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멸한 2종류의 미지의 인류>의 흔적이
현대에 살아있는 사람의 DNA에 존재한다.
현생 인류는 아프리카를 기원으로 해서 전 세계에 퍼졌다고 하는데 그 과정에서는 약 2만 년 전에 절멸한 네안데르탈인이나 네안데르탈인에서 분기한 데니소와인과의 교접했던 것이 분명해졌다. 다시 DNA해석 결과 현대의 사람의 DNA에는 이제까지 확인되지 않았던 <2종류의 미지의 인류>의 흔적이 존재하여 과거에 현생 인류와 교접하고 있었던 것을 알았다.
사람이 아프리카에서 유라시아 대륙으로 퍼진 때 이미 많은 장소에는 네안데르탈인이나 데니소와인이 사람보다 다시 오래 전부터 살았다고 한다. 그 중에서 사람은 교잡을 행하여 그 DNA가 현대의 사람에게도 받아서 이어오고 있음이 판명되었다.
호주의 애들레이드대학(University of Adelaide)에서 생물학을 연구하는 João Teixeira 씨 등의 연구팀은 사람의 DNA 중에는 네안데르탈인이나 데니소와인 이외에도 2종류의 <이미 절멸한 미지의 인류>의 DNA가 받아 이어오고 있다고 발표하였다. Teixeira 씨는 <우리들은 각각 과거의 교잡 이벤트의 유전적 흔적을 남기고 있다.>
<이번 발견된 미지의 인류 그룹은 광범위에 존재하여 유전적으로 다양하고 우리들의 DNA의 속에 살아 남아있다. 절멸한 인류의 이야기는 우리들이 어떻게 해서 진화해왔는지를 생각하는 데에 필요 불가결인 부분이다.>고 말하고 있다.
연구팀은 현대의 사람의 DNA를 AI 등의 힘을 빌어서 주의 깊게 분석함으로써 2종류의 <절멸한 미지의 인류>의 흔적을 발견하였다. 다시 Teixeira 씨 등은 사람과 미지의 인류와의 교잡이 어디서 발생하였는지를 조사하였다는 것이다. 에를 들면 Teixeira 씨에 의한 현대의 DNA는 약 2%가 네안데르탈인 유래인 듯하여 <이것은 사람이 아프리카를 나와서 곧 네안데르탈인과의 교잡이 행해진 것을 의미하고 있고 교잡이벤트는 약 5만 년 전-5만 5000년 전에 중동부근에서 발생한 것일 것이다.>고 Teixeira 씨는 말하고 있다.
이어서 사람의 선조가 유라시아대륙을 동쪽 방향으로 곧 인도나 동남아시아 쪽을 향하여 이동하는 가운데 사람은 네안데르탈인이 아닌 새로운 인류 그룹과 조우한 것 같다. Teixeira 씨는 <적어도 3종류의 다른 인류가 동남아시아에 살고 있었던 것 같고 그들은 절멸하기 전에 사람과의 교잡이 행해졌다.>고 말하고 있다.
사람이 아시아에서 조우한 3종류의 인류 중 하나는 이전부터 존재가 알려진 데니소와인이지만 나머지 2종류는 이제까지 존재가 확인되지 않았던 미지의 인류였다.
미지의 인류는 각각 <EH1(extinct hominid 1)」> <H2(extinct hominid 2)>라고 이름 붙여지고 있다.
EH1은 데니소와인(Denisova hominin) 및 네안데르탈인에서 유전적으로 등거리로 아시아인이나 파프아(Papua) 인의 선조가 EH1과의 교잡을 행했다고 추측되고 있다. 현대의 아시아인이나 파푸아인의 DNA에도 2.6-3.4% 정도 EH1의 DNA가 받아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EH1의 DNA를 받아 이어온 동아시아나 안다만제도, 호주선주민 등에서도 발견되고 있는 데서 사람이 EH1와 만난 것은 인도 북부였다고 연구팀은 추측하고 있다. 또 EH1과 교잡한 후에 사람은 데니소와인과의 교잡을 행하였다고 보이고 있어서 동아시아나 순다열도(Greater Sunda Islands), 필립핀 부근에서 교잡이 행해졌다고 한다.
이어서 과거의 사람은 인도네시아의 풀로레스(Flores) 섬에서도 EH2와의 소규모 교잡이 행해졌다고 보고 있다. EH2의 DNA는 현대의 사람 중에서도 풀로레스 섬에서 발견된 소형의 사람속 호모 풀로레시엔시스(Homo floresiensis)가 발견된 리앙부아(Liang Bua)동굴부근에 사는 키가 작은 사람들 중에서만 보이는 것 같다. 그런 때문에 EH2의 유전자는 매우 소규모인 집단 내에서만 받아 이어져서 다른 지역으로 퍼지지 않았다.
네안데르탈인. EH1、데니소와인、EH2과의 교잡이 발생한 장소에 대해서 나타낸 그림 이하 <N>이라 적힌 지점에서 사람과 네안데르탈인의 교잡이, <1>의 지점에서 EH1과의 교잡이 <2><3><4>의 지점에서 데니소와인과의 교잡이 <5>의 지점에서 EH2와의 교잡이 행해졌다고 한다.
<아프리카에서 사람이 퍼진 과정은 단순한 것이 아니라는 것은 알려지고 있었지만 이제까지 생각했었던 이상으로 사람의 역사는 복잡한 듯하다.>고 Teixeira 씨는 말한다. 동남아시아 부근은 사람이 도착하기보다 훨씬 전부터 다른 인류 그룹이 살고 있었던 것 같은데 아쉽게도 사람이 도착으로 고대 인류는 절멸하고 말았다고 생각되고 있다.*
일본어원문=「絶滅した2種類の未知の人類」の痕跡が現代に生きるヒトの
출처=https://gigazine.net › news › 20190718-modern-dna-2-...
'역사의 수수께끼 > 인류 진화의 수수께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전>하는 RNA 에피제네틱한 변화는 세대를 넘는가?(2/2) (1) | 2022.10.05 |
---|---|
노벨 의학생리학상, 인류진화연구의 페포 씨. 오키나와과기대겸무 (1) | 2022.10.04 |
사람게놈의 <완전한 배열>결정에 성공 (0) | 2022.07.12 |
5000년 전 사람의 미라 (0) | 2022.07.11 |
40억 년의 진화의 역사를 다시 한 번 고쳐도 인류는 탄생할까?(3/3) (0) | 2022.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