 그러나 동시기에 같은 극장에서 상영예정이었던 오페라 의 엘베라역의 가수가 급병으로 쓰러져버렸다. 그 때 마리아를 발굴함으로써 알려진 지휘자 둘리오 세라핀(Tullio Serafin, 1878년 9월 1일 - 1968년 2월 2일=이탈리아 지휘자)이 하고 추천하였다. 의 공연은 단 6일 후이다. 의 푸륜히르데역과 의 엘베라역은 배역의 색깔이나 가창법도 전혀 다르다. 그런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