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역사에 남을 위대한 여성 127

제31위, 사랑하는 여성 권리 향상자 <어밀리아 에어하트><더 보기>1

제31위, 사랑하는 여성 권리 향상자 1 여성 최초 대서양 횡단 비행한 ( Amelia Mary Earhart) 1897년 7월 24일 ~ 1939년 1월 5일 어밀리아 메리 에어하트(영어: Amelia Mary Earhart, 1897년 7월 24일 ~ 1939년 1월 5일 사망 공식발표)는 미국의 여성 파일럿이자 작가이다. 여성으로는 최초로 대서양 횡단 비행에 성공하였다. 1937년 7월 2일 뉴기니 섬의 라에를 출발해 남태평양을 횡단하다 하울랜드(Howland) 섬 부근에서 실종, 1939년 1월 5일에 사망했다고 공식 발표되었다. 초기 생애 어밀리아 에어하트는 1897년 7월 24일 미국 캔자스 주 앳친슨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나무를 오르거나 소총으로 쥐를 잡는 등 어렸을 적부터 모험가적 기질을 ..

사랑하는 여성 권리 향상자 <어밀리아 에어하트>

사랑하는 여성 권리 향상자 어밀리아, 메리, 에어하트(Amelia Mary Earhart ,1897년 7월 24일 - 1937년 7월 2일), 미국 비행사. 대서양 단독비행에 처음으로 성공한 여성 비행사이다. 1937년에 적도 상 세계일주여행에 도전했을 때 행방불명이 되었다. 그 유체는 결국 현재까지도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런 때문에 미국에서는 종종 소설이나 영화에서 등장한다. 그녀는 전국 여성당 멤버이고 여성 권리 행상을 위한 운동에도 참여하여 여성 비행사 단체인 를 설립하여 현재에도 여성 비행사를 지원하는 이하하트 장학금으로 이름을 남기고 있다. 출처=f:id:myworldhistoryblog:20191107232309j:plain

브르봉조 그늘의 실력자 <퐁파두르 부인><더 보기 4>

브르봉조 그늘의 실력자 20년은 처녀, 15년은 창녀, 7년은 뚜쟁이 퐁파두루라 하면 지금은 헤어스타일의 이름으로 여성들에게는 알려진 말이 아닐까. 그러나 그녀가 18세기 프랑스 왕 루이 15세의 애인으로서 로코코문화(Rococo=미술사에서 쓰이는 용어로 바로크에 이어지는 시대의 미술양식을 가리킨다. 18세기 프랑스루이 15세의 궁전에서 시작되었다)를 대표하는 귀부인이었다는 것쯤은 누구나 알고 있을 것이다. 먼저 헤어스타일 이야기부터 시작하기로 하자. 18세기 프랑스 궁전은 어떻든 남성이 자수를 하거나 머리 손질에 매우 시간을 거는 등이 시대이니까 여성의 사치라 하면 미친 것 같았다. 이 시대에 크게 유행한 여자 헤어스타일은 폰탄쥬(Coiffure à la Fontanges)라는 것으로 앞머리를 이마위에..

제30위, 브르봉조 그늘의 실력자 <퐁파두르 부인><더 보기 3>

제30위, 브르봉조 그늘의 실력자 뚜쟁이 30살을 넘었을 무렵부터 루이 15세와 한 침실에서 같이 자는 일은 없어졌지만, 루이 15세는 퐁파두르 여후작이 43살의 나이에 폐결핵으로 죽을 때까지 계속 총애했다고 한다. 퐁파두르 여후작은 베르사유 궁전 안에 녹원을 조성하고는 그곳에 전국 각지에서 데려온 미녀들을 모아놓고 루이 15세에게 고르게 하여 매일 젊고 아름다운 여인을 대령했다고 한다. 그래서 7년간은 뚜쟁이였다는 악평을 듣게 된다. 예수회와의 분쟁 당시 프랑스에서 막강한 힘과 권한을 갖고 있던 가톨릭 수도회인 예수회는 퐁파두르 여후작과 갈등을 겪게 된다. 루이 15세와 퐁파두루 여후작은 예수회 신부에게 자신들을 공식 커플로 인정해 주길 요청했지만 번번이 거절당한다. 이 때문에 퐁파두루 여후작은 예수회..

제30위, 브르봉조 그늘의 실력자 <퐁파두르 부인><더 보기 2>

제30위, 브르봉조 그늘의 실력자 정치 관여하기 프랑스 국왕의 공식 애첩이 된 퐁파두르 여후작은 죽을 때까지 20년 동안 루이 15세를 매혹시키고 그에게 절대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녀는 돈을 물 쓰듯이 사용하고 (하지만 그전 역대 프랑스의 어떤 왕의 여자보다 검소했다.) 여러 곳에 저택과 성곽 등을 건설하였으며(프랑스 대통령의 관저인 엘리제 궁전은 그녀의 저택 중의 하나다), 이윽고 정치에도 참견하게 되어 약 15년간 권세를 누리게 된다. 퐁파두르 여후작의 추천을 받아 1758년 외무대신이 된 쇼아죌은 전쟁대신 등의 직위도 겸하여, 대략 10년에 걸쳐 사실상 재상이 되었다. 프랑스의 중농학파 프랑수아 케네는 그녀의 주치의였다. 한마디로 퐁파두르 여후작은 프랑스의 정치를 좌지우지한 그림자의 실력자라고 할..

