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환경. 우주/환경 7

과천1단지 -나무들은 다 어디로 갔나? 5 이파리는 나무들의 이름표

이파리는 나무들의 이름표 초봄에는 어떤 나무인지 몰라도 잎이 나면서 누구인지 알게 되죠. 이파리는 나무의 이름표 이 나무도 무슨 나무인지 몰랐는데 싹이 뾰죡 뾰죡 뾰죡 뾰죡 뾰죡 뾰죡 뾰죡 뾰죡 뾰죡 뾰죡 하늘의 별들 만큼이나 솟아나기 시작하더니 금새 초록 손가락을 펼치고 나야 나야,,, 나야 나야 나야 나야 라고 손짓합니다. 그제서야 나는 아 너는 단풍나무구나 하고 인사를 합니다. 과천주공 1단지 아파트는 이제 없습니다. 재개발이 되었기 때문이죠. 그곳에는 으리으리하고 높고 높은 아파트가 들어섰습니다. 사계절 그 좋았던 나무들은 재개발 되면서 다 어디로 가는가? 걱정이 되어서 1단지 곳곳의 나무들을 담아보았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JBDXwMFquMM&t=4s ..

나무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4 ; 단풍나무

과천주공 1단지 아파트는 이제 없습니다. 재개발이 되었기 때문이죠. 그곳에는 으리으리하고 높고 높은 아파트가 들어섰습니다. 사계절 그 좋았던 나무들은 재개발 되면서 다 어디로 가는가? 걱정이 되어서 1단지 곳곳의 나무들을 담아보았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FdQs_nhENfI&t=1s # 이 청단풍나무는 2013년 3월부터 10월 3일까지 촬영한 것입니다. #재개발은 2016년 봄 부터 철거가 시작되고 나무들도 베어졌습니다. #과천 #환경 #조경 #계절 #단풍나무 #아파트 #1단지 #기록 #촬영 #재개발 #나무 #자연 #나무들은 다 어디로 가나

나무들은 다 어디로 갔나? 3 안뜰의 4계절

과천주공 1단지 아파트는 이제 없습니다. 재개발이 되었기 때문이죠. 그곳에는 으리으리한 높고 높은 아파트가 들어섰습니다. 사계절 좋았던 나무들은 재개발 되면서 다 어디로 가는가? 걱정이 되어서 1단지 곳곳의 나무들을 담아보았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RxAlFl3eqk # 사진들은 2010년 3월부터 2011년 12월 31일까지 촬영한 것입니다. #재개발은 2016년부터 철거가 시작되고 나무들도 베어졌습니다. #과천 #아파트 #주공1단지 #뜰 #환경 #조경 #사계절 #사계절 #봄 여름 가을 겨울 #눈 #기록 #촬영 #재개발 #나무 #자연 #나무들은 다 어디로 가나

나무들은 다 어디로 가나 2 골목길의 봄 여름 가을

과천주공 1단지 아파트는 이제 없습니다. 재개발이 되었기 때문이죠. 그곳에는 으리으리한 높고 높은 아파트가 들어섰습니다. 사계절 좋았던 나무들은 재개발 되면서 다 어디로 가는가? 걱정이 되어서 1단지 곳곳의 나무들을 담아보았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hT0R0T74gfc # 이 골목길은 2013년 3월부터 10월 초까지 촬영한 것입니다. # 재개발은 2016년부터 철거가 시작되고 나무들도 베어졌습니다. #과천 #아파트#환경 #조경 #1단지 #가로수 #기록 #촬영 #재개발 #나무 #자연 #나무들은 다 어디로 가나

나무들은 다 어디로 갔나? 1 : 목련 꽃 피고 지고

과천주공 1단지 아파트는 이제 없습니다. 재개발이 되었기 때문이죠. 그곳에는 으리 으리하고 높고 높은 아파트가 들어섰습니다. 사계절 좋았던 우리 나무들은 재개발 되면서 다 어디로 가는가? 걱정이 되어서 1단지 곳곳의 나무들을 담아보았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3aHAj_i0RTs&t=1s # 이 목련나무는 2013년 3월부터 10월 초까지 촬영한 것입니다. #재개발은 2016년부터 철거가 시작되고 나무들도 베어졌습니다. #과천 #아파트 #1단지 #목련 #기록 #촬영 #재개발 #나무 #자연 #나무들은 다 어디로 가나 #환경 #조경

<환경에 타격을 주지 않는 냉각방법>

지구온난화가 진행되는 지금 과학자들이 모색 중 만능 약은 아직 없지만 착실히 연구는 진행되고 있다. 지구 온난화는 착실히 계속 진행하고 피서를 위하여 쓰고 있던 기술은 점점 사태를 악화시키고 있다는 것도 알게 되고 있다. 그러면 이런 딜레마에서 벗어날 방법은 있는 것일까? 최신 사이언스지 특별호에서는 최첨단 기술이나 소재를 활용한 해결책이 모색되고 있다는 것이 소개되고 있다. 도대체 어떤 것일까? 기존 기술의 어디가 문제인가? 지구상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냉각기술의 하나는 소위 증기압축냉동이라 불리는 것으로 온도를 올림으로써 냉각효과를 만들려 하고 있다. 열은 통상 고온의 장소에서 저온의 장소로 흐르는데 이 방법으로는 가열된 냉각액체를 사용하여 따뜻한 장소에서 열을 빼는 것이 특징이다. 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