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과학/과학

어째서 기생충은 중요한가.(1)

간천(澗泉) naganchun 2022. 1. 5. 03:36

어째서 기생충은 중요한가.(1)

-그 놀라운 전략과 역할이란-

 

 

 

블루 틸라피아의 꼬리에 기생하는 편형 동물. (PHOTOGRAPH BY JOEL SARTORE, NATIONAL GEOGRAPHIC PHOTO ARK) : 본 기사중에서

 

기생은 공생의 일종, 세계적인 보호계획도 제창되고 있다.

 

기생충이라고 하면 대개의 사람들은 끔찍하다고 생각할 것이다. 기생충을 나타내는 <파라사이트(parasite)>라는 영어의 어원은 <줄지어 먹는다.>라는 그리스어이다.

미국 워싱턴DC에 있는 스미소니안국립박물관의 진화생물학자 지미 바노트 씨에 따르면 기생은 <대성공을 거둔 생명의 형태>이다. 그런 점에서 기생생물은 조금 존경받아도 좋을 것이 아닌지 모른다.

기생이라는 형태는 동물, 식물, 균류, 세균 그리고 바이러스까지 모든 생물에 걸쳐있다. 흡혈박쥐나 작은 수놈과 암놈이 일체화하여 생식하는 *초롱아귀 등은 그 다양한 형태의 좋은 예이다.

 

===*초롱아귀는 초롱아귀과에 속하는 육식어류이다. 수심 800m 이하의 심해에서 서식한다. 몸은 럭비공처럼 생겼고 뼈 돌기 튀어나와 있다. 머리의 촉수 끝에는 발광체가 있다. 불이 초롱같다고 해서 초롱아귀라고 붙였다. 빛을 보고 온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는다. 위키백과===

 

기생은 2개의 생물이 밀접하게 관계하면서 생활하는 <공생>의 일종이다. 숙주를 반드시 죽여 버리는 포식기생자(의기생자/擬寄生者)를 제외하여 많은 기생자는 숙주에게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숙주를 지키는 기생자도 있다. 항생물질에서 세균을 지키는 바이러스 등이다. 이것은 페니실린을 쓰고 있는 사람에게는 문제이지만 세균으로서는 길보이다.

기생생물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숙주에게서 영양을 얻는다. 외부기생자라고 하는 타입은 숙주의 체표에서 피를 마시거나 피부를 먹거나 한다. 한편 내부기생자는 숙주의 체내에서 활동한다. 조충류(조충류/絛虫類)나 말파리의 유충 등이 그 예이다.

세계에는 어느 만큼의 종류의 기생생물이 있는지 확실한 것은 모른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는 기생하지 않는 생물보다 훨씬 종수는 많고 또 기생생물의 태반은 아직 발견되지 않은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기생생물이 모든 생물에 들어가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기생이라는 전략이 실로 오랜 동안 사용되어 왔다는 것도 납득이 된다. 화석에서 밝혀진 가장 오랜 기생생물은 51500만 년 전에 이매패(二枚貝)와 같은 완족동물(腕足動物/개맛, 조개사돈 등)에게서 먹이를 얻고 있는 지렁이 같은 벌레(연충/蠕蟲)이다.

<식물망(食物網)이나 생태계 네트워크를 만들어보면 종의 연결의 절반 이상이 기생생물로 성립되어 있는 것도 있다.>고 싱가포르국립대학의 기생생물학자인 맥켄지 크와크(McKenzie Kwak)씨는 말한다. <곧 생태계를 정리하는 접착제의 역할을 다하고 있는 것이 기생생물이다.>(계속됨)

일본어원문=なぜ寄生虫大切なのかそのくべき戦略役割とは

출처=https://news.yahoo.co.jp/articles/6b458aef