제30위, 브르봉조 그늘의 실력자 <퐁파두르 부인><더 보기 1>

제30위, 브르봉조 그늘의 실력자 1, 퐁파두르 여후작 잔앙투아네트 푸아송 드 퐁파두르 여후작(프랑스어: Jeanne-Antoinette Poisson, marquise de Pompadour, duchesse de Menars, 1721년 12월 29일 - 1764년 4월 15일)은 프랑스의 루이 15세의 애첩이다. 마담 퐁파두르(프랑스어: Madame de Pompadour)라고도 한다. 생애 1721년 당시 파리의 부유한 금융업자였던 샤를 프랑수아 폴 르 노르망 드 투르넴(프랑스어: Charles François Paul Le Normant de Tournehem)의 딸로 태어났다. 잔느 푸아송은 평민이란 신분에 속했었지만, 부르주아 계층이었던 어머니 애인의 호의 덕분에 귀족의 자녀 이상 급의 교육..

브르봉조 그늘의 실력자 <퐁파두르 부인>

브르봉조 그늘의 실력자 퐁파두르 부인(불 : Madame de Pompadour)퐁파두르 후작 부인=앙트와넷트 포이손(불어 ; Jeanne-Antoinette Poisson, marquise de Pompadour, 1721년 12월 29일 - 1764년 4월15일) 루이 15세의 공첩이다.(위키페디아) 루이 15세의 공첩이었다. 프랑스의 *브르봉조에는 공첩(公妾)이라는 독자의 제도가 있었다. 이것은 국왕의 비와는 다른 공식 애인이 있어서 그 중 톱은 정치에까지 관여할 수 있다는 제도이다. 퐁파두르 부인과 달리 다른 루이 14세의 공첩이었던 몽데스팡 부인이나 같은 루이 15세의 공첩이었던 듀바리 부인 등이 유명하다. 공첩이 되려면 국왕의 총애는 물론 풍부한 식견과 판단력이 요구되어서 신분과는 무관하였다는..

<사하라의 간디>라 불리는 인권운동가 <아미나투 하이다>

라 불리는 인권운동가 투옥과 고문에도 불구하고 서사하라 사람들을 위한 정의와 자결권을 추구하기 위해 그녀의 확고한 비폭력 행동 아미나트 하이다(Aminatou Haidar(1967년-)는 1975년부터 모로코가 점령한 서사하라 출신의 뛰어난 비폭력 운동가이자 인권 옹호자이다. 30년 넘게 조국의 독립을 위한 평화적인 운동을 통해 그녀는 "사하라의 간디"로 알려지게 되었다. 하이다(Haidar)의 위엄과 결단력은 그녀를 이 지역에서 가장 존경받는 지도자 중 한 명으로 만들었다. 하이다(Haidar)는 십대 때 활동을 시작했으며 사하라 인권 운동의 창시자 중 한 명이다. 그녀는 시위를 조직하고, 고문 사례를 기록하고, 사람들이 겪는 침해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여러 차례 단식 투쟁을 벌였다. 그녀는 오랫..

제 28위, 대제라 불린 그루지아의 여왕 <타마르>

제 28위, 대제라 불린 그루지아의 여왕 타마르 바그라티오니(თამარი, Tamar Bagrationi, 1160년? - 1213년、재위:1184년 - 1213년)는 바그라티오조 그루지아왕국 여왕이다. 이름은 타마라, 타마아라라고도 적힌다. 그루지아왕국의 최성기를 현출시켰다. *셀주크조를 구축하여 영토를 확대하고 그루지아왕국의 판도를 남아프리카 전역으로 넓혔다. 그녀는 부왕인 기오루기3세(재위 1156년-1184년)에 의하여 1178년1부터 공동통치자로 임명되었는데 1184년 부왕인 기오루기3세가 사망하자 단독으로 그루지아 최초의 여왕이 되었다. (위키페디아에서 발췌) 사후에 정교회에 의하여 성인으로 모셔졌다. 현재 유통하고 있는 50라리 지폐에 초상이 쓰이고 있다. ===셀주크조(Sultan of S..

제27위, 환상의 노벨상 <로잘린드 프랭클린>

제27위, 환상의 노벨상 로잘린드 엘시 프랭클린(Rosalind Elsie Franklin、1920년 7월 25일 - 1958년 4월 16일)영국의 물리화학자, 결정학자이다. 영국의 물리학자로서 석탄이나 흑연, DNA의 화학구조의 해명에 공헌했다. 그녀의 발견은 후의 DNA의 이중나선구조를 해명하는 데에 큰 역할을 다했는데 그 일은 현재에도 큰 문제로 되어 있다. 1962년에 제임스 왓슨(James Watson)과 프랜시스 크릭(Frances Crick)은 DNA의 구조를 밝혔다. 로잘린드 프랭클린(Rosalind Franklin)과 모리스 윌킨스(Maurice Wilkins)와 같은 다른 과학자들도 이 발견에 기여했다. 이로써 노벨 생리학상, 의학상을 받았다. 그런데 본래 수상했어야 할 사람은 로잘린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