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2025/04/25 5

좋은 채소는 입에 쓰다. (끝)

좋은 채소는 입에 쓰다. (끝)==쓴맛을 과학의 힘으로 억제하면 어떤 영향이 있는가== 방울양배추는 '채소계의 슈퍼스타’ 이러한 연구를 진행 중인 식품 과학자들은 “건강을 촉진하는 화학 물질의 일부가 손실되더라도, 맛있어진 채소와 과일 소비가 증가한다면 그 연구는 의미가 있다.”고 주장한다. 미국에서는 하루 2~3컵의 채소 섭취가 권장되지만, 실제로 이를 섭취하는 미국인은 약 10%에 불과하다(참고: 일본 후생노동성이 권장하는 채소 섭취량은 하루 350g).과일의 경우, 미국 권장 섭취량인 하루 1컵 반에서 2컵을 섭취하는 사람은 단 12%에 그친다(참고: 일본 권장 섭취량은 하루 200g). 또한 육류와 과도하게 가공된 식품 대신 식물 기반 식품을 섭취하는 것이 환경에 더 친화적이라는 지적도 있다.이..

지구는 언제든지 환경의 급격한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끝)

지구는 언제든지 환경의 급격한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끝)== 이 지구에서 태어난 생명체는 "변하지 않을 수 없는" 숙명을 지니고 있고 이는 정말로 깊은 이유에서 비롯된다.== 4, 바이러스 DNA의 변화와 숙주 생물의 생존 및 소멸 치명적이지 않은 유전자 염기서열의 변화는 유전자가 본래의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한편, DNA(염기서열)가 "변화를 피할 수 없는" 상황에 놓였다고 하더라도, 그 변화는 그 종이 생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며, 개체를 소멸시킬 만큼의 큰 변화는 허용되지 않는다는 점은 매우 주목할 만하다."DNA의 치명적인 변화"는 개체 수와 번식 기회를 감소시킴으로써 "종의 쇠퇴와 멸종"을 의미하기 때문이다.치명적이지 않으며 번식 기회를 감소시키지도..

인간 뇌의 저장용량(2/3)

인간 뇌의 저장용량(2/3)==인간의 뇌는 지금까지 생각되었던 것보다 10배 더 많은 양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2, 시냅스를 비트로 환산하여 정량화 시냅스의 강도나 정확도를 조사하기 위해서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를 비롯한 연구팀은 정보 이론(정보나 통신에 관한 수학적 이론)을 적용하여 시냅스 간에 어느 만큼의 정보가 전달되고 있는지를 정량화해 보았다.이러한 정보량은 컴퓨터에서 친숙한 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두 가지 강도로 정보를 전송하는 시냅스라면 1비트, 네 가지 강도로 전송하는 시냅스라면 2비트라는 식이다.그리고 비트 수가 많은 시냅스일수록 더 많은 정보를 기억할 수 있다.비트 수가 측정된 것은 쥐의 에 있는 시냅스다. 해마는 학습과 기억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영역이다.그리고..

과학/과학 2025.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