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세계사 인물 100인 90

제44위, 명(明) 나라의 홍무제(洪武帝)

제44위, 명(明) 나라의 홍무제(洪武帝) 주원장(朱元璋, (1328-1398). 명(明)나라 초대황제이다. 묘호는 태조(太祖) 시호는 고황제(高皇帝)이다. 그 치세의 연호는 라서 홍무제(洪武帝)라 부른다. (위키페디아) 에 편승하여 각지의 군벌을 통일하고 명(明)나라를 건국하여 몽골인이 세운 원(元) 나라를 멸망시켰다. 송(宋)나라 이래 한민족에 의한 통일 왕조로 이후 250년 간 이어지는 장기 정권 수립에 성공하였다. 황제의 절대 권력을 확립하고 서양보다도 200년 이상 일찍이 절대왕정을 확립한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대제국을 건국한 영웅이면서 신하를 차례차례로 숙청한 폭군이기도 하여 그의 평가는 항상 일정하지 않다. 명군이라 하기도 하고 폭군이라 하기도 한다. 출처=f:id:myworldhisto..

45위, 나폴레옹3세 (1808-1873).

45위, 나폴레옹3세 (1808-1873) 나폴레옹 3세(불어 : Napoléon III, 1808-1873). 프랑스제2공화정의 대통령(재위 ;1848 - 1852)이다. (위키페디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조카 루이 나폴레옹이라 불리기도 한다. 공화정으로 기울어진 프랑스에서 백부인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에 대한 신앙을 이용하여 대통령이 되고 다시 제정을 부활시킨 인물로 여러 가지 일을 행하였다. 크리미아전쟁이 시작되고 이탈리아통일전쟁에 개입하고, 알제리아 통치, 서아프리카나 마다가스카르에 침공하고, 아시아의 식민지화, 멕시코출병, 스페인계승문제에 개입하는 등 국제정세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최종적으로는 프로이센의 철혈재상 비스마르크와의 싸움인 보불전쟁에서 패하여 포로가 된 후 영국으로 망명하고서 거기서 사..

제46위, 메흐메트 2세 ( 1432-1481)

제46위, 메흐메트 2세 ( 1432-1481) 메흐메트2세(튀르키예어 : II. Mehmet、1432-1481). 오스만제국의 제7대슐탄(황제 재위 1444-1446/ 1451-1481)이다. 콘스탄티노플을 공략하여 동로마제국을 멸망시키고 오스만제국의 판도를 대폭 확장했다. 30년 이상 걸친 정복사업으로 라고 불리었다. (위키페디아) 1453년 전 세계에 충격이 퍼졌다. 기원전 8세기 이래 맥맥히 어어 온 로마제국이 그 2000년 이상에 걸친 역사를 닫았다. 실로 멸망시킨 것은 이슬람세력인 오스만제국이었다. 원래 죽은 몸이라고는 했지만 동로마제국의 멸망은 유럽세계에 큰 영향을 주어서 메흐메트2세는 그 후에도 그리스토교 세계에 대한 침공을 계속하여 발칸반도의 태반을 영토로 동방의 이란에서도 패권을 잡았다..

제47위, 송나라 태조 <조광윤(趙匡胤)>, (927년~976년)

제47위, 송나라 태조 , (927년~976년) 조광윤(趙匡胤, 927년~976년). 북송의 초대 황제(재위 960-976). 묘호는 태조(太祖), 중국 역사 역대 황제 중 명군의 한 사람이다.(의케페디아) 남북 합쳐서 200년 이상 계속된 송왕조(宋王朝)의 창시자이다. 후주(後周)의 위기를 구하고 세종(世宗)을 도와서 그의 사후는 선양에 의해서 송(宋)을 건국하였다. 전란의 오대십국(五代(十國) 시대를 종결시키고 평화로운 시대를 이루었다. 자신은 무인이지만 극단의 문치정치를 채용하고 중세시대에서 희귀하게 문민통제를 실현시켰다. 그래서 좋은 의미로는 평화의 시대를 이었으나 나쁜 의미로는 유약한 전권을 이어서 북방의 글안족의 나라인 요(遼)나 여진족(女真族)인 금(金)에는 항상 뒤로 미루다가 으로 화북(華..

제48위, 존 로크(1632년-1704년)

제48위, 존 로크(1632년-1704년) 존 로크( John Locke FRS、1632-1704). 영국의 철학자, 영국 경험론의 아버지라 불린다. 주저 『인간오성론』에서 경험론적 인식론을 체계화했다. 정치철학자로서 라 불린다. 주저 『통치이론(통차론2편)』에서 사회계약론이나 저항권은 미국 독립선언, 프랑스인권선언에 크게 영향을 끼쳤다.(위키페딜디아) 영국 계몽 사상가이다. 영국의 명예혁명의 영향을 받아 에서 사회계약에 기초한 정당성을 주장하고 그것이 후의 미국독립선언, 프랑스의 인권선언에 다대한 영향을 끼쳐 마치 전통적인 정체를 혁명적으로 바꾸었다고 할 수 있다. 루소나 몬테스큐라는 계몽사상가의 영향을 받아서 계몽절대군주들도 좋아하여 로크의 저작을 읽었다고 하고 나가서 이탈리아의 통일이나 독일제국의 ..

