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 의학생리학상, 인류진화연구의 페포 씨. 오키나와과기대겸무
스웨덴의 카로리스카연구소는 3일(2022년) 2022년의 노벨의학생리학상을 절멸한 사람족의 게놈이나 인류의 진화에 관한 발견을 한 독일 막스 프랑크진화인류학연구소의 스반테 페포(Svante Pääbo [ˈsvanˈtɛ ˈpɛːbʊ]、1955년 4월 20일 - 스웨덴 태생 생물학자, 진화유전학 전문) 교수(67)에게 수여한다고 발표하였다. 페포씨는 스웨덴 출신으로 오키나와과학기술대학원대학의 객원교수를 겸무하고 있다.
고인류학에서는 인류의 선조의 뼈나 치아의 화석을 기초로 진화나 분류가 연구되었었다. 이에 대하여 페포 씨는 DNA배열의 분석수법을 개척하여 이것을 실마리로 하여 현생인류의 진화의 핵심에 다그치는 많은 성과를 올렸다.
페포 씨는 구인(舊人)에 속하는 화석인류 네안데르탈인의 미토콘트리아 DNA에 더해서 독자의 수법의 개선에 의하여 핵DNA를 고정도로 해독하고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와의 연결의 해명에 길을 열었다. 네안데르탈인의 DNA배열은 현대의 아프리카인의 것보다도 유럽인이나 아시아인의 것에 비슷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네안데르탈인이 호모사피엔스와 수천 년에 걸쳐 공존하고 교배하고 있었음을 나타내었다. 유럽, 아시아인의 DNA의 1~4%가 네안데르탈인에서 받아 이어 오고 있다고 한다.
또 2008년에 시베리아 남부의 동굴에서 발견된 4만 년 전의 뼈의 DNA분석에 따라 미지의 사람족 <데니소바인(Denisova hominin)>을 발견하였다. 네안데르탈인 등의 면역 구조가 현대인에 영향하고 있다는 것도 지적하고 있다.
절멸 생물이나 인류의 선조의 DNA의 분석기술을 개발하여 고(古)게놈학을 확립한 것으로 인류의 루트나 진화의 역사를 풀어낸 것이 평가되었다. 2020년에는 <고대인 게놈 해석에 의한 고인류학에로의 선구적 공헌>으로 일본국제상을 수상했다.
상금 계 1000만 스웨덴 크로나(약 1억3000만 엔)이 주어졌다. 수상식은 12월 10일에 스웨덴에서 3년 만에 수사자를 초청하여 열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의 확대를 받아 거주국에서 표창을 받았던 과거 2년의 수상자도 초청된다.
일본어원문=ノーベル医学生理学賞、人類進化研究のペーボ氏 沖縄科技大兼務
출처=...https://scienceportal.jst.go.jp › newsflas
'역사의 수수께끼 > 인류 진화의 수수께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벨의학생리학상에서 주목 <고대인의 교잡>,--우리들의 선조는 <미녀와 야수>였는가?-- (1) | 2022.10.07 |
---|---|
<유전>하는 RNA 에피제네틱한 변화는 세대를 넘는가?(2/2) (1) | 2022.10.05 |
<절멸한 2종류의 미지의 인류>의 흔적이 (0) | 2022.07.13 |
사람게놈의 <완전한 배열>결정에 성공 (0) | 2022.07.12 |
5000년 전 사람의 미라 (0) | 2022.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