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도가의 고전/장자의 명언 명구

15. <장자> 추수편의 명언 명구

간천(澗泉) naganchun 2009. 10. 26. 04:58

 

15. <장자> 추수편의 명언 명구

 

213.

우물 속의 개구리에게는 바다에 대하여 말할 수 없다.

 

좁은 우물 속에서만 사는 개구리에게는 넓은 바다에 대하여 말하여도 이해할 수가 없는 것이다. 이처럼 식견이 좁은 사람에게는 대사를 말해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다. 속담 ‘우물 안 개구리(정저지와/井底之蛙)’는 여기서 유래한다.

 

井蛙는 不可以語於海니라.(莊子 外篇 秋水)

정와는 불가이어어해니라.(장자 외편 추수)

ㅇ정(井)-우물. ㅇ와(蛙)-개구리. ㅇ어(語)-말하다. ㅇ해(海)-바다. *와(蛙)는 별(鼈-자라)로도 쓰임.

 

214.

도에는 시작과 끝이 없으나 물건에는 죽고 사는 것이 있다.

 

도는 천지 만물의 생성 이전에 존재하여 만물을 생성하고 소멸시키며 변화를 낳게 하는 근원적인 원리이므로 시작이나 끝이 없이 하나이나, 우주의 만물은 도 곧 우주 생성의 원리에 의하여 존재하게 된 것이므로 죽음과 삶, 시작과 끝이 있는 것이다.

 

道無終始이나 物有死生이라.(莊子 外篇 秋水)

도무종시이나 물유사생이라.(장자 외편 추수)

ㅇ무(無)-없다. ㅇ종(終)-끝. ㅇ시(始)-시작. ㅇ물(物)-물건. 만물.

 

215.

물건이 생겨나면 그 변화는 말이 달리듯이 빨라서 움직여 변하지 않은 것이 없고, 한시라도 이동하지 않은 것이 없다.

 

자연의 만물은 일단 생겨나면 말이 달리듯이 빨리 변하여 변하지 않은 것이 없고, 한 때라도 이동하지 않은 것이 없다.

 

物之生也에 若驟若馳하며 無動而不變하며 無時而不移하니라.(莊子 外篇 秋水)

물지생야에 약취약치하며 무동이불변하며 무시이불이하니라.(장자 외편 추수)

ㅇ약(若)-같다. ㅇ취(驟)-말달리다. ㅇ치(馳)-빠르다. ㅇ변(變)-변하다. ㅇ이(移)-옮기다.

 

216.

흙탕물에 꼬리를 끌지 않겠는가.

 

꼬리를 흙탕물에서 끈다하여도 자신이 마음에 맞는 생활을 하는 것이 즐거운 것이다. 초(楚) 나라의 왕이 국정을 장자에게 맡기고자 사자를 보내어 초 나라의 왕이 국정을 맡기고 싶어 하니 그 뜻을 받아주기를 간청했다. 이에 장자가 비유하여 한 말이다.

 

曳尾於塗中乎아.(莊子 外篇 秋水)

예미어도중호아.(장자 외편 추수)

ㅇ예(曳)-끌다. ㅇ미(尾)꼬리. ㅇ도(塗)-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