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세계사 인물 100인 90

제1위, 예수 크리스트(BC4-BC30)

제1위, 예수 크리스트(BC4-BC30) 나자렛의 예수(고대그리스어 ;Ἰησοῦς ὁ Ναζαρηνός〈Iēsūs ho Nazarēnos, 고전 라틴어 ;Iesus Nazarenus, BC6년에서 BC4년경-AD30년경)는 기원 1세기에 파레스티나의 유대 땅 가리야라주변에서 활동했다고 생각되는 인물이다. 전문가의 용어로서 사적(史的) 예수(영어 ;historical Jesus)라고도 한다. 기독교, 이슬람교 등에 크게 영향을 끼쳤다. 인간은 평화의 신의 아들로서 평등하고 신은 아버지가 되는 신이고 또 태양이나 강우 등의 환경을 정리하여서 인간을 처음으로 조류 등의 생물을 신은 날마다 키운다. 날마다의 기도로서 신과 함께 걷고 이웃을 중요시하여 살아야 한다는 것을 설교했다.(위키페디아) 몇 번 생각해도 제..

제2위, 마호메트(무함마드)(570-632)

제2위, 마호메트(무함마드)(570-632) 마호메트(무함마드)(570-632)는 아랍의 종교적, 사회적, 정치적지도자이고 이슬람교의 예언자이다. 이슬람교의 교의에 따르면 그는 예언자이고 아담, 아브라함, 모세, 예수 기타의 예언자의 일신교의 가르침을 설교하고 확인하기 위하여 오셨다.(위키페디아) 현재 라고 표기 되는 일이 많은데 개인적으로는 프랑스어 풍으로 읽는 방법인 가 얼른 들어온다. 메카의 명문 그라이슈족의 하심가에서 태어난 마호메트는 시나이산에서 대천사 카브리에르에게서 계시를 받아 예수크리스트에 다음 가는 예언자로서 개안했다. 이슬람교를 창시하였다. 그 후 메카에서 포교활동을 하자 같은 하심가로부터 박해를 받아 메디나로 이동하였다. 이것을 성천(聖遷)(히쥬라)라 하여 이슬람력으로는 이 622년을..

제3위, 징기스칸(成吉思汗・테무진)(1162-1227)

제3위, 징기스칸(成吉思汗・테무진)(1162-1227) 징기스칸 상 징기스 칸(몽골어 : 기리루문자 ;Чингис хаан, 라틴문자 ; Činggis Qan 혹은 Činggis Qa'an, 한자 ; 成吉思汗, 영어 ; Genghis Khan、1162-1227)은 몽골제국의 초대황제(재임 1206-1227)이다. 사후에 묘호는 태조(太祖), 시호(諡號) 법천계운성무황제(法天啓運聖武皇帝)라 칭했다. (위키페디아) 라는 개념은 징기스 칸의 등장으로부터 시작되었다는 생각이 있을 정도로 세계사에 영향을 끼친 인물이다. 한 사람이 중국과 유럽 제국의 역사에 직접 영향을 끼친 것은 징기스 칸이 최초이고 최후일 것이다. 징기스 칸 이전에도 실크로드 등을 통하여 동서의 교류는 있었다. 그러나 폴란드에서 한반도까지를 지..

제4위, 아돌프 히틀러(1889-1945)

제4위, 아돌프 히틀러(1889-1945) 아돌프 히틀러(Adolf Hitler, 1889-1945)는 독일수상 및 국가원수(총통)이고 국가와 일체라는 국민사회주의독일노동당(나치스/Nazi)의 지도자이다. 1933년 수상으로 지명되어 1년 정도로 지도자원리에 기초한 당과 지도자에 의한 일극집중(一極集中) 독재체제를 구축한 때문에 독재자의 전형이라 할 수 있다. 독일민족지상주의자이고 그 모험적인 외교정책과 인종주의에 기초한 정책은 전 세계를 제2차 세계대전으로 이끌어 유대인 등에 대한 조직적인 대학살 를 일으켰다. 소련군의 베를린 점령을 목전에 두고 1945년 4월 30일 부인과 함께 자살했다.(위키페디아) 세계를 혼돈과 파괴로 이끈 독재자이다. 제2차 세계대전은 1939년 히틀러가 폴란드에 침공한 그 날..

제5위, 시황제(始皇帝)(BC259-BC210)

제5위, 시황제(始皇帝)(BC259-BC210) 시황제(始皇帝)(BC259-BC210)는 중국의 초대황제(재위; BC221-BC210)이다. 고대 중국 전국시대의 진(秦) 나라의 제31대 군주(재위 BC247-BC210), 6대째의 왕(재위 ;BC247-BC221)이다. 성은 영(嬴) 또는 조(趙), 씨는 조(趙), 휘는 정(政) 또는 정(正)이다. 현대중국어에서는 진시황제 혹은 진시황이라 표현한다.(위키페디아) 원래 중국을 형성하는 한민족은 황하(黃河) 유역에 문명을 구축했었으나 각각 지역에 따라 당연히 언어도 화폐도 단위도 달랐다. 현재에도 유럽에서는 미터법이나 인치, 피드 등이 섞여 쓰이고 언어나 통화도 유로 이외의 것이 쓰이는 것과 같다. 진시황은 강직하게 각지의 도량형, 언어, 정치제도, 화폐 ..

