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유가의 고전/논어의 명언

四. 논어에 나오는 공자의 제자

간천(澗泉) naganchun 2015. 7. 5. 18:06

. 논어에 나오는 공자의 제자

 

1, 공백료(公伯僚)

성은 공백(公伯)이고 이름은 요()이며 자는 자주(子周)로 노()나라 사람이다.

 

2. 공야장(公冶長)

성은 공야(公冶)이고 이름은 장()이며 자는 자장(子長) 또는 자지(子芝)이다. ()나라 사람이다. 공자의 제자이면서 공자의 사위이다. 새의 말을 알아들었다는 전설이 있다.

 

3. 금뢰(琴牢)

이름은 금뇌(琴牢). 자는 자개(子開)이다. 위나라 사람이다. 후기 공문의 대표적인 인물로서 자유(子游), 증자(曾子) 등과는 동문이며 그들에게서 내실이 부족하다는 평을 받았다.

 

4. 남궁괄(南宮括)

성은 남궁(南宮)이고 이름은 괄()이며 자는 자용(子容)으로 노나라 사람이다. 공자의 형의 사위이다.

 

5. 담대멸명(澹臺滅明)

노나라 무성(武城) 사람으로 성은 담대(澹臺)이고 이름은 멸명(滅明)이며 자는 자우(子羽)이다. 늦게 공문에 입문하였는데 첫눈에는 놀랄 정도의 추남이었으나 한 번 배우면 성실히 행하는 절조가 있는 인물이었다고 한다. 공자 사후에 오()나라로 가서 제자 300명을 가르쳤다고 한다. 공자보다 39세 연하이다.

 

6. 무마시(巫馬施)

성은 무마(巫馬)이고 이름은 시()이며 자는 기()이다. 노나라 사람이다. 단보(單父)의 재상이 되어 밤낮으로 정치에 힘썼다. 공자보다 30세 연하이다.

 

7. 민자건(閔子騫)

성은 민()이고 이름은 손()이며 자는 자건(子騫)이다. 노나라 사람이다. 손이 어려서 어머니를 잃자 아버지는 계모를 들였는데, 그 슬하에서 두 아들이 생겼다. 계모가 고약하여 겨울에 손에게는 솜 대신에 갈대를 넣은 옷을 입히고 자신이 낳은 두 아들에게는 솜옷을 입혔다. 아버지가 이를 알고 계모를 쫓아버리려고 하자, 손이 울며 아뢰기를 어머니가 있으면 한 아들이 춥고 어머니가 없으면 세 아들이 춥다고 했다 한다. 공자보다 15세 연하이다. 덕행이 뛰어난 공문십철의 한 사람이다.

 

8. 백우(伯牛)

성은 염()이고 이름은 경()이며 자는 백우(伯牛)로 노()나라 사람이다. 논어에는 공문십철에 관한 기록(선진편)과 병이 났을 때 창밖에서 공자가 문병을 한 이야기(옹야편) 2개소 밖에 나오지 않는다. 덕행이 뛰어난 공문십철의 한 사람이다.

 

9. 번지(樊遲)

성은 번(), 이름은 수(), 자는 자지(子遲)이다. ()나라 사람이라고도 하고, ()나라 사람이라고도 한다. 계씨(季氏)에 벼슬했다. 공자보다 36세 연하이다.

 

10. 복불제(宓不齊)

성은 복()이고 아름은 부제(不齊)이며 자는 자천(子賤)으로 노나라 사람이다. 공자는 그를 군자라고 칭찬했다. 공자보다 30세 연하이다.

 

11. 사마경(司馬耕)

성은 사마(司馬)이며 이름은 경()이고 자는 자우(子牛), ()이다. 사마환퇴(司馬桓魋)의 막내 동생이다. 소심한데다가 입이 가벼운 성격이었다 한다.

 

12. 안회(顔回)

성은 안()이고 이름은 회()이며 자는 자연(子淵)인데 안연(顔淵)이라고 널리 불려진다. 공자의 학문을 승계할 제자로 촉망을 받았으나 요절했다. 그는 명예를 구하지 않고 질소한 생활로 스승인 공자의 가르침을 이해하고 몸소 실천하였다.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안다고 칭찬을 받았으며 그가 요절하여 죽었을 때 공자는 하늘이 나를 망하게 했다고 개탄했다 한다. 후에 복성(復聖)이라 추존되었다. 가난하면서도 학문을 좋아하였다. 한 그릇의 밥, 한 사발의 국의 가난한 생활을 하면서도 도를 즐겼다는 안회단사(顔回簞食)의 고사가 있다. 공자가 가장 사랑했던 제자이다. 공자보다 30세 연하이다. 덕행이 뛰어난 공문십철의 한 사람이다.

 

13. 안무요(顔無繇)

성은 안()이고 자는 로()이며 안회(顔回)의 아버지이다. 공자보다 6세 연하이다.

 

14. 원헌(原憲)

성은 원()이고 이름은 헌()이며 자는 자사(子思)로 노나라 사람이다. 공자가 노나라의 사구(司寇)로 있을 때 그를 가읍(家邑)의 재()를 삼았다. 빈궁함을 괴로워하지 않고 욕심 없이 청빈한 생활을 하였다. 공자보다 36세 연하이다.

 

15. 유자(有子)

노나라 사람으로 이름은 약()이다. 용모가 공자와 비슷하다 하여 공자가 죽은 후 제자 중 가장 연장인 그를 문인들이 스승으로 삼으려 했었다 한다. 공자보다 13세 연하이다.

