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환경. 우주/우주 64

-흑점과 홍염

3. 태양의 여러 가지 풍경-흑점과 홍염- 1) 흑점 태양 표면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옛날부터 잘 알려진 것이다. 광구를 이동시켜 성했다가 쇠했다가 하는 검은 주름이라고 해도 좋다. 고대 중국에서는 태양 속에 까마귀 같은 검은 새가 살고 있다고 생각했었던 듯하다. 처음으로 망원경으로 흑점을 관측한 것은 저 이탈리아의 가리레이 가리레오이다. 흑점에는 어두운 중심부와 그것을 두른 반 어두운 부분이 있다. 같이 광구와 비교해서 어두운 것은 온도가 낮은 때문으로 약 4천도이다. 큰 것은 직경이 3만 킬로 이상이나 된다. 단 수명은 겨우 수개월 정도로 11년마다 커졌다 작아졌다 한다. 2) 홍염 이것은 태양의 배에서 분출하는 맑은 붉은 색의 불꽃이다. 프로미넨스라고도 한다. 보통으로는 볼 수 없으나 개기일식 때에는..

지표에서 물을 방출하는 준혹성 발견

지표에서 물을 방출하는 준혹성 발견 -화성과 목성 사이-우주망원경으로 관측-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혹성대에 있는 준혹성 의 표면에서 수분을 포함한 증기가 뿜겨 나오는 것을 하셸 우주망원경으로 관측하였다고 유럽우주기관(ESA) 팀이 5월 23일 부 영국 과학지 네이쳐에 발표하였다. 지구의 물은 태고에 충돌한 소혹성으로부터 온 것이라는 설이 있어서 이런 견해를 일부 뒷받침하는 성과이다. ESA팀은 11-13년에 걸쳐 하셸 우주망원경의 적외선 센서로 직경 약 950킬로미터인 를 관측하여 지표의 2개소에서 수분이 방출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방출되는 물의 양은 1초간 600킬로그램이나 되어 지중에 존재하고 있는 얼음이 태양열 등으로 증발한 가능성이 있다.(공동)(산케이뉴스에서)

2. 눈부신 광채 덩어리

一. 태양과 그 운명 2. 눈부신 광채 덩어리 대낮에는 태양을 맨 눈으로 보려 하여도 눈이 부셔서 윤곽마저 뚜렷이 볼 수 없다. 그런데, 저녁에 지는 태양이나 아침에 돋는 태양은 커다랗고 둥근 불덩이를 확실하게 볼 수 있다. 이 불덩이를 태양의 광구라 하는데, 대체 그 정체는 무엇일까. 잠깐 본 느낌은 녹은 쇳덩어리를 상상할지 모르나 실은 그 태양의 광구는 표면에서 중심까지 모두가 기체이다. 그 온도는 표면에서는 약 6천도, 중심부에서는 약 천3백만 도라 한다, 참으로 상상도 할 수 없는 높은 온도이다. 이처럼 온도가 높기 때문에 철이나, 구리나, 금이라도 광구를 구성하고 있는 물질들은 모두가 기체가 되고 마는 것이다. 광구의 크기는 직경이 약 140만 킬로미터로 지구의 109배 정도가 된다. 부피는 지..

1. 하늘의 움직임은 건재하다.

一. 태양과 그 운명 1. 하늘의 움직임은 건재하다. 태양 둘레의 텅 빈 공간을 크고 작은 혹성이 돌고 있다. 수성, 금성, 지구, 화성, 거기에다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과 명왕성을 포함해서 모두 아홉 개의 별들이다.(2006년 8월에 명왕성은 9개 혹성 중에서 퇴출되었다) 목성과 화성 사이에는 소혹성이라는 작은 천체의 무리가 있다. 가장 큰 것이라 하여도 직경이 겨우 800 킬로미터도 안 되며, 대부분은 둥글지도 않다고 생각되고 있다. 그 수는 약 수만 개로서 그들도 무리를 지어서 태양의 둘레를 돌고 있어서 혹성의 친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하나의 항성인 태양과 그것을 돌고 있는 혹성들의 줄기를 한 마디로 말해서 태양계이다. 그들은 엄청나게 넓은 공간에 흩어져 있다. 태양으로부터 가장 바깥쪽에 ..

지구와 매우 닮은 혹성 발견

지구와 매우 닮은 혹성 발견 -태양계에서 500광년- NASA가 상상한 지구와 닮은 혹성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지구와 매우 닮은 혹성을 태양계에서 500광년 떨어진 곳에서 발견했다고 미항공우주국(NASA)이 18일부 미국 과학지 사이언스에 발표하였다. 물은 생명의 존재에 빼질 수 없다고 생각되고 있다. NASA의 케브러우주망원경으로 관측하였다. 연구팀은 고 비유했다. 이 혹성은 백조좌 방향에 있는데 지구의 1.1배의 크기로 암석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태양의 반 정도의 크기인 항성의 주위를 130일주기로 돌고 이 항성의 온도와 항성으로부터의 거리를 생각하면 혹성의 표면을 물이 덮여있어도 이상하지 않다고 한다. 이 항성에서는 5개의 혹성이 발견되고 있는데 이번의 혹성은 그 중..

토성의 위성 <엔케라두스> 얼음 밑 바다에 물이 있다.

