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천문시계 2

인간과 시계의 5000년의 역사 9

인간과 시계의 5000년의 역사 9 9, 천문시계 이슬람의 천문학자는 아스토로라베(Astrolabe=천문관측용 기기, 계산기)를 모스크나 천문대에서 천문시계로서 사용하였다. 11세기 송나라(Technology of the Song Dynasty) 의 천문학자, 시계기술자(horologist), 기계기술자인 소송(蘇頌)은 수도 개봉에서 수동력식 천문시계를 만들었다. 끝없이 움직이는 시계로서 세계 처음이었다. 같은 무렵 이슬람의 천문학자들도 정교한 천문시계를 만들어 모스크의 천문대에서 사용하였다. 예를 들면 10세기 아브도르 라프만 수피(Abū-al Husayn ‘Abd-al Rahmān b. ‘Umar al-Ṣūfī al-Rāzī、903년-986년)/페르시아인 천문학자)는 천구의(天球儀)의 시간측정에 사용..

과학/과학 2021.07.07

인간과 시계의 5000년의 역사 2

인간과 시계의 5000년의 역사 2 2, 해시계 당초의 해시계는 지면에 수직으로 세운 이 일반적으로 해 그림자 막대(日影棒)의 방향 각도와 길이로 대강의 시간을 헤아리는 정도였으나, 원판의 중심부에 막대를 꼽아 그대로 지면에 세운 것 같은 , 건물의 벽 등에 수직으로 설치하는 , 몸에 지니고 다닐 수 있게 간소화된 등 여러 가지 것이 있었다. 해시계는 과학 지식을 배우면 어디서나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보수 점검할 필요도 없는 것이므로 전 세계에 퍼져서 중근동. 그리스, 로마 등에서 다시 발전한다. 천문학이나 철학이 발달했던 그리스에서는 기원 전 4세기에 철학자로 유명한 풀라톤(PlátōnBC427년-BC347년)이 아테네 교외에 시각에 더해서 천체의 위치를 표시하는 천문시계를 만들었다. 같은 무렵 ..

과학/과학 2021.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