제50위, 솔론(Solōn、BC639--BC559)

제50위, 솔론(Solōn、BC639--BC559) 솔론의 흉상 솔론( Solōn、BC639년-BC559년경). 고대 아테네의 정치가, 입법자, 시인이다.(위키페디아) 솔론의 개혁으로 유명한 아테네의 지도자이다. 부채장부를 지운다든지 채무노예를 금지한다든지 재산선거의 시행 등 지금으로부터 2500여 년 전의 인물이라고는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선진적인 개혁을 행하여 민주국가 아테네의 기초를 구축하였다. 그래서 싹튼 민주주의의 싹은 후에 대국인 페르시아를 격파할 수 있었다. 그리고 오늘날 민주정치의 기초를 창립하였다 할 수 있다. www.myworldhistoryblog.com

제51위, 윈스톤 처칠(1874-1965)

제51위, 윈스톤 처칠(1874-1965) 윈스톤 처칠( Sir Winston Leonard Spencer Churchill、1874-1965)은 영국의 정치가. 육군군인. 작가. 수상. (위키페디아) 제2차 세계대전 당시의 영국 수상 연합국을 승리로 이끈 주역자의 한 사람으로 미국의 루즈벨트, 소련의 스탈린과 함께 얄타회담 및 그 후의 세계의 주역인 인물이다. 제2차 세계대전 시에 영국 국민을 격려하기 위한 은 매우 유명하고, 등의 명언도 유명하다. 처칠의 인기는 매우 높아서 사후의 장례식에는 30만 명이 넘는 조문객이 있었고 기본적으로는 수상 경험자의 장례에는 참가하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는 영국 엘리자베스2세 여왕이 참가한 것도 유명하다. 로스차일드가(Rothschild가, 프랑크프르트 출신의 유대..

제52위, 서태후(西太后, 1835-1908)

제52위, 서태후(西太后, 1835-1908) 서태후(西太后)는 1908년에는 청나라 함풍제(咸豊帝)의 측비(側妃)로 동치제(同治帝)의 어머니였다. 청나라 말기의 권력자이다. 만주(滿洲) 기인(旗人)(양람기인(鑲藍旗人)의 엽혁나랍(葉赫那拉/ Yehe nala) 씨 출신이다. 효흠현황후(孝欽顯皇后) 또는 자희태후(慈禧太后), 노불야(老佛爺)라고도 부른다. 중국어로는 자희태후(慈禧太后), 나랍황태후(那拉皇太后), 서태후(西太后)라는 호칭이 자주 쓰인다. 유어명은 난아(蘭児)이다. 자금성 안에서 3명의 황태후가 사는 장소에 따라 중궁, 동궁(東太后)(제2부인 자안황태후/慈安皇太后 모후황태후/母后皇太后) 서궁(西太后)(제3부인 자희황태후/慈禧皇太后, 성모황태후/聖母皇太后)와 구별하여 불렸다.(위키페디아) 역사상..

제53위, 니콜라 테슬라(Nikola Tesla. 1856~1943)

제53위, 니콜라 테슬라(Nikola Tesla. 1856~1943) 니콜라 테슬라(Nikola Tesla, 1856-1943)는 세르비아계 미국인 발명가. 전기기사, 기계기사이다(위키페디아) 니콜라 테슬라라고 하면 얼른 생각하지 못할 것이다. 전기 발명자라 하면 영향력을 일 수 있을 것이다. 오스트리아제국 영토였던 세르비아 태생으로 미국에 건너가서 발명왕 에디슨 가게에서 일했으나 얼마 없어 대립하여 사직하였다. 원인은 엔진이 직류에서의 전력사업을 추진하려고 한 데 대하여 테슬라는 교류 전력사업을 추진하려고 하였기 때문이었다. 현재 전 세계에서 교류 전류가 채용되고 있는 것이나 자속밀도(磁束密度)의 단위에 있어서 그의 이름을 따서 라는 단위가 사용되고 있는 것을 생각하면 지명도는 에디슨에 아득히 멀지마는..

제54위, 올리버 크롬웰(Oliver Cromwell、1599-1658)

제54위, 올리버 크롬웰(Oliver Cromwell、1599-1658) 올리버 크롬웰(Oliver Cromwell、1599-1658)은 잉글랜드의 정치가, 군인, 잉글랜드 공화국초대 호국경(Lord Protector)이다. 청교도혁명(잉글랜드내전)에서는 철기대(鐵騎隊)를 지휘하여 엣지힐의 전투(Battle of Edge Hill, 1642년 10월 23일에 일어난 청교도혁명의 잉글랜드 내전에서의 최초의 전투) 나 마스톤 무아((The Battle of Marston Moor, 청교도혁명의 잉글랜드내전에서의 국왕군(왕당파)과 의회군(의회파)의 1644년 7월 2일의 전투이다.)의 싸움에서 활약하고, 뉴모랄군(신모범군)의 부사령관이 되었다. 네이스비 전투( Battle of Naseby, 1645년 6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