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세계의 과학자 247

4, 알버트 아인슈타인 이야기. (6/12)

4, 알버트 아인슈타인 이야기. (6/12)  6, 대학교수로 전직  1909년 특허국에 사표를 제출하였다. 취리히대학 조교수가 되었다. 이 해에는 그의 생애에서 처음이 되는 명예박사학위가 쥬네브대학에서 수여되었다.1910년 프라하대학(Universita Karolova Praha) 교수가 되었다. 차남 에드왈드 아인슈타인(Eduard Einstein、1910-1965, 알버트 아인슈타인과 밀레바 마리치(Mileva Marić)사이의 차남) 탄생했다.  솔베이회의(영어:The Solvay Conferences on Physics、=설베이법으로 유명한 에룬네스트 솔베이(Ernest Solvay, 1838-1922, 벨기에의 화학자, 실업가, 자선가)와 발터 네른스트(Walther Hermann Nernst..

세계의 과학자 2024.05.22

4, 알버트 아인슈타인 이야기. (5/12)

4, 알버트 아인슈타인 이야기. (5/12)  5, 및 그에 이어지는 수년 1905년 26세 때에 3건의 중요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 1905년은 기적의 해>라 불리고 있다. 기적의 해> 및 그에 이어지는 수년에 아인슈타인은 광양자가설> 브라운 운동>,특수상대성이론>에 관련한 5개의 중요한 논문을 이어서 발표하였다. 1905년 박사학위를 받은 특수상대성이론>에 관련하는 논문을 써서 대학에 제출하였다. 그러나 내용을 대학에서 받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에 급거 대신해서 분자의 크기의 새로운 결정법>이라는 논문을 제출하여 수리되었다.이 학위논문은 브라운운동의 이론>으로 발전하여 아인슈타인의 모든 일들 중에 가장 인용건수가 많은 논문이 되었다.  아인슈타인이 버스에 승차 중에 베른의 시계탑(지트글로그(독어 ; ..

세계의 과학자 2024.05.21

4, 알버트 아인슈타인 이야기. (4/12)

4, 알버트 아인슈타인 이야기. (4/12)   4, 특허청 취직 1902년 친구인 마르세 그로스만(Marcel Grossmann、1878-1936, 스위스 수학자. 아인슈타인의 친구)의 부친의 도움으로 베른의 스위스특허청에 3급기술전문직(심사관)으로 취직했다.연봉은 3,500 스위스 프랑이었다. 여기서 좋아하는 물리학 문제를 공부할 자유가 충분히 생겨서 특허신청서류 중의 여러 가지 발명이론이나 수식을 아는 기회를 얻었다.  이 무렵 모리스 소로비느( Maurice Solovine/영어판), 콘라드 하비히트( Conrad Habicht. Description. (1876-1958,영어판) 등과 아카데미 올림피아, Akademie Olympia=스위스 베른에서의 철학이나 물리학에 대하여 의론하던 아인슈타인..

세계의 과학자 2024.05.20

4, 알버트 아인슈타인 이야기 (3/12)

4, 알버트 아인슈타인 이야기 (3/12)  3, 취리히연방공과대학(ETH Zurich)으로  1895년 취리히연방공과대학의 수험에서 총점이 합격점에 미달하여 입학에 실패하였다. 그런데 동교 교장은 아인슈타인의 수학과 물리 점수가 최고였기 때문에 아라우(Aarau)의 김나지움에 다니는 것 (대학입학에 필요한 중등교육의 제 지식을 습득할 것)을 조건으로 이듬해의 입학자격을 주었다. 아인슈타인은 1895년과 96년에 동교에 통학했다. 아라우의 학교의 교풍은 어느 정도 자유가 보장되고 또 이 학교는 시청각교육에 힘을 경주하고 있었다.어느 맑은 날 낮 시간에 아인슈타인은 학교의 뒤에 있는 언덕에서 누어서 하늘을 처다 보던 사이에 잠이 들어버렸다. 이상한 꿈을 꾸었다. 그것은 자신이 빛의 속도로 빛을 쫓는 꿈이었..

세계의 과학자 2024.05.15

4, 알버트 아인슈타인 이야기 (2/12)

4, 알버트 아인슈타인 이야기 (2/12) 2, 출생과 성장  아인슈타인은 1879년 3월 14일 부친 헤르만 아인슈타인과 모친 바우리네 고호 사이에 장남으로 태어났다. 태어난 이듬해 1880년에 뮌헨으로 이사하여 부친 형제가 전기기기를 제조 생산하는 회사를 설립하여 부친은 경영을 담당하고 숙부는 기술을 담당하였다. 1881년에 여동생 마리아가 태어나서 일가는 1894년까지 뮌헨에서 살았다. 아인슈타인은 5살까지 말을 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5살 때에 부친이 선물로 준 방위자침이 자연계와 친해지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5살 무렵 바이올린을 배우기 시작하였다. 모차르트의 곡을 좋아해서 생애에 걸쳐 바이올린이 친구였다. 아인슈타인의 가계는 유대인이었으나 유대교도는 아니었다. 그래서 5살부터 3년간 뮌헨에 있..

