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환경. 우주/우주 63

목성이란 어떤 혹성인가?

목성이란 어떤 혹성인가? 밤하늘의 목성을 볼 수 있는 계절인 여름이 왔다. 목성에 대하여 미리 지식을 가지고 한 번 목성을 찾아보면 어떨까? 목성은 태양계의 내측에서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5번째의 혹성이다. 다른 혹성에 비해서 제일 큰 목성의 정채를 밝혀보기로 하자. 1, 목성이란 태양계 혹성 중에서 가장 큰 것이 목성이다. 목성은 지구와는 전혀 다른 타입의 혹성이다. 지구는 암석이나 금속 등으로 되어 있으나 목성은 태양과 같이 수소와 헬륨 가스로 되어 있다. 그래서 크기는 하지만 가볍다. 혹시 목성이 지금의 100배 정도 크다면 내부에서 반응이 일어나서 태양처럼 되었을는지 모른다. 또 하나 목성의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는 것은 대적반(大赤班)이다. 이것은 과학교과서에 올라있는 목성의 사진을..

너무나 아름다운 태양계 사진, 11

너무나 아름다운 태양계 사진, 11 타이탄의 거대한 사구 타이탄(Titan)의 지표에 끝없이 이어지는 사구. Image: NASA/Cassini via Gizmodo US 이미 앞에서 말한 타이탄이다. 적도부근에 펼쳐지는 광대한 사막지대는 샹그리라(Shangri-La/이상향)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1,000만 평방 Km나 되는 사구의 바다이다. 그 중에는 높이 100m에 이르는 거대한 사구도 있다고 한다. 지구의 사구가 주로 규소 모레로 구성되어 있는데 대하여 타이탄의 사구는 태양이 방출하는 우주선에 의하여 분해된 유기물질로 되어있다고 최근의 연구가 밝혔다. 출처=www;//gizmodo.jp.2020/07>beau 2020.7.6. 마이니치신문을 통해서

계외혹성(系外惑星=외계 행성)이란?

계외혹성(系外惑星=외계 행성)이란? *외계 행성 또는 계외 행성은 태양계 밖의 행성으로, 태양이 아닌 다른 항성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행성이다. 지금까지 3800여 개의 외계 행성이 발견되었으며 모두 우리 은하 내에 있다.위키백과. 【AFP=시사】22019년 노벨 물리학상이 스위스인 천문학자인 미셀 마이요(Michel Mayor)씨와 디디에 쿠엘로((Didier Queloz)씨에게 주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양씨는 지구가 있는 태양계 외측 아득히 먼 곳에 있는 항성을 도는 혹성 소위 이 존재함을 증명하였다. 양씨의 발견을 출발점으로 하여 계외혹성이 차례차례로 발견되고 있다. 계외혹성은 태양계의 혹성과는 전혀 다른 특징을 가진 것이 많다. 1, 계외혹성이란 태양계의 외측에 있는 혹성은 모두 계외혹성이라고 간..

달이 없다면 지구에는 사람이 살 수 없다.

달이 없다면 지구에는 사람이 살 수 없다. 달이 없다면 지구에는 어떤 일이 일어날까 1, 인력이 없어진다. 만유인력의 법칙에 따라 달과 지구 사이에도 당연히 인력이 발생하고 있다. 그래서 해면도 이끌리어 지구의 자전 스피드는 억눌려 있는 상태이다. 만일 인력이 없다면 어떻게 될 것인가 에 따르면 자전 속도가 빨라져서 1일 24시간이란 속도가 6시간 정도 단축된다. 지구 표면에는 폭풍이 일어난다. 그리고 또 끌리어 있던 해면은 분산되어 천수면에는 항상 파도가 밀려온다. 2, 지구의 지축 각도가 변한다. 지구의 지축의 경사도는 여러 가지 영향으로 23도 정도 기울어져 있다. 그래서 태양광이 비치는 각도의 변화에 따라 4계절이 생겨난다. 그런데 이지구의 경사도가 달이 없어진다면 불안정해서 각도가 금성처럼 0도..

미항공우주국 아폴로 11호 달착륙 50주년 회고록

인류로서 위대한 비약 미항공우주국 아폴로 11호 달착륙 50주년 회고록 아폴로 11호 탑승 우주비행사 닐 암스트롱, 마이켈 코린스,에드윈 올드린 우리 시간으로 7월 21일은 인류사상 위대한 비약을 성취한 미국 항공우주국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한지 50년이 되는 날이다. 달착륙선 착륙하기까지 (AFP) 미우주선 아포로 11호의 달 여행은 최초 4일간은 계획대로 진행되었는데, 달 표면 착륙까지는 겨우 20분 시점에서 문제가 차례차례로 발생하여 상황은 일시에 긴박해졌다. 1969년 7월 20일 세계가 아포로 11호의 여행의 진전을 보고 있는 가운데 미국 휴스턴의 지상 관제센터와의 무선연락이 단시간 끊기었다. 그래서 닐 암스트롱(Neil Armstrong) 선장이 탑승하고 에드윈 올드린(Edwin Aldri..

