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초 지식(3/3)
3) AI를 낳은 어미는 어디까지나 인간이다.
AI가 급속히 진화를 계속하므로 장래에 AI는 인간의 능력을 초월하는 것이 아닌가, 지금까지 인간이 해온 일은 전부 AI로 대치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비관적인 예측을 하는 사람이 많아졌다.
그러나 참으로 그런 일이 생겨날 것인가?.
이것을 생각하기 전에 먼저 AI가 인간보다 뛰어난 포인트를 정리해보자. 그것은 <계산>과 <분류>이다. 컴퓨터라면 천문학적인 수의 계산의 답을 순식간에 이끌어 낼 수가 있고, 방대한 데이터를 룰에 기초하여 분류하는 것도 잘한다.
인간이라면 하나하나 시간을 걸려서 하지 않으면 안 될 번잡한 일을 컴퓨터라면 한 순간에 처리할 수가 있다. 이 두 가지에 관하여 인간은 컴퓨터 곧 AI에 쫓아갈 수가 없다.
단지 어디까지나 <AI는 인간이 낳은 것>이다. AI 프로그램은 인간이 짜고 있다. 어떻게 하면 AI는 자기 스스로 마음대로 성장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그런 일은 없다.
가령 인간의 지적활동이 모두 AI가 잘하는 계산이나 수식으로 표현할 수가 있으면 혹시 AI가 인간을 초월하는 날이 올는지 모른다. 이 점에 대해서는 전문가들 사이에도 여러 가지의 의견이 있는데 적어도 그리 간단한 것이 아님은 사실이다. AI를 낳은 어미는 인류라는 것은 흔들리지 않는 사실이니까.
오니시카나코(大西可奈子) 감수
2012년 오차노미스여자대학원 박사후기과정수료, 박사(이학). 동년 대형통신회사에 입사. 2016년부터 2년간, 국립연구개발법인정보통신연구기구, 유니버샬커뮤니케이션 연구데이터 구동지능시스템연구센터에서 연구원으로 근무. 일관하여 자연언어처리, 특히 대화에 관한 연구개발에 종사. 인공지능(주로 대화기술)에 관한 강연이나 기사 집필을 행함.
주저 <제일 쉬운 AI(인공지능)초입문『いちばんやさしいAI〈人工知能〉超入門』>(마이나비출판)
'AI(인공지능)에 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개발 프로세스(2/3) (0) | 2023.02.07 |
---|---|
2, AI 개발 프로세스(1/3) (0) | 2023.02.06 |
AI 기초 지식(2/3) (1) | 2023.02.02 |
AI 기초 지식(1/3) (0) | 2023.02.01 |
대담 <인간중심 AI>의 사회실장을 목표로 하여(후편) (0) | 2022.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