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 象(상-코끼리) 29, 象(상-코끼리) 상(象)자는 코끼리의 모습을 그린 상형문자로서 <모양>을 나타낸다는 뜻이 있다. 기원전 1300년경 은(殷) 나라 시대의 갑골문자에는 꼬리가 긴 코끼리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고대인들도 코끼리는 몸뚱이가 커서 놀라운 인상을 받았으므로 모습을 나타내는 글자에 코끼리 상(象) 자.. 한자학습/한자이야기 2009.11.29
28, 豹(표-표범) 28, 豹(표-표범) 豹(표)자는 ⾘(시-갖은 돼지=키 큰 짐승이라는 뜻) + 勺(표)<瓢(표=표주박)의 변형>으로 음을 나타낸다. 瓢 (표)는 가벼워서 물에 잘 뜬다는 것을 나타내는 글자로서 <표류한다.>고 할 때 漂流(표류)의 표(漂)와 동계열의 뜻을 나타낸다. 곧 勺-瓢-漂-飄 등은 음이 <표>이고 가볍.. 한자학습/한자이야기 2009.11.25
27. 虎(호-호랑이) 27. 虎(호-호랑이) 호(虎)자를 옥편에서 찾으려면 6획의 범호 엄(虍) 부수에서 찾아야 한다. 虎(호)자는 호랑이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그린 상형문자이다. 호랑이란 용맹한 동물로서 무서움을 상징하였다. 용호상박(龍虎相搏)이라 하여 용과 호랑이가 서로 싸운다 하여 용에 비길 만한 동물이라 여겼고 용.. 한자학습/한자이야기 2009.11.23
26, 猨(원-긴 팔 원숭이) 26, 猨(원-긴 팔 원숭이) 猨(원-원숭이)이라는 글자는 ⺨(개사슴 록)+爰(원)으로 이루어진 글자이다. 이 爰(원)이라는 글자는 <끌다>는 뜻을 나타내는 글자로 위에 爪(조=손톱)자 아래에는 又(우=또)를 쓰고 그 사이에 棒(봉=몽둥이)을 끼워 넣어서 잡아당기는 모습을 하였다. <팔 긴 원숭이>를 猨(.. 한자학습/한자이야기 2009.11.22
25. 猿(원-원숭이) 25. 猿(원-원숭이) 원(猿)자는 ⺨(개사슴 록)+袁(원-옷이 길다 이루어진 글자이다. 원래는 <긴 팔 원숭이>를 말하는 글자였는데 후에 모든 원숭이를 통칭하는 글자가 되었다. 원래의 글자는 원(猨)이었는데 속자로 원(猿)자를 주로 쓰게 되었다. 한자학습/한자이야기 2009.11.20
24. 豪(호-호걸) 24. 豪(호-호걸) 이 글자는 <高 + 豕> 곧 <높을 고 + 돼지 시>로 이루어진 글자이다. 호저(豪豬)라는 동물이 털이 솟구쳐져서 돼지처럼 보였기 때문에 돼지 시(豕)자를 쓴 것이 아닌가 한다. 동물은 일반적으로 가을이 되면 털갈이를 하는데 이때 길게 자란 털을 추호(秋毫)라고 하는데 이 호(毫) 자.. 한자학습/한자이야기 2009.11.18
23. 兎(토-토끼) 23. 兎(토-토끼) 이 글자는 토끼를 뒤로 보고 그린 상형문자이다. 특히 토끼가 껑충껑충 뛰어 달아날 때 뒷다리의 모양이 잘 나타나 있다. 중국인들은 아주 오랜 옛날부터 토끼를 귀여워하였는데 달나라에는 토끼가 방아를 찧는 모습을 볼 수 있다고 했다. 옛날 전설에 예(羿)(예-옛날 활쏘기의 명수의 .. 한자학습/한자이야기 2009.11.13
22. 狸(리-삵. 너구리) 22. 狸(리-삵. 너구리) 이 글자는 <⺨(개 사슴 록)+ 里>로 이루어진 글자이다. 里(리-마을)는 발음에만 관계가 있다. 너구리라는 뜻으로 주로 쓰이는 글자이다. 원래 너구리는 굴속에 숨어 살며 꼭 필요한 때 외에는 밖으로 나타니지 않은 습성이 있어서 사람과는 친해질 수 없는 동물이다. 한자학습/한자이야기 2009.11.12
21. 狐(호-여우) 21. 狐(호-여우) 이 글자는 <⺨(개 사슴 록) + 瓜(오이 과)> 로 이루어진 글자이다. 瓜(과-오이)는 줄기에 매달린 오이를 그린 상형문자인데 여기서는 발음과 관계가 있고 뜻과는 무관하다. 중국에서는 호리(狐狸) 곧 여우와 너구리를 교활한 동물을 대표하며, 여호(女狐)라 해서 사람을 꼬여내는 요정.. 한자학습/한자이야기 2009.11.08
20. 豚(돈-돼지) 20. 豚(돈-돼지) 이 글자는 <肉 + 豕>곧 <고기육 + 돼지시>로 이루어진 글자이다. 대체로 <月>은 사람이나 동물의 몸과 관련한 글자의 경우에는 肉(육-고기)을 뜻한다. 한자학습/한자이야기 2009.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