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역사의 수수께끼/역사의 불가사의

18, 셰익스피어의 작품에 잘못 쓰인 말

간천(澗泉) naganchun 2020. 7. 27. 09:37

18, 셰익스피어의 작품에 잘못 쓰인 말

 

<>

셰익스피어(1564-1616)<줄리어스 시저>중에서 고대 로마에는 있을 수 없는 말을 썼다. 다음 문장의 어느 부분일까?

<몇 번이나 너희들은 성벽에 오르고 탑, , 아니 굴뚝 꼭대기까지 기어 올라가 아이를 안은 채 온종일 목을 길게 늘여 빼고 폼페이님의 개선행렬을 보려고 하지 않았나.>

 

<>

<굴뚝>이 발달한 것은 북유럽에서는12세기, 서유럽에서는 15세기경부터이다. 따라서 셰익스피어 시대에는 널리 도입되어 있었지만 대사에 나오는 시대 상황과는 일치하지 않는다.

 

고대 그리스, 로마의 난방방식은 금속제 화로에 목탄 등을 집어넣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간단한 화로를 사용하기도 했는데 연기는 지붕에 구멍을 뚫어 나가도록 설치했다. 부엌의 연기도 마찬가지이다.

화로는 석기시대의 석제화로를 사용하였고 그 후 형태나 재질은 바뀌었지만 중세에 이르기까지 오랫동안 이것이 중요한 난방기구로 사용되었다.

13-14세기에는 인구가 증가하고 집도 커지게 되어 대형 난방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연료도 석탄으로 바뀌어 굴뚝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건축기술의 발달도 일조 했다.

이렇게 하여 북유럽의 페치카와 같은 벽안에 밀어 넣는 방식, 영국 등에 발달한 맨틀피스(벽난로 앞에 있는 장식용 선반)가 있는 벽난로나 고정식 스토브 등이 널리 보급되었다.*

출처=요시오카쓰도무 저 <세계사 여행>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