 

16. 자고(子羔)

성은 고()이고 이름은 시()이며 자는 자고(子羔)이다. 제나라 사람. 혹은 위나라 사람이라 한다. 키가 매우 작았다 한다. 성질이 어질고 효심이 깊었다. 짐승을 죽이거나 초목을 꺾지도 못하였다. 부친의 상을 당하여 피눈물 흘리기 3년이었다 한다, 이빨이 드러나도록 웃지도 않았다. 자로와 함께 위나라에 벼슬하였으나 반란을 피하여 살았다. 공자보다 30세 연하이다.

 

17. 자공(子貢)

성은 단목(端木)이고 이름은 사()이며 자는 자공(子貢)으로 변설이 뛰어나서 외교 수완을 발휘하기도 하였고 이재에 밝아서 큰 부를 이루었으며 공자 사후 제자들을 이끌었다. 공자보다 31세 연하이다. 언어가 뛰어난 공문십철의 한 사람이다.

 

18. 자로(子路)

성은 중()이고 이름은 유()이며 자는 자로(子路)로 노나라 사람이다. 제자들 중에 가장 무용을 좋아하고 성격이 경솔하여 공자의 책망을 받기도 하였으나 실질적이고 강건한 인물이었다. 논어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제자이다. ()나라에서 고관으로 벼슬을 하였는데 반란에 휘말려 처참하게 생을 마쳤다. 공자보다 9세 연하이다. 정사에 뛰어난 공문십철의 한 사람이다.

 

19. 자아(子我)

성은 재()이고 이름은 여()이며 자는 자아(子我)로 노나라 사람이다. 변론이 뛰어나고 매우 실리주의적인 인물로서 도덕을 경시하는 경향이 있어서 공자의 질책을 많이 받았다. 언어가 뛰어난 공문십철의 한 사람이다.

 

20. 자유(子有)

성은 염()이고 이름은 구()이며 자는 자유(子有)이다. 행정 수완이 뛰어나 계씨(季氏) 정권에 벼슬을 하여 재상이 되었고, 계씨의 군대를 지휘하여 제나라의 대군을 격파하기도 하였다. 성격은 겸양 온화하였고 행동은 소극적이어서 공자로부터 특별한 격려를 받기도 하였다. 공자보다 29세 연하이다.

 

21. 자유(子游)

성은 언()이고 이름은 언()이며 자는 자유(子游)로 오()나라 사람이다. 예악으로써 백성을 교화했다고 한다. 노나라에 벼슬하여 무성(武城)의 재상이 되었다. 공자보다 45세 연하이다. 문학이 뛰어난 공문십철의 한 사람이다.

 

22. 자하(子夏)

성은 복()이고 이름은 상()이며 자는 자하(子夏)로서 위()나라 사람이다. 학문을 좋아하였다. ()나라 문후(文候)의 스승이며, 증자(曾子)와 동문으로 순자(荀子)가 그 학통을 계승한다. 공문 전경파(傳經派)의 조이다. 공자보다 44세 연하이다. 문학이 뛰어난 공문십철의 한 사람이다.

 

23. 자화(子華)

성은 공서(公西)이고 이름은 적()이며 자는 자화(子華)이다. 노나라 사람이다. 제자 중 가장 예에 통달했으며 제()나라에 공자의 심부름을 간 일이 있는데 외교적 수완이 있다고 공자는 평했다. 부유한 생활을 했다고 한다. 공자보다 42세 연하이다.

 

24. 전손사(顓孫師)

이름은 전손사(顓孫師)이고 자는 자장(子張)이며 진()나라 사람이다. 용모가 수려하고 자질이 뛰어나 사람들과 잘 사귀었다. 공자보다 48세 연하이다.

 

25. 중궁(仲弓)

성은 염()이고 이름은 옹()이며 자는 중궁(仲弓)으로 노나라 사람이다. 인격이 뛰어나서 군주의 기량을 가졌다고 공자는 평가하였다. 공자보다 29세 연하이다.

 

26. 증자(曾子)

성은 증()이고 이름은 참()이며 자는 자여(子輿)로 노나라 사람이다. ()의 아들이다. 대학(大學)을 기술하고 효경(孝經)을 지었으며 그의 학문은 자사(子思)에게 승계되었다. 효행으로 이름이 높고 성실했으며 공자의 가르침을 후학에게 잘 전한 사람이다. 후세에 종성(宗聖)으로 일컬어졌다. 공자보다 46세 연하이다.

 

27. 증점(曾蒧)

성은 증()이고 이름은 점(, )이며 자는 석()이다. 증참(曾參)의 아버지이다. 민자건(閔子騫)과 동세대인 듯하며 세속을 벗어난 성격을 지닌 사람이었던 것 같다.

 

28. 칠조개(漆雕開)

노나라 사람 혹은 채나라 사람이다. 자는 자개(子開)이며 공자보다 11세 연하이다.

 

29. 신정(申棖)

노나라 사람으로 자는 주()이고 신당(申黨)이라 한다.

 

30. 유비(儒悲)

노나라 사람으로 공자에게 예를 배웠다. 유비가 공자를 만나기를 청하니 공자는 병을 핑계하여 거절했다. 그리고 그 말을 전하려고 사동이 나가자 유비에게 들리도록 거문고를 탔다고 한다.

 

31. 진항(陳亢)

이름은 진항(陳亢)이고 자는 자금(子禽), 우원(于元)이며 진()나라 사람이다. 공자보다 40세 연하이다.

 

 

 

 

 

 

 

 

 

 

 

 

 

'유가의 고전 > 논어의 명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五. 인용구절 색인  (0) 2015.07.05
20, 요왈편의 명언  (0) 2015.07.05
19, 자장편의 명언  (0) 2015.07.05
18, 미자편의 명언  (0) 2015.07.05
17, 양화편의 명언  (0) 2015.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