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유가의 고전/춘추좌씨전의 명언 명구

춘추좌씨전 3. 장공(莊公) 편의 명언 명구

간천(澗泉) naganchun 2009. 4. 22. 03:48

 

3. 장공(莊公) 편의 명언 명구

 

 

26,

夫戰勇氣也라.(左傳 莊公 10年)

부전용기야라.(좌전 장공 10년)

 

무릇 전쟁에 승리하려면 용기가 필요하다.

 

무릇 전쟁에서 승리를 쟁취하려면 전사가 필요하고 그 전사들은 용기가 있어야 승리를 쟁취할 수가 있다.

ㅇ전(戰)-싸우다. 전쟁. ㅇ용(勇)-용기. ㅇ기(氣)-기운.

 

27,

妖由人興也니라.(左傳 莊公 14年)

요유인흥야니라.(좌전 장공 14년)

 

요사스러운 일은 사람이 일으키는 것이다.

 

세상에 일어나는 요사스러운 일들은 요사스러운 사람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이다. 사람의 마음이 바르고 성실하다면 요사스러운 일은 일어나지 않을 뿐 아니라 요사스러운 일에 매료되지도 않는다.

ㅇ요(妖)-재앙. 아리땁다. ㅇ유(由)-말미암다. ㅇ흥(興)-일으키다.

 

28,

臣無二心은 天之制也니라.(左傳 莊公 14年)

신무이심은 천지제야니라.(좌전 장공 14년)

 

신하로서 임금에게 두 가지 마음을 가져서는 안 되는 것은 하늘이 정해준 이치이다.

 

신하로서 임금에게 충성을 다할 뿐 다른 임금을 생각하는 마음을 가져서는 안 되는 것은 하늘이 정해준 도리이다.

ㅇ신(臣)-신하. ㅇ무(無)-없다. ㅇ심(心)-마음. ㅇ천(天)-하늘. ㅇ제(制)-법. 제도.

 

29,

臨禍忘憂하니 憂必及之라.(左傳 莊公 20年)

임화망우하니 우필급지라.(좌전 장공 20년)

 

위험에 임해서 걱정을 잊는다면 반드시 걱정이 미치게 된다.

 

위험한 재난에 처하고 있으면서도 그 걱정을 잊어버린다면 반드시 돌이킬 수 없는 재난을 당하게 된다.

ㅇ임(臨)-임하다. ㅇ화(禍)-재앙. ㅇ망(忘)-잊다. ㅇ우(憂)-걱정. ㅇ필(必)-반드시. ㅇ급(及)-미치다.

 

30,

儉德之共也요 侈惡之大也라.(左傳 莊公 24年)

검덕지공야요 치악지대야라.(좌전 장공 24년)

 

검덕은 공경할 만한 것이고, 사치는 최대의 악이다.

 

호사스럽게 사치를 하는 것은 내몰아야 할 악덕이다. 그러나 검덕 곧 검소하고 몸을 조심하여 삼가는 것은 가장 존경할 만한 미덕이다.

ㅇ검(儉)-검소하다. ㅇ공(共)-공경하다. 이바지하다. ㅇ치(侈)-사치하다. ㅇ악(惡)-니쁘다.

 

31,

國將興聽於民하고 將亡聽於神이라.(左傳 莊公 32年)

국장흥청어민하고 장망청어신이라.(좌전 장공 32년)

 

나라가 흥하게 될 때는 위정자는 백성의 소리를 듣고,

장차 망하게 될 때는 신의 소리를 듣는다.

 

나라가 흥하려 할 때는 위정자는 만사를 제쳐 놓고 백성의 소리를 듣는다. 그러나 나라가 망하려 할 때는 부질없이 미신이 만연하여 신의 소리를 듣게 된다. 나라가 망할 때는 국가의 정론은 들리지 않고 유언비어에 현혹되어서 민심이 동요되고 마침내는 나라가 망하게 되는 것이다.

ㅇ국(國)-나라. ㅇ장(將)-장차. ㅇ흥(興)-흥하다. ㅇ청(聽)-듣다. ㅇ민(民)-백성. ㅇ신(神)-귀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