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장자> 천운편의 명언 명구
203.
공경함으로써 효도를 다하기는 쉬우나,
사랑으로써 효도를 다하기는 어렵다.
공경과 자애는 효도를 이루는 근본 요소이다. 그러나 공경함으로써 효도를 다하기는 쉬워도, 참다운 애정을 가지고 효도를 다하기는 어렵다.
以敬孝易이나 以愛孝難이라.(莊子 外篇 天運)
이경효이이나 이애효난이라.(장자 외편 천운)
ㅇ경(敬)-공경하다. ㅇ효(孝)-효도. ㅇ이(易)-쉽다. ㅇ애(愛)-사랑하다. ㅇ난(難)-어렵다.
204.
어버이를 잊기는 쉬워도, 어버이로 하여금 나를 잊게 하기는 어렵다.
사람의 인정으로 어버이를 잊을 수는 없다고 하지만, 상황에 따라 어버이를 잊으려 한다면 잊지 못할 것은 아니다. 그러나 어버이로 하여금 자식인 나를 잊게 하기는 어려운 것이다. 자식의 어버이에 대한 사랑보다도 어버이의 자식에 대한 사랑이 더 깊기 때문이다. “내리 사랑은 있고, 치사랑은 없다.“라는 속담을 생각하게 하는 말이다.
忘親易이나 使親忘我難이라.(莊子 外篇 天運)
망친이이나 사친망아난이라.(장자 외편 천운)
ㅇ망(忘)-잊다. ㅇ친(親)-어버이. ㅇ사(使)-하여금. ㅇ아(我)-나.
205,
천하로 하여금 나를 겸하여 잊게 하기는 어렵다.
천하의 모든 사람으로 하여금 자기 자신의 존재를 잊게 하고, 겸하여 자신도 천하를 잊게 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使天下兼忘我難이라.(莊子 外篇 天道)
사천하겸망아난이라.(장자 외편 천도)
ㅇ겸(兼)-겸하다. ㅇ망(忘)-잊다.
206.
우둔하기 때문에 도이다.
세상에서 우둔한 것은 바라는 바가 아니다. 그러나 우둔함은 인간의 의도적인 지식이 작용되지 않은 것이므로 그것이 참된 도가 되는 것이다.
愚故道니라.(莊子 外篇 天運)
우고도니라.(장자 외편 천운)
ㅇ우(愚)-어리석다. ㅇ고(故)-까닭.
207.
수로에는 배를 부리는 것보다 나은 것이 없다.
수로를 건너가는 데는 배를 타고 가는 것이 가장 낫다. 육로에는 차를 타야 하고 하늘을 날려면 비행기를 타는 것이 제일이다. 이처럼 환경과 상황에 따라 방법도 달리 강구되어야 한다.
水行莫如用舟라.(莊子 外篇 天道)
수행막여용주라.(장자 외편 천도)
ㅇ행(行)-행하다. 실천하다. ㅇ막(莫)-말다. ㅇ막여(莫如)-못하다. 아니다. ㅇ용(用)-쓰다. ㅇ주(舟)-배.
208.
오히려 배를 육지에서 미는 것과 같아 수고로우나 효과가 없다.
배는 바다에 띄우는 것이 바람직한 사용법이다. 그런데 방법을 잘못 쓰면 마치 배를 육지에서 미는 것처럼 수고롭기만 할뿐 효과는 없다.
猶推舟於陸이니 勞而無功이라.(莊子 外篇 天運)
유추주어륙이니 노이무공이라.(장자 외편 천운)
ㅇ유(猶)-오히려. ㅇ추(推)-밀다. ㅇ륙(陸)-육지. ㅇ로(勞)-수고롭다. ㅇ공(功)-공.
209.
백조는 날마다 목욕을 하지 않아도 희고,
까마귀는 날마다 검은 물을 드리지 않아도 검다.
선천적으로 흰 백조는 날마다 물로써 목욕을 하지 않아도 천연적인 자질이 희기 때문에 희고, 까마귀는 날마다 검정 물을 들이지 않아도 검다. 선천적으로 아름답거나 선한 것은 후천적으로 배우는 바 없어도 아름답고 선하다.
鵠不日浴而白하고 烏不日黔而黑이라.(莊子 外篇 天運)
곡불일욕이백하고 오불일검이흑이라.(장자 외편 천운)
ㅇ곡(鵠)-고니. 백조. ㅇ욕(浴)-목욕하다. ㅇ백(白)-희다. ㅇ오(烏)-까마귀. ㅇ검(黔)-검다. ㅇ흑(黑)-검다.
'도가의 고전 > 장자의 명언 명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 <장자> 추수편의 명언 명구 (0) | 2009.10.26 |
---|---|
14. <장자> 각의편의 명언 명구 (0) | 2009.10.23 |
12. <장자> 천도편의 명언 명구 (0) | 2009.10.20 |
11. <장자> 천지편의 명언 명구 (0) | 2009.10.16 |
10. <장자> 재유편의 명언 명구 (0) | 2009.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