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세계의 과학자 240

2, 아이작 뉴턴(1642~1727)이야기(6/13)

2, 아이작 뉴턴(1642~1727)  이야기(6/13)==떨어지는 사과에서 힌트를 얻어 근대과학의 기초를 구축했다.==  6, 출세의 시작 1) 국회의원과 정치에 대한 관심 1667년에 루가수교수가 되어 학>강의를 하고 반사망원경을 제작하기도 하여 1672년에는 왕립협회 회원이 되었다.이 때의 활약이 인정되어서인지 제임스2세가 사망한 후 뉴턴은 대학 선출의 국회의원이 되어(1689년) 런던으로 이사했다. 국회의원으로서는 이 1기만이었고 의원으로서의 발언은 조금 그 창을 닫아주었으면 좋겠다. 혹은 열어주었으면 좋겠다.> 뿐이었던 것 같다.  이 때의 런던 경험에서 조용한 대학촌인 케임브리지에 돌아갈 생각이 없었던 것 같다.과학자로서의 이름을 떨친 뉴턴의 주위에는 뉴턴을 사모하는 젊은이들이 오게 되었다. ..

세계의 과학자 2024.04.01

2, 아이작 뉴턴(1642~1727)이야기(5/13)

2, 아이작 뉴턴(1642~1727)이야기(5/13)==떨어지는 사과에서 힌트를 얻어 근대과학의 기초를 구축했다.==  5, 로버트 후크와의 광학 논쟁 1669년부터 1672년에 걸쳐서 시행한 강의내용이 후의 『광학』(1704년)이 된다. 참으로는 이 시기에 광학강의>로서 출판하고 싶었던 것 같다. 뉴턴은 이 무렵 반사망원경도 자작하고 있다. 이 망원경은 대 평판이 되어서 이것이 계기가 되어서 1672년에 런던왕립협회(1660년 창설, 처음의 학회라 해도 좋다.)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여기서 최초의 라이벌 로버트 후크(Robert Hooke、1635-1703, 영국 자연철학자, 건축가, 박물학자, 생물학자, 왕립협회 회원)와 대하게 되었다. 왕립협회회원이 된 뉴턴은 서둘러서 자신의 빛의 이론>을 왕립협회..

세계의 과학자 2024.03.29

2, 아이작 뉴턴(1642~1727)이야기(4/13)

2, 아이작 뉴턴(1642~1727)이야기(4/13)==떨어지는 사과에서 힌트를 얻어 근대과학의 기초를 구축했다.==  4, 루가스수학 교수가 됨 이 무렵 뉴턴은 만유인력이나 운동의 법칙의 발견만이 아니라 미적분법을 개발하여 빛과 색의 이론(광 입자설이라는 것)도 정리하고 있다. 마치 경이의 해>라 할 수 있다. 당시 트리니티 칼리지의 헨리루가스의 기금에 의한 루가스수학 초대교수는 아이작 바로(뉴턴의 선생)였다. 뉴턴(1667년에 우연히 공석이 된 자리에 교원이 되어서 대학에 남았다)의 재능을 인정한 바로(Isaac Barrow、 1630-1677, 영국 성직자, 수학자, 케임브리지대학 초대학장 루가스 교수직 역임, 38세 때)는 1969년에 그 직을 뉴턴(25세)에게 양보한다. 더구나 바로가 그 자리를..

세계의 과학자 2024.03.28

2, 아이작 뉴턴(1642~1727)이야기(3/13)

2, 아이작 뉴턴(1642~1727)이야기(3/13)==떨어지는 사과에서 힌트를 얻어 근대과학의 기초를 구축했다.==  3, 학교 교육 1) 그랜삼의 학교에서 14세 때에 그랜삼(Grantham)의 학교에 다니던 뉴턴은 모친이 돌아와서 일시 농업을 하기로 되었다. 그러나 농업에 맞지 않음을 안 모친은 다시 학교에 다니게 하여 학업의 길을 걷게 되었다. 그러나 당시의 학교는 자연과학계의 과목은 거의 없었다.그랜삼의 하숙집 주인이 약제사였기 때문에 뉴턴은 화학실험을 좋아하게 (연금술=구리나 철을 금으로 바꾸는 연구에 이어짐)되었는지 모른다. 아무튼 그 때부터 손재주가 뛰어나서 하숙집의 여자 아이를 위하여 여러 가지를 만들어 주곤 하였다 한다.(일시 약혼까지 했었다고 하는 사이였다) 이 약제사의 집에서의 경험..

세계의 과학자 2024.03.27

2, 아이작 뉴턴(1642~1727) 이야기(2/13)

2, 아이작 뉴턴(1642~1727) 이야기(2/3 ==떨어지는 사과에서 힌트를 얻어 근대과학의 기초를 구축했다.== 2, 출생과 가정 뉴턴은 영국의 링가쥬지방의 울수도프(Woolsthorpe-by-Colsterworth는 영국 링컨셔의 South Kesteven 지역에 있는 작은 마을) 라는 마을에서 1642년 12월 25일 크리스마스에 태어났다. 당시 영국에서는 음력을 썼기 때문에 양력으로 환산하면 1643년 1월 4일이 된다. 뉴턴이 태어났을 때 조금 부유한 농민이었던 부친은 이미 사망한 후이다. 뉴턴은 미숙아로 태어나서 잘 자라지 못할 것이라고 했었다 한다. 그러나 그는 85세까지 살았고 죽을 때까지 머리카락도 빠지지 않았고 이빨도 겨우 하나밖에 빠지지 않았다 한다. 뉴턴이 3세가 되었을 때 모친..