제6위, 알렉산더 대왕(BC356-BC323)

제6위, 알렉산더 대왕(BC356-BC323) 알렉산더 대왕(BC356-BC323)은 고대 그리스의 아르게아스조(라틴어 ;Argeadai) 마케도니아왕국의 바시레우스(basileus)왕(재위 BC336-BC323)이고 고린토스동맹(헤라스동맹)의 맹주이며 이집트의 파라오를 겸했다. 헤라그레스와 아키레우스의 자손이라 하는데 그리스에서의 최고의 가계적인 영예와 함께 태어났다. 그리스어로는 아렉산도르스대왕이지만 독일어풍으로는 알렉산더대왕 또는 알렉산다대왕이라 하기도 한다. 아라비아어나 패르시아어로는 이스칸다르라 부른다.(위키페디아) 사상 공전의 대제국을 구축하고 헬레니즘 문명을 만들어낸 마케도니아왕이다. 그리스에서 인도에 이르는 거대한 제국을 왕위를 계승해서 겨우 3년이라는 단기간에 만들어낸 세계사상 굴지의 천..

제7위, 아우구스투스(옥타비아누스) (BC63-BC14)

제7위, 아우구스투스(옥타비아누스) (BC63-BC14) 아우구수투스 상 아우구스투스(라틴어 ; Augustus, BC63-BC14)은 공화정 로마의 정무관이고 율리우스=구라우디우스조의 로마에서의 초대 원수(황제 재위 BC27-BC14)이다.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조카로서 그의 암살 후 양자가 되어서 마르크스 안토니우스를 치고 내란을 승리하여 프토레마이오스도의 이집트를 병합하여 지중해 세계를 통일하여 원수정(元首政)을 창설하여 후의 팍스로마나라고 칭하는 시대를 구축하였다.(위키페디아) 현대의 최강국인 미국의 정치제도는 고대 로마의 정치제도를 본받았다는 것은 잘 알려진 일이다. 그 정치제도를 완성시킨 자가 로마제국초대황제 아우구스투스(라틴어 ; Augustus, BC63-BC14) 곧 옥타비아누스(..

제9위, 율리우스 카이사르(BC100-BC44)

제9위, 율리우스 카이사르(BC100-BC44)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라틴어 ; Gaius Iulius Caesar、Julius, BC100-BC44)는 공화정 로마 말기의 정무관이며 문필가이다. (alea jacta est). (veni, vidi, vici). (et tu, Brute?) 등의 특징적인 인용구로도 유명하다. 또 그가 포고한 그의 이름이 붙은(율리우스력)은 기원전 45년부터 1582년까지 1600년 동안 유럽의 전 지역에서 시용되었다. 고대 로마에서 최대의 야심가라고 알려진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라틴어 ; Marcus Licinius Crassus, BC115-BC53, 공화정시대의 정무관)와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마그누스 (라틴어 ; Gnaeus Pompeius Magnu..

제10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1769-1821)

제10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1769-1821)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불어 ; Napoléon Bonaparte, 1769-1821)는 프랑스 혁명기의 군인, 혁명가로 프랑스 제1제정의 황제로 즉위하여 나폴레옹1세(불어 ; Napoléon Ier、재위 ; 1804년-1814년、1815년)가 되었다. 1세에 이어 3세까지 존재하는데 단 나폴레옹이라고 하면 나폴레옹 1세를 말한다. 프랑스 혁명기의 혼란을 수습하여 군사독재정권을 확립하였다. 대육군(大陸軍)(불어 ;그란다르메,Grande Armée)이라는 이름의 군대를 구축하여 프랑스혁명에 대하여 간섭을 꾀하는 유럽 제국과의 나폴레옹전쟁을 싸워서 많은 승리를 얻고 혼인정책으로 영국, 러시아, 오스만제국의 영토를 제외한 유럽대륙의 태반을 세력 하에 두었다. 대불..

제11위, 옷토 폰 비스마르크(1815-1898)

제11위, 옷토 폰 비스마르크(1815-1898) 오토 본 비스마르크(독어 ; Otto Eduard Leopold von Bismarck-Schönhausen ,1815-1898), 1865년에는 백작(伯爵), 1871년에는 후작(侯爵), 1890년부터는 공작(公爵) 으로서 프로이센 및 독일의 정치가이다. 프로이세왕국 수상(재임 1862년1890년), 북독일연방수강(재임1867년-19871년), 독일제국 재상(제임 1871년-1890년)했다. 독일제국의 초대 수상을 역임한 독일통일의 중심인물이고 (독어 ;„Eiserne Kanzler“)이라는 별명을 가진다.(위키페데아) 이라는 나라의 이름이 언제 되었는가? 답은 19세기후반 비스마르크시대부터이다. 독일은 이탈리아와 함께 통일이 늦어진 국가로서 근대화 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