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세계사 인물 100인 90

제12위, 스탈린 (1878-1953)

제12위, 스탈린 (1878-1953) 요시프 비사리오노비치 스탈린(라틴문자표기 ;Iosif Vissarionovich Stalin, 1878-1953)은 소비에트연방 정치가. 일반적으로 널리 날려진 이라는 성은 라는 뜻의 필명이다. 1878년 12월 18일 러시아제정 치하의 그루지아의 고리에서 출생했다. 정교(正敎) 신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나 후에 무신론으로 전향하여 마르크스주의를 신봉하게 되어 혁명가가 되었다. (위키페디아) 그루지아 출신으로 스탈린이라는 것은 필명이고 본명은 쥬가시비리라 한다. 레닌 사후 소비에트연방 지도자로서 레닌으로부터는 소원했으나 완강함으로 지도자의 지위에 취임하여 세계공황 때에는 각국이 생산량을 떨어트리는 가운데 오직 공업생산량을 확대했다. f:id:myworldhistory..

제13위, 콘스탄티누스제(270년경-337년)

제13위, 콘스탄티누스제(270년경-337년) 가이우스 프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누스(고전 라틴어 ; Gaius Flavius Valerius Constantinus, 279년대 전반-337년)는 로마제국의 황제(재위 306년-337년)이다. 복수의 황제에 의하여 분할되었던 제국을 재통일하여 원로원에서 막시무스( Maximus、위대한/대제)의 칭호를 받았다. 로마제국의 황제로서 처음으로 기독교를 신앙한 인물이고 그 후 기독교의 발전에 중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런 때문에 기독교사상 특히 중요한 인물의 한 사람이고 로마 가톨릭, 정교회, 동방제교회, 동방전례가톨릭교회 등 주요한 종파에서 성인으로 추대한다. 또 콘스탄티누스1세가 자신의 이름을 붙여서 건설한 도시 콘스탄티노플(현 이스탄블)은 그 후 동로마제..

제14위, 칼 마르크스(1818-1883)

제14위, 칼 마르크스(1818-1883) 칼 마르크스(독일어 ; Karl Marx、영어 ; Karl Marx, 1818-1883)는 프로이셍왕국 시대의 독일 철학자. 경제학자, 혁명가이다. 사회주의 및 노동운동에 강한 영향을 끼쳤다. 1845년에 프로이센 국적을 이탈하여 무국적자가 되었다. 1849년(31세) 영국으로 건너간 이후 영국을 거점으로 하여 활동하였다. 프리드리히 엥겔스(독일어 ; Friedrich Engels、1820-1895, 프로이센왕국의 사회사상가, 정치사상가, 저널리스트, 실업가)의 협력으로 포괄적인 세계관 및 혁명사상으로서 과학적 사회주의(마르크스주의)를 제창하여 자본주의의 고도한 발전에 따라 사회주의. 공산주의가 도래할 필연성을 설명하였다. 라이프워크로서 자본주의사회의 연구는 『..

제15위, 크리스토파 콜럼버스(1451-1506)

제15위, 크리스토파 콜럼버스(1451-1506) 크리스토파 콜럼버스(라틴어의 호칭이며 이탈리아어로서는 코롬보(Christoforo Colombo), 스페인어로서는 콜론(Cristóbal Colón, 1451-1506)는 대항해시대의 탐험가. 항해사. 콩키스타도르(모험가), 노예상인이다. 정설로는 이탈리아의 제노바 출신이다. 랑즈오메도즈(L'Anse aux Meadows, 캐나다동부 뉴펀드란드 북단에 있는 고고유적)가 발견되기까지는 기독교세계의 백인으로서 최초에 아메리카해역에 도달한 것이라 한다. 그의 실적에 따라 그의 자손은 스페인왕실로부터 공작의 작위를 받아서 2023년 현재까지 스페인귀족의 공작가문을 잇고 있다.(위키페디아) 콜럼버스 이전에 아메리카대륙에 도착한 유럽인은 존재했던 것 같다. 아이슬란..

제16위, 빌헤름2세(1859-1941)

제16위, 빌헤름2세(1859-1941) 헤름2세(Wilhelm II, 1859-1941)는 제9대 프로이센국왕이며 제3대 독일황제(재임 ;1888-1918)이다.(위키페디아) 독일제국 제3대 황제로서 최후의 황제이다. 비스마르크를 비롯하여 많은 재상을 채용하여 부국강병에 힘쓰고 독일 군국주의적 성격을 강화했다. 일본에 대한 삼국간섭, 베를린, 바그다드, 비잔티움을 맺는 3B정책, 영국과의 건함투쟁, 2번에 걸친 모로코사건과 적극적으로 국제정세에 참여하여 프랑스나 영국이라는 풍부한 식민지를 가진 열강을 도발한 것으로 관계를 악화시켰다. 독일처럼 식민지를 별로 가지지 않은 오스트리아, 이탈리아와 삼국동맹을 맺었다. 그 후에 일어난 사라예보사건에 의해서 오스트리아와 세르비아의 관계를 악화하자 적극적으로 이에..