세계의 과학자 2024.03.26

2, 아이작 뉴턴(1642~1727)이야기(1/13)

2, 아이작 뉴턴(1642~1727)이야기(1/13) ==떨어지는 사과에서 힌트를 얻어 근대과학의 기초를 구축했다.== 1, 개요 아이작 뉴턴(Isac Newton、영국 1642~1727)은 자연과학(물리, 수학)사상 공전의 대천재이다. 뉴턴에 필적 하는 자는 뉴턴 이전에는 아르키메데스(Archimedes, B.C287~B.C.221)정도이고 뉴턴 이후에는 출현하지 않은 것이 아닌가 한다. 천재라고 해도 그것은 물리. 수학의 천재라는 것으로 인격까지도 라는 것은 아니었다.(https://www.s-yamaga.jp › nanimono › sonota › newton) 미숙아로 태어난 뉴턴은 으로 성장하여 중력, 광(빛), 운동, 수학 등의 중요한 발견에 의하여 현재에도 커다란 존재감을 발하고 있다. 전하..

세계의 과학자 2024.03.25

1, 아르키메데스(Archimedes, BC287-BC212) 이야기(5/5)

1, 아르키메데스(Archimedes, BC287-BC212) 이야기(5/5) = 고대 최대의 물리학자 수학자, 기사= 4, 금과 순금, 보기만으로 구별되는가? 금에 은이나 동을 섞는 합금의 기술은 당시에도 알려지고 있었다. 금을 주 성분으로 한 합금은 다른 금속을 꽤 많이 섞은 뒤에도 충분히 호화로운 금색을 낼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순금은 24금이라 하는데 장식에 잘 쓰이는 순도 58%의 14금이다. 14금에는 42%의 것이 것이 포함된 셈이지만 충분히 금색이 되는 것은 잘 알려진 일이다. 보기만으로는 순금과 구별할 수가 없다. 과연 히에론2세의 황금 왕관을 제작한 금세공직인에 아르키메데스에 의한 발견 덕분에 확인 작업은 간단히 행해지고 왕관에는 은이 섞여있음이 발견되었다. 그래서 불정직한 금세곡직인..

세계의 과학자 2024.03.22

1, 아르키메데스(Archimedes, BC287-BC212) 이야기(3/5)

1, 아르키메데스(Archimedes, BC287-BC212) 이야기(3/5) = 고대 최대의 물리학자 수학자, 기사= 2, 에 흥미를 나타내지 않았던 아르키메데스 유체중의 물체는 그 물체가 밀어내는 유체의 무게(중력)와 같은 크기의 부력을 받는다. 물리학에서의 업적 중에서도 특히 유체정력학(流體靜力學)의 기초는 아르키메데스에 의하여 확립된 것이고 정력학의 고찰은 에까지 미친다. 그리스철학사상 혹은 그리스정신이 을 좋아하고 을 싫어한 것도 크게 관계하고 있다고 생각되지만 아르키메데스의 정적상태, 곧 운동을 포함하지 않는 역학상의 제 문제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매우 깊다는 것과 대조적으로 동력학이나 탄도학(彈道學) 등 이 있는 현상에 대해서는 놀라울 정도로 불완전했다는 것은 흥미롭다. 아르키메데스의 전적인..

세계의 과학자 2024.03.20

1, 아르키메데스(Archimedes, BC287-BC212) 이야기(2/5)

1, 아르키메데스(Archimedes, BC287-BC212) 이야기(2/5) = 고대 최대의 물리학자 수학자, 기사= 2, 아르키메데스의 묘에 새겨진 것 아르키메데스가 BC212년 제2차 포에니아전쟁의 와중에 로마의 마르켈르스(Marcellus, BC42–BC23) 장군의 병사에 의하여 살해되었다. 137년 후에 아르키메데스의 묘를 방문한 로마의 철학자 키케로(BC106년-BC43년)에 의하면 아르키메데스의 묘는 이 가 디자인되어 있는 것이었다고 한다. 아르키메데스의 위대함을 알고 있던 마르켈르스장군은 그의 안전을 확보하도록 전군에게 주지시키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지한 한 병사에 의하여 아르키메데스는 살해되었다는 것을 안 마르켈르스장군은 크게 실망하였다. 그는 세계에서 가장 유복한 도시의 하나..

세계의 과학자 2024.03.19

1, 아르키메데스(Archimedes, BC287-BC212) 이야기(1/5)

1,아르키메데스(Archimedes, BC287-BC212) 이야기(1/5) = 고대 최대의 물리학자 수학자, 기사= 1, 과학과 기술을 연결한 최초의 인물 구(球)와 그 구에 외접하는 원주와의 체적 및 표면적의 비는 언제나 2대 3이 된다. 고대 그리스의 과학과 기술은 아르키메데스를 빼고는 말할 수 없다. 아르키메데스는 이탈리아 남단인 시실리아섬 남동부에 위치한 고대 그리스의 도시국가의 하나인 시라쿠사(Syracuse/시라큐스) 출신의 수학자, 물리학자, 천문학자. 기술자. 발명가이다. 현대로 이어지는 과학, 기술은 이 아르키메데스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르키메데스는 다시 과학과 기술을 연결시킨 최초의 인물이라고 한다. 고대 세계에서의 제1급 과학자이면서 기술자이다. 수학 분야에서의 ..

세계의 과학자 2024.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