세계의 과학자 2024.05.14

4, 알버트 아인슈타인 이야기(1/12)

4, 알버트 아인슈타인 이야기(1/12) 1, 개설  알버트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 1879년 3월 14일 - 1955년 4월 18일)은 독일 태생의 이론물리학자이다. 유대인으로 스위스 취리히연방공과대학을 졸업했다. 특수상대성이론 및 일반상대성이론, 상대성우주론, 브라운운동의 기원을 설명하는 요동산일정리, 광양자가설에 의한 광의 입자와 파동의 이중성, 아인슈타인의 고체비열이론, 영점에너지, 반고전형(半古典型)의 슈뢰딩거 방정식, 보스= 아인슈타인 응축 등을 제창한 업적으로 알려진다. 당시에는 무명의 특허국원>이 제창한 것이라고 해서 전혀 이해를 얻지 못하였는데 저명인인 막스 프랑크(Max Karl Ernst Ludwig Planck, 1858-1947, 독일 물리학자)가 지지를 표명함..

세계의 과학자 2024.05.13

3, 찰스 로버트 다윈,(1809-1882) 이야기(8-4/8)

3, 찰스 로버트 다윈,(1809-1882) 이야기(8-4/8)  4) 『종의 기원』 발표의 비화  20년간이나 구상을 잠자코 진행하면서 사회적인 반향을 두려워한 나머지 발표를 머뭇거리고 있던 진화론이다. 다윈 앞에 돌연 라이벌이 출현하지 않았다면 이 학설은 영구히 알려지지 않았을는지 모른다.1844년 『창조의 자연사의 흔적』이라고 제한 한 권의 책이 사회적 논쟁을 일으켰다. 인류는 신에 의하여 창조된 것이 아니라 하등영장류에서 진화했다.>고 시사한 그 책은 미리 반향을 예기하고 저자명을 감추고 발표되었다. 이 책은 학자들로 하여금 건건히 비판 규탄되었기 때문에 다윈은 보다 연구발표에 소극적으로 대할 수밖에 없었다.그런데 1858년 하나의 결정적인 일이 일어났다. 다윈촌의 자택에서 살그머니 연구를 계속하..

세계의 과학자 2024.05.07

3, 찰스 로버트 다윈,(1809-1882) 이야기(8-3/8)

3, 찰스 로버트 다윈,(1809-1882) 이야기(8-3/8) 3) 진화론은 어디서 생겨났는가.  그 때까지의 가치관을 한꺼번에 뒤집은 진화론>다윈의 공적은 물론 그 이론의 탄생에는 여러 가지 만남과 계기가 관계하고 있다. 항해가 교과서이고 안주하던 땅이 실험실이었다. 헨슬로의 중개로 실현된 비글호의 항해는 다윈의 인생에 매우 큰 기로가 되었다. 이 체험이 없었다면 다윈은 어느 마을에서 단순한 자연을 좋아하는 목사로서 생애를 마쳤을 것이다.당초에는 2년 예정이었는데 항해는 5년 가까이 길어져서 다윈은 22-27세까지의 시대를 미지의 세계에 접하면서 지낸 것이다. 칠레에서 목숨을 위협할 정도의 대지진을 만났고 안데스산을 오르고 갈라파고스도에서 여러 가지 생물을 만나게 되는 체험은 비록 해외여행이 진기한 ..

세계의 과학자 2024.05.06

3, 찰스 로버트 다윈,(1809-1882) 이야기(8-2/8)

3, 찰스 로버트 다윈,(1809-1882) 이야기(8-2/8)  2) 다윈을 도운 사람들 은사, 우인, 그리고 라이벌  다윈은 인간의 가치를 적확하게 측정하는 하나는 우인관계이다.>라는 말을 남기고 있다. 처음부터 학자가 되려고 하지는 않았던 그가 후에 자연과학계를 흔드는 이론을 발표하기에 이른 것은 여러 가지  만남에 이끌린 결과이다. 먼저 케임브리지대학에서 신학을 전공하고 있을 무렵 그의 인생을 크게 방향 전환시킨 인물이 식물학자인 존 헨슬로이다. 헨슬로의 학자로서의 평판을 들은 다윈은 그가 개최하고 있던 모임에 자주 드나들게 되었다. 신학생으로서 필수과목이 아닌 헨슬로의 연수여행에도 거의 매일 참가하였다. 헨슬로와 걷는 남자>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였다. 후에 헨슬로는 비글호에 의한 남미대륙 탐험 ..

세계의 과학자 2024.05.03

3, 찰스 로버트 다윈,(1809-1882) 이야기(8-1/8)

3, 찰스 로버트 다윈,(1809-1882) 이야기(8-1/8)  8, 진화론이 나오기 까지 1) 다윈은 의외로 고생한 사람 공적만을 취해지는 다윈이지만 실은 성인이 되어서의 인생은 끊임이 없는 병마와의 싸움이었다. 특히 영국 해군의 측량선 비글호>에 승선하여 남미대륙이나 남태평양제도를 항해한 후는 과학자로서 입신하기 위하여 집필활동에 힘쓰고 물리적인 압력이나 정신적인 스트레스에서 여러 가지의 증상 곧 구토, 동계, 두통, 숨 막힘, 극도의 피로감, 불면, 조울 등으로 고생했다고 한다. 흥분하면 격하게 떨리고 구토를 하기 때문에 파티 등에는 결석하지 않을 수 없었고 때로 친척집이나 해변에 가는 것 이외에는 거의 집에 틀어박혀서 은둔생활을 하였다.20명이나 되는 전문의가 동종요법(同種療法、영어 : home..

세계의 과학자 2024.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