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세계의 과학자

세계의 과학자34, 웬델 메러디스 스탠리 이야기.(3)

간천(澗泉) naganchun 2025. 3. 27. 03:46

세계의 과학자

34, 웬델 메러디스 스탠리 이야기.(3)

=바이러스를 단백질의 결정화에 성공=

 

 

3-2, 세균보다 작은 미지의 병원체 발견

 

19세기 유럽에서 담뱃잎에 모자이크병이 발생하였으며, 아돌프 에두아르트 마이어(Adolf Eduard Mayer、1843 – 1942, 독일의 농예화학자. 담배모자이크병 연구. 바이러스 발견)는 이 병이 담배의 즙액을 통해 전염된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이후 1892년, 드미트리 이바노프스키ー(Dmitri Ivanovsky, 1864-1920, 러시아의 생물학자) 는 이 병원체가 당시 멸균에 사용되던 테라코타 필터를 통과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로 인해 담배모자이크병이 세균이 생성한 독소 때문이거나, 매우 작은 미지의 세균에 의해 발생한다고 여겨졌다.

1898년, 마르티누스 베이예린크(Martinus Beijerinck, 1851~1931, 네덜란드 과학자)는 이 병원체가 식물의 체내에서 증식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고, 이를 새로운 병원체로 간주하여 <contagium vivum fluidum(생존하는 감염성 액체)>라고 명명하였다. 또한 라틴어로 <독소>를 의미하는 <virus(바이러스)>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처럼 <바이러스>라는 개념이 탄생하게 되었다.(계속됨)

 

출처=https://www.wikidata.org › wiki

https://www.ims.riken.jp › history › discov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