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환경. 우주/우주

지구 쌍둥이 별 찾았다-

간천(澗泉) naganchun 2015. 7. 25. 04:48

 

 

지구 쌍둥이 별 찾았다-

1400광년 떨어진 백조자리에서물 생명체 존재 가능성도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지구와 비슷한 행성이 1400광년(13254) 떨어진 백조자리에서 최초로 발견됐다. 과학자들은 또 하나의 지구’ ‘지구의 사촌이라고 부르면서 흥분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번에 발견된 행성은 나사(미 항공우주국)의 케플러 우주망원경이 지금까지 찾아낸 2의 지구후보들 중 지구와 가장 흡사한 조건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23일 나사는 케플러 망원경이 태양과 같은 항성의 거주가능 구역(일명 골디락스 구역)’ 안에서 지구와 유사한 행성을 처음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나사는 항성의 이름을 케플러-452, 행성을 케플러-452b로 명명했다. 나사의 존 그런스펠드 부국장은 쉽게 말해 지구와 가장 흡사한 쌍둥이 지구를 찾아낸 것이라며 이른바 지구 2.0이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나사의 브리핑은 인터넷을 통해 전 세계에 생중계됐다.

케플러-452b는 태양처럼 빛을 발산하는 케플러-452385일 공전주기로 돌고 있다. 둘 간의 거리는 지구와 태양 사이보다 5%밖에 더 멀지 않아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케플러-452b의 크기는 지구의 1.6배 정도다. 화학적 조성과 질량 등은 아직 정확하게 파악되지 않았으나 지구처럼 암석과 토양, 물로 이뤄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케플러-452b60억 년된 행성으로 45억 년인 지구보다 15억 년 오래됐다. 케플러-452는 분광형인 ‘G2’형 항성으로 태양과 온도까지 비슷하다. 태양보다 지름이 10% 길고, 20% 더 밝은 것으로 관측됐다.

   워싱턴 = 이제교 특파원 jklee@munhwa.com

(2015725일 문화일보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