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왕성(Pluto) 이야기 2
2. 명왕성의 혹성에서 퇴출
명왕성은 1930년에 크라이드 톰보에 의하여 발견된 이래 태양계의 9번째의 혹성으로 여겨졌으나 1992년에 명왕성 이외의 외연천체가 발견된 이래 명왕성과 비슷한 크기의 천체가 차례차례로 발견되기 시작하였다. 그 중에서도 2003년에 촬영된 사진 중에서 2005년에 캘리포니아 공대 마이크 브라운(Michael E. Brown, 1965년 6월 5일 -)교수가 <제나>라는 별을 발견하면서 논란이 커졌다. <제나>는 지름이 2,400km 정도로 명왕성의 직경2,320km 보다 크기 때문이다. 이처럼 태양계연구의 진전에 따라 태양계 연구자들 간에는 명왕성을 혹성으로 인정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의문의 소리가 퍼졌다.
2006년 8월에 열린 국제천문학연합 (IAU)총회에서 그때까지 명확하지 않았던 혹성의 정의를 명확히 정함과 동시에 <준혹성(dwarf planet)>이라는 분류를 신설하기로 채택되었다. 그 결과 명왕성은 케레스(1 Ceres),UB313(분류와 동시에 에리스/Eris/준혹성/라 명명)과 함께 준혹성으로 분류 되었다.그래서 2008년 6월 명왕성의 분류명칭을 <plutoid>로 할 것이 확정되었다. 명왕성은 소혹성으로 취급하여 소혹성번호 134340번이 주어졌다.
퇴출이유를 정리해보면
1) 너무나 작은 체구
2) 일그러진 타원형 궤도와 다른 행성들과 어긋나는 궤도면
3) 비슷한 행성 발견과 국제천문연맹의 새로운 행성의 정의
명왕성이 행성 대열에서 자격을 박탈당한 것은,
궤도가 일부 겹치는 해왕성보다 크기가 작으면서 자체 위성인 카론과 크기가 비슷한 데다, 공전구역 주위의 다른 천체보다 지배적인 역할을 한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 대신 명왕성은 ‘준혹성’으로 규정됐다.
명왕성이라는 이름은 온데간데없고 작다는 의미의 ‘준혹성 134340’이 그 자리를 대체하게 됐다.
이제 명왕성의 태양계 퇴출로 과학 교과서와 백과사전 심지어 점성술 서적에서도 그 이름이 빠지게 되었다. 그렇다면 앞으로 행성의 수를 묻는다면 답은? 8개이다.
'환경. 우주 > 우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주정거장 장기 체류 시험 (0) | 2015.03.29 |
---|---|
토성의 달은 생명탄생 무렵의 지구와 같은 환경이다 (0) | 2015.03.16 |
1. 태양계 끝에 있는 별 명왕성 (0) | 2014.09.11 |
해왕성(Neptune) 이야기 (0) | 2014.09.05 |
1. 가로 누운 천왕성 (0) | 2014.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