제17위, 고다마 싣다르타(BC5세기경)

제17위, 고다마 싣다르타(BC5세기경) 석가(釋迦. 산스크리트어 :Śākyamuni)인도 인물로 불교의 개조이다. 단지 생존 시기는 기원 전 7세기, 기원전6 세기, 기원전 5세기 등 복수의 설이 있어서 정확한 생몰연대는 모른다. 성명은 산스크리트어에 바탕을 두고 표기하면(梵.Gautama Siddhārtha) 파리어로 표기하면 (Gotama Siddhattha), 하자어로 번역하면 구운실달다(瞿曇悉達多)이다. 불사리라는 유골은 진신사리(真身舎利、真正佛舎利)라 하여 모시고 지금도 신앙을 모으고 있다.(위키페디아) 석가 또는 부처라 일컬어지는 인물이다. 인도 혹은 네팔의 왕족으로서 태어났으나 29세 때에 출가하여 고행을 거듭하며 깨달음을 얻고 명상을 행하게 되어서 35세 무렵 사라쌍수(沙羅雙樹) 밑에서 ..

제18위, 간디 (Gandhi, 1869-1948)

제18위, 간디 (Gandhi, 1869-1948) 마하트마 간디(라틴어표기 ; Mohandas Karamchand Gandhi, 1869-1948)。 인도의 종교가. 정치지도자, 본명은 모한다스 가라무찬드 간디(라틴어표기 ;(Mohandas Karamchand Gandhi) 인도 독립의 아버지라고 알려진다. 란 이라는 의미로 인도 시인 가 준 간디의 존칭어이다.(자치연맹의 창설자, 신지학회회장인 애니 베잔트(Annie Wood Besant, 1847-1933)가 처음으로 썼다고 한다.> 또 인도에서는 친근함을 담아서(부친이라는 뜻)라 불리고 있다.(위키페디아) 으로 일관하여 인도의 독립을 쟁취한 위대한 독립 운동가이다. 원래는 남아프리카에서 변호사를 하고 있었는데 인도에 돌아와서 독립을 위하여 활동했다..

제20위, 마르틴 루터(1483-1546)

제20위, 마르틴 루터(1483-1546)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 1483-1546), 독일의 신학자, 교수, 성직자, 작곡가, 성 어거스틴수도회(Order of Saint Augustine)에 속함. 1517년에 『95개조의 논제』를 위텐베르그(Wittenberg) 의 교회에 제출한 것을 발단으로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분리하여 프로테스탄트(영어 ; Protestant)가 탄생하였다. 그 종교개혁의 중심인물이다.(위키페디아) 마르틴 루터가 세계사에 끼친 영향은 헤아릴 수가 없다. 유럽에서 의심할 여지가 없이 절대적 권위였던 로마교황에게 바로 향하여 이라 불리는 현상을 일으켰다. 이에 따라서 프로테스탄트라는 종파가 이루어지고 기독교는 로마 가톨릭, 그리스정교, 프로테스탄트의 삼파전이 벌어지게..

제21위, 수레이만 대제 (1494-1566)

제21위, 수레이만 대제 (1494-1566) 수레이만1세((Kanuni Sultan Süleyman I, 1494-1566), 오스만제국의 제10대 황제(재임 ;1520-1566)이다. 46년간의 장기간의 재임 중 13회나 대외원정을 행하여 수많은 군사적 성공을 거두어 오스만제국을 최성기로 이끌었다. 영어로는 라고 불리고 터키에서는 법전을 편찬한 제국의 제도를 정지하였다 해서 라는 이름으로 알려진다. (위키페디아) 오스만제국 최성기의 술탄이다. 즉위 하자 곧 동유럽의 중심지인 베오그라드(Belgrade)를 점령하고 지중해의 요소인 로도스도(영어 ; Rhodes)를 손에 넣자 일찍이 동유럽의 패권을 잡았다. 그 침공의 격함은 정복왕이라 불린 메프메트2세(터키어 ; II. Mehmet、1432-1481)은..

제22위, 이세민(李世民)(당나라 태종)(598-649)

제22위, 이세민(李世民)(당나라 태종)(598-649) 태종은 당나라의 제2대 황제, 휘는 세민(世民)이다. 고조(高祖) 이연(李淵)의 차남으로 이연과 함께 당나라 창건자라 할 수 있다. 수(隨) 나라 말기의 혼란기에 이연과 함께 태원(太原)에서 거병하여 장안을 수도로 정하고 당(唐) 나라를 건국했다. 태종(太宗)은 주로 군을 이끌고 각지를 전전하며 군웅을 평정하고 626년 쿠데타인 에서 황태자인 이건성(李建成)을 타도하여 황제로 즉위하고 군웅세력을 평정하여 천하를 통일하였다. 뛰어난 정치력을 보여서 널리 인재를 등용하고 관제를 정비하는 등 여러 제도를 정리하여 당조의 기초를 확립하고 라 불리는 태평성대를 이루었다. 대외적으로는 동돌궐을 격파하여 서북의 유목민의 수장으로부터 천가한(天可汗)의 칭호를 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