토성의 위성 얼음 밑 바다에 물이 있다. --가 탐사관측-- 얼음 밑의 구조 와 물이 분출되고 있다.(상상도-NASA제공) 토성의 위성인 를 덮고 있는 두꺼운 얼음 아래에 액체의 물이 있음을 탐사기 의 관측으로 밝혀졌다고 이탈리아와 미국 연구팀이 4일부 미국 과학지 에 발표하였다. 이제까지 그 남극에 있는 틈새에서 간헐천과 같이 물이 분출하는 현상이 관측되었었으나 자세한 내부구조는 불명이었다. 얼음 바다 밑에 암석질인 바다바닥이 펼쳐져있다고 보여 미생물 등 생명에 적합한 환경이 존재할 가능성도 있다고 연구팀은 보고 있다. 는 직경 약 500킬로미터이다. 표면온도는 영하 180도나 된다. 팀은 가 가까이 지나갈 때에 일어나는 약간의 궤도 변화에서 중력이 강함을 산출하였다. 그것을 바탕으로 얼음 밑의 구조를..

중력파, 우주 탄생 직후의 우주팽창의 흔적

중력파, 우주 탄생 직후의 우주팽창의 흔적 -노벨상 급이라고 평가- 138억 년 전의 의 증거를 관측하였다고 발표한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이나 미국 하버드대 수미소니안 천체물리학 센터 팀은 3월 18일 미명 기자회견에서 탄생 직후의 우주의 모습을 처음으로 관측한 성과라고 강조하였다. 해외 미디어나 영국 과학지는 속보로 성과를 전하여 이라고 평가하였다. 갓 태어난 우주는 급격히 팽창하였다고 생각되고 있어서 그 때 발생한 중력파의 흔적을 이 번 처음으로 찾았다고 한다. 팀에 따르면 흔적에서 충력파의 강도도 측정하였다. 중력파를 발생시킨 급팽창의 에너지를 계산하는 데에 관련하여 우주의 처음에 일어난 현상을 지금까지 없었던 정도로 정확하게 알 수가 있다고 한다. 영국 BBC방송 (전자판)은 고 하면서도 고 덧붙..

지구형혹성 의외로 많다.

지구형혹성 의외로 많다. -태양과 비슷한 항성 5개 중 1개- 태양과 비슷한 항성 중에 5개에 1개가 지구와 같은 크기와 공전거리를 가진 혹성을 거느리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버클리교의 팀이 미국 과학아카데미기요 전자판에 4일 발표하였다. 대기를 가지고 온난하고 지구상의 생명에 필요한 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혹성이 의외로 많을는지 모른다는 것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팀의 연구자는 고 하고 있다. 팀은 8월에 운용이 끝난 미항공우주국(NASA)의 케플러(Kepler) 우주망원경을 써서 관측하였다. 태양과 비슷한 항성 앞에 혹성이 가로지르면 항성이 조금 어둡게 보인다는 원리를 이용하여 항성의 크기나 항성으로부터의 거리를 분석하였다. 혹성에 지구와 같은 대기나 물이 존재하려면 혹성이 암석질..

과거의 주요 운석 낙하 기록

과거의 주요 운석 낙하 기록 시 기 낙 하 지 역 ▶약 6500만 년 전 멕시코 유카탄반도에 거대운석이 낙하. 공룡의 멸절을 초래하게 함 ▶861년 현재의 일본 후쿠오카현 노오가타시에 낙하. 낙하 목격 기록이 남은 세계에서 가장 오랜 운석. ▶1908년 러시아 시베리아 상공에서 대폭발. 운석이 혜성과 관련이 있다고 지적되고 있음. ▶1920년 나미비아에서 약 60톤의 운석이 발견되었다고 과학자가 보고. ▶1954년 미국 알라바마주의 민가의 지붕을 운석이 찢고, 여성이 상처를 입음. ▶1976년 3월 중국 길림성 평원에 다수의 운석 ▶1992년 12월 일본, 시마네현 민가에 약 6킬로의 운석이 지붕을 뚫고 낙하. ▶1996년 1월 일본, 이바리기현 츠쿠바시 주변에서 운석 29여개 회수. ▶1999년 9월 ..

화성 표면을 처음으로 굴삭

화성 표면을 처음으로 굴삭 --생명의 흔적 찾을 수 있을 것인가-- NASA의 화성탐사차 큐리오시티로 굴삭한 직경 1.6센티. 깊이 6.4센티의 구멍(중앙) 미항공우주국(NASA)은 9일 무인 화성탐사차 큐리오시티가 화성의 표면 바위에 드릴로 직경 1.6센티 깊이 6.4센티의 구멍을 파서 구멍 밑에서 시료를 채취했다고 발표하였다. 화성에서의 본격적인 굴삭은 1960년에 미국과 러시아가 화성 탐사를 시작한 이래 처음이다. NASA는 큐리오시티의 로봇 암 끝에 붙은 드릴을 써서 먼저 2일 전에 시험을 실시하여 정상 작동을 확인하고 8일에 시행했다. 금후 채취한 시료를 차체의 분석 장치에 넣어서 일찍이 화성에 존재했을지 모르는 생명의 흔적을 구하기 위하여 신중히 화학적인 성분 등을 조사한다. 화성은 현재 건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