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분류 2

개발 프로세스(3/3)

AI 개발 프로세스(3/3) 3) AI 개발의 무대 뒤 인재부족을 해소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일을 AI에 치환시키려는 움직임이 가속화하고 있다. 예를 들면 콜 센터의 업무이다. 여러분도 스마트폰이나 PC의 트러블로 이용했던 일이 있을 것이다. 전화가 걸리지 않아서 답답했던 일도 있을 것이다. 이 콜센터의 업무를 AI로 치환할 수가 있다면 질문을 쉽게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콜센터의 업무를 최소 단위로 분류하면 어떻게 되는가. 콜센터의 담당자는 ---- 이런 방법으로 일련의 업무를 진행한다. 그러나 이 모두를 그대로 AI에게 치환할 수는 없다. AI는 만능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면 이 4개의 최소단위를 AI에 치환한다면 인간은 편해질 것인가. 효율화 될 것인가를 생각해보자. 예를 들면 손님의 요망을..

AI 기초 지식(3/3)

AI 기초 지식(3/3) 3) AI를 낳은 어미는 어디까지나 인간이다. AI가 급속히 진화를 계속하므로 장래에 AI는 인간의 능력을 초월하는 것이 아닌가, 지금까지 인간이 해온 일은 전부 AI로 대치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비관적인 예측을 하는 사람이 많아졌다. 그러나 참으로 그런 일이 생겨날 것인가?. 이것을 생각하기 전에 먼저 AI가 인간보다 뛰어난 포인트를 정리해보자. 그것은 과 이다. 컴퓨터라면 천문학적인 수의 계산의 답을 순식간에 이끌어 낼 수가 있고, 방대한 데이터를 룰에 기초하여 분류하는 것도 잘한다. 인간이라면 하나하나 시간을 걸려서 하지 않으면 안 될 번잡한 일을 컴퓨터라면 한 순간에 처리할 수가 있다. 이 두 가지에 관하여 인간은 컴퓨터 곧 AI에 쫓아갈 수가 없다. 단지 어디까지나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