화성지표 사진전 8 8, 지표에 나타난 하상 1

화성지표 사진전 8 8, 지표에 나타난 하상 1 유럽우주기관(ESA)의 무인화성탐사기 가 촬영한 화성의 지표에 있는 하상(河床) 지형 이다. 이런 지형은 홍수에 의하여 형성된 것으로 보여 화성의 지표에 일찍이 대량의 물이 있었다는 증거가 된다. 망갈라 계곡은 전장이 약 1000킬로미터로 태양계 혹성에서 가장 표고가 높은 올림포스산을 포함하는 다루시스화산군의 남서에 위치하고 있다. 마스 익스프레스(Mars Express)는 2003년 6월에 가자프스탄에서 러시아의 로켓으로 쏘아 올려졌다. 화성에 접근 후 2003년 12월 탑재하고 있던 착륙기 를 분리하여 화성의 대기권에 돌입시켰는데 그 후 연락이 두절되었다. 지표에서 직접 관측데이터를 얻을 수는 없었으나 마스 익스프레스는 화성주회궤도를 비행하면서 관측을 ..

화성지표 사진 7, 바다가 존재했을 것으로 본 상상도

화성지표 사진전 7, 바다가 존재했을 것으로 본 상상도 화성에 일찍이 존재하였던 바다(청색 부분)의 상상도 유럽우주기관(ESA)의 무인화성탐사기 가 지표에서 깊이 60-80미터까지 레다로 관측한 데이터 약 2년분을 분석한 결과 과거의 해저퇴적물로 보이는 물질과 얼음이 북반구의 넓은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화성에서는 지금까지 과거의 해안이라고 보이는 지형이 발견되고 있어서 40억 년과 30억 년 전에 바다가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30억 년 전에 바다가 존재했던 기간은 100만년 이내로 짧았기 때문에 생명의 탄생에는 이어지지 않았다고 보고 있다.[ESA제공] 마스 익스프레스(Mars Express)는 2003년 6월에 가자프스탄에서 러시아의 로켓으로 쏘아 올려졌다. ..

화성지표 사진전 6, 물이 있었던 증거인 줄

화성지표 사진전 6, 물이 있었던 증거인 줄 NASA는 고 발표하였다. 액체인 물이 있으면 생명이 존재할 가능성에 이어지는 것만이 아니라 장래 유인화성탐사에서의 활용도 기대된다. NASA에 따르면 온도가 빙점 하 23도보다 높은 계절이 되면 화성 표면에 물이 흐르고 있는 것 같은 검은 줄이 나타나고 기온이 낮아지면 사라진다. 화성주회탐사기 에 따른 관측결과를 분석한바 사면에 있는 줄에는 소금을 많이 함유한 물이 흘렀다는 것을 알고 있다. 강과 같은 줄기의 존재로서 유수의 가능성도 지적되고 있다.(2015. 9. 28) 사진은 이 나타나고 있는 화성의 표면=NASA제공 【AFP시사】

지구 쌍둥이 별 찾았다-

지구 쌍둥이 별 찾았다- 1400광년 떨어진 백조자리에서—물 생명체 존재 가능성도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지구와 비슷한 행성이 1400광년(약 1경3254조㎞) 떨어진 백조자리에서 최초로 발견됐다. 과학자들은 ‘또 하나의 지구’ ‘지구의 사촌’이라고 부르면서 흥분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번에 발견된 행성은 나사(미 항공우주국)의 케플러 우주망원경이 지금까지 찾아낸 ‘제2의 지구’ 후보들 중 지구와 가장 흡사한 조건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23일 나사는 “케플러 망원경이 태양과 같은 항성의 ‘거주가능 구역(일명 골디락스 구역)’ 안에서 지구와 유사한 행성을 처음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나사는 항성의 이름을 케플러-452, 행성을 케플러-452b로 명명했다. 나사의 존 그런스펠드 부국장은 “쉽게 ..

우주정거장 장기 체류 시험

우주정거장 장기 체류 시험 미국과 러시아의 우주비행사 3명을 실은 러시아의 우주선 소유즈가 28일 가자흐스탄에서 발사되어 국제우주정거장에 도착했다. 보통 국제우주정거장 체재는 약 반년간인데 3명 중 2명은 처음으로 1년간 체재에 도전한다. 미항공우주국(NASA)는 2년 반의 오랜 여행이 되는 장래 화성 유인탐사를 위하여 심장이나 근육 등 심신에 대한 영향을 조사한다. 1년간의 체재에 들어간 우주비행사는 미국의 스코트 게리(51)와 러시아의 미하일 고르니엔코(54)이다. 그 동안 5월말부터 11월경까지 국제우주정거장에 체재하는 일본의 유이기미야(油井亀美也)(45)는 1년 체재를 서포트하고 싶다고 말하고 있다. 게리씨는 일란성쌍생아로서 또 한 사람도 우주비행사이다. NASA는 우주와 지상에서의 쌍둥이를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