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환경. 우주/우주

1. 가로 누운 천왕성

간천(澗泉) naganchun 2014. 9. 3. 06:58

 

 

천왕성(Uranus) 이야기 1

 

1. 가로 누운 천왕성

 

 

허셀의 발견

 

태양의 둘레에 있는 혹성은 오랜 동안 토성까지의 6개밖에 알려지지 않았었다. 1781313일 영국의 윌리암 허셸(Sir Frederick William Herschel, 1738-1822)은 처음으로 토성보다도 더 먼 천왕성을 발견한 것이다. 허셸은 독일 태생이나 자라서 영국에 건너가서 음악가로서 활동하였었다. 1772년부터 천문학에 흥미를 가지고 스스로 반사망원경을 만들어 밤하늘을 관측하게 되었다. 그러는 사이에 새로운 신성이나 성단이나 이중성 등을 차례차례로 발견하였다. 1772313일 밤에도 그는 오후 10시가 지나서 자신이 만든 구경 17센티의 망원경을 밤하늘에 돌리고 있었다. 그러자 쌍둥이좌에 묘한 별을 발견한 것이다. <얼른 보면 항성 닮으나 항성으로서는 너무 크다. 게다가 빛이 번쩍이지 않은 것이 이상하다.>고 허셸은 생각하였다.

그리고 다음 날 밤에도 관측하였다. 이 별이 위치를 바꾸는 별 곧 항성이 아님을 확실히 밝혔다. 그리고 서둘러서 이 발견을 왕립학회에 보고하였다.

그는 처음에는 <혜성이 아닌가--.>하고 생각했으나 1년이 지나자 틀림없이 이것이 새로운 혹성임이 판명되었다. 허셸은 이 신혹성에 당시의 영국 국왕 조지3세의 이름을 따서 조지성이라고 이름 붙였다. 그러나 일반에게 잘 통용되지 않아 요한 일레트 보데Johann Elert Bode, 1747-1826)의 제안에 따라 천왕성(Uranus 우라누스)으로 불리게 되었다.

 

더 넓어진 태양계

 

천왕성의 발견으로 태양계는 그때까지의 2배가 커졌다.

허셸은 이 발견으로 대천문학자로서 세계에서 인정을 받고 영국의 귀족이 되었다.

망원경으로 보아도 이 별의 표면은 고요해서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목성이나 토성처럼 두꺼운 대기층을 가지고 있는 것은 틀림이 없다.

대기 중에는 수소나 헬륨이 많이 포함되고 있는데 목성이나 토성에 비하면 무거운 메탄을 훨씬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 같다.

태양으로부터의 거리는 287,200만 킬로미터로 거의 원에 가까운 궤도를 84년 걸려서 한 번 돈다. 표면의 온도는 마이너스 180도 정도로 무서운 혹한의 세계이다.

천왕성에 대하여 재미있는 것은 그 자전하는 축이 궤도면과 갓갓으로 기울어져 있다는 것이다. 자전축과 궤도면과의 각도는 겨우 759분이다. 곧 천왕성은 마치 옆으로 누워 있는 모습이다. 이렇게 기묘한 혹성은 달리는 없다.

 

천왕성의 낮과 밤

 

이런 때문에 천왕성의 계절은 매우 이상하다. 먼저 북반구의 대부분에서는 지구의 21년에 해당하는 길고 긴 겨울과 밤만이 계속된다. 이 사이에 남반구는 낮만이 이어지는 여름으로 태양이 지는 일이 없다. 그리고 다음의 21년간은 낮과 밤이 교대하여 오는 가을이 된다. 이리하여 기묘한 84년이나 걸리는 천왕성의 긴 1년이 끝이 나는 것이다.

천왕성의 밝기는 겨우 6등성 정도로 눈이 매우 좋은 사람이 아니면 볼 수는 없다.

또 천왕성은 10시간 50분 정도로 자전하고 있다. 이것이 천왕성의 하루이다. 지구와 비교하여 매우 짧은 것은 목성이나 토성과 같다.

 

27개의 위성을 가진 천왕성

 

보이저 2Voyager 2=1977년에 쏘아 올린 NASA의 무인우주탐사기접근으로 2013년 시점에서 천왕성에는 27개의 위성이 발견되고 있다. 그 이전에 발견된 5개의 위성을 5대 위성이라 한다.

5개의 위성 중에서 제일 밝은 것은 티타니아Titania로 직경 약 1,000킬로미터이다. 그러나 밝기는 14등급으로 그저 보기만으로도 구경 30센티의 망원경이 필요하다. 그 밖의 아리엘(Ariel), 운브리엘(Umbriel), 오베론Oberon), 미란다(Miranda) 라는 4개의 위성이 있다. 모두가 작아서 직경은 아리엘부터 차례로 600킬로미터, 400킬로미터, 800킬로미터, 1100킬로미터이다.

 

 

'환경. 우주 > 우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태양계 끝에 있는 별 명왕성  (0) 2014.09.11
해왕성(Neptune) 이야기  (0) 2014.09.05
3. 다양한 63개의 위성들  (0) 2014.08.31
2. 금빛의 고리를 가진 토성  (0) 2014.08.27
1. 토성은 물보다도 가볍다  (